'Game Thread'에 해당되는 글 257건

  1. 2015.07.02 Cardinals Game Thread: vs Padres (미국시간 7/2-7/5) 253
  2. 2015.06.23 Cardinals Game Thread: at Marlins (미국시간 6/23-25) 445
  3. 2015.06.12 Cardinals Game Thread: vs Royals (미국시간 6/12-14) 188
  4. 2015.06.01 Cardinals Game Thread: vs Brewers (미국시간 6/1-3) 352
  5. 2015.05.29 Cardinals Game Thread: vs Dodgers (미국시간 5/29-31) 539
  6. 2015.05.22 Cardinals Game Thread: at Royals (미국시간 5/22-24) 73
  7. 2015.05.12 Cardinals Game Thread: at Indians (미국시간 5/12-14) 329
  8. 2015.04.21 Cardinals Game Thread: at Nationals (미국시간 4/21-23) 343
  9. 2015.04.10 Cardinals Game Thread: at Reds (미국시간 4/10-12) 359
  10. 2014.09.20 Cardinals Game Thread: vs Reds (미국시간 9/19-21) 303
  11. 2014.09.12 Cardinals Game Thread: vs Rockies (미국시간 9/12-14) 176
  12. 2014.09.01 Cardinals Game Thread: vs Pirates (미국시간 9/1-3) 112
  13. 2014.08.22 Cardinals Game Thread: at Phillies (미국시간 8/22-24) 265
  14. 2014.08.11 Cardinals Game Thread: at Marlins (미국시간 8/11-13) 183
  15. 2014.08.02 Cardinals Game Thread: vs Brewers (미국시간 8/1-8/3) 341
  16. 2014.07.22 Cardinals Game Thread: vs Rays (미국시간 7/22-23) 137
  17. 2014.07.05 Cardinals Game Thread: vs Marlins (미국시간 7/4-6) 147
  18. 2014.06.23 Cardinals Game Thread: at Rockies (미국시간 6/23-25) 412
  19. 2014.05.30 Cardinals Game Thread: vs Giants (미국시간 5/29-6/1) 437
  20. 2014.05.21 Cardinals Game Thread: vs Diamondbacks (미국시간 5/20-22) 472
  21. 2014.05.10 Cardinals Game Thread: at Pirates (미국시간 5/9-5/11) 526
  22. 2014.05.03 Cardinals Game Thread: at Cubs (미국시간 5/2-5/4) 183
  23. 2014.04.26 Cardinals Game Thread: vs Pirates (미국시간 4/25-27) 145
  24. 2014.04.14 Cardinals Game Thread: at Brewers (미국시간 4/14-16) 282
  25. 2014.04.05 Cardinals Game Thread: at Pirates (미국시간 4/4-4/6) 354
  26. 2013.10.29 Cardinals Game Thread: World Series Game 5 (미국시간 10/28) 225
  27. 2013.10.27 Cardinals Game Thread: World Series Game 3 (미국시간 10/26) 749
  28. 2013.10.23 Cardinals Game Thread: World Series Game 1 (미국시간 10/23) 262
  29. 2013.10.14 Cardinals Game Thread: NLCS Game 3 (미국시간 10/14) 221
  30. 2013.10.07 Cardinals Game Thread: NLDS Game 4 (미국시간 10/7) 181

by 주인장.


White Sox Series Recap

6/30 White Sox 2, Cardinals 1 (연장 11회)

7/1 White Sox 7, Cardinals 1


1차전은 상대 선발로 Chris Sale이 등판했으니 솔직히 별 기대는 되지 않았다. Lynn과 계투진은 10회까지 1실점으로 상대 타선을 막으며 대등한 경기를 이어 갔으나 결국 연장 11회에 홈런을 맞고 졌다. 2차전은 열페갑과 Jose Quintana의 매치업이어서 1승 1패를 예상했으나 의외로 Quintana에게조차 1점으로 틀어막히면서 7-1로 또 졌다. MLB 30구단 중 승률로 뒤에서 5위인 White Sox에게 이렇게 단 2득점으로 무기력한 2연패를 당한 것은 다소 의외이다. 그러나, 한편으로 생각하면, 이게 Mark Reynolds가 클린업을 치는 타선의 한계일 것이다. 투수진 역시 6월 한 달 동안 26게임에서 64실점으로 상대 타선을 틀어막는 (경기당 2.5 실점) 괴력을 발휘했지만, 이런 비현실적인 저실점 능력이 계속 유지되기를 바라는 것은 무리이다.



Series Preview: Cardinals vs Padres (시즌 첫 대결)


팀 성적

Cardinals 51승 26패 .662 (NL Central 1위, 2위와 7게임차)  Run Diff. +91

Padres 37승 43패 .463 (NL West 4위)  Run Diff. -44


어제 오늘 2연패에도 불구하고, 이전의 두 시리즈를 모두 스윕한 덕분에, 중부지구 2위인 해적떼와는 아직도 7게임이나 벌어져 있는 상태이다. 3위 Cubs와는 9.5게임 떨어져 있다. 해적떼도 꽤 답답할 것이다. 지금 해적떼 성적(44-33, .571)이면 NL 동부지구나 서부지구에서는 지구 1위일 텐데, 중부지구에서는 1위에 무려 7게임이나 뒤져 있으니...


이번 시리즈는 Padres와의 홈 4연전이다. Padres는 오프시즌에 팀 로스터를 대폭 물갈이해서 단숨에 컨텐더를 만들어보려고 했으나, 지금까지의 결과는 신통치 않다. 지구 1위 Dodgers에는 8게임 뒤져 있으며, 와일드카드 2위인 Cubs에도 6게임 뒤져 있다. 아마도 올스타 브레이크까지 남은 경기 결과에 따라 더욱 올인할 지, 아니면 리빌딩으로 전환할 지를 결정할 것이다. 겨울에 그렇게 질러놓고 이제와서 리빌딩을 선택하기는 무척 괴롭겠지만, 여기서 더 성적이 떨어지면 가을야구의 가능성은 거의 0에 수렴한다고 봐야 할 것이다. 항상 이야기하지만, 프런트의 미덕은 냉정한 현실 인식이다.


Padres가 -44라는 안좋은 득실마진을 기록하고 있는 것은 주로 실점을 많이 하고 있는 것이 크다. 팀 득점은 327점으로 NL 6위이지만, 팀 실점은 371점으로 Padres보다 실점을 더 많이한 팀은 Rockies, Phillies, Brewers 셋 뿐이다. 펫코 파크를 홈으로 쓰고 있고, 전통적으로 투수력이 강한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 팀이 이렇게 실점을 많이 하고 있는 것이 놀라울 따름이다.


Baseball Prospectus의 플옵 진출 확률 계산에 따르면, 현재 Cardinals가 포스트시즌에 나갈 확률은 99.1%, 디비전 시리즈에 올라갈 확률은 93.8%이다. 반면, Padres의 포스트시즌 확률은 4.3%, 디비전 시리즈 확률은 2.4%에 불과하다.



Probable Starters

Game 1: Tim Cooney vs Tyson Ross                  7/2 19:15 EDT (7/3 8:15 KST)

Game 2: Michael Wacha vs Andrew Cashner          7/3 20:15 EDT (7/4 9:15 KST)

Game 3: Carlos Martinez vs Odrisamer Despaigne   7/4 14:15 EDT (7/5 3:15 KST)

Game 4: Lance Lynn vs Ian Kennedy                  7/5 14:15 EDT (7/6 3:15 KST)


그런데, 1차전부터 가슴 속이 답답해지는 것은 어쩔 수 없다. Garcia를 대신하여 상대 에이스인 Tyson Ross와 대적할 우리의 땜빵 선발은 바로 Tim Cooney인 것이다. -_-;;; Ross는 올해 삼진(9.88 K/9)과 볼넷(4.52 BB/9)이 모두 치솟아 있는데, 원래 투심/포심/슬라이더 레퍼토리의 투수로 특히 슬라이더의 비율이 높았으나(커리어 35.4%) 올해 들어 슬라이더의 구사 비율을 무려 46.2%까지 끌어올렸다. 이렇게 무지막지하게 슬라이더를 뿌려대면 팔꿈치가 얼마나 버텨줄지 의문이지만... 어쨌든 안그래도 평화를 지향하는 우리 타선에게는 무척 힘든 상대가 될 것이다. 나중에 다시 이야기하겠지만 일단 헛스윙을 줄이고 컨택을 해서 상대 수비에게 일을 시키는 게 중요하다. 배트을 짧게 쥐고 컨택에 치중해 보자. (니들 평소에 잘 하는 거잖아...) 그나저나 이 경기는 타선보다도 Cooney의 피칭에 의해 좌우될 공산이 큰데, 이녀석은 어떤 모습을 보일지 도무지 짐작이 되지 않는다. 지난 번 Phillies전 처럼 허접하게 던지면 컨택이고 뭐고 이 경기는 그냥 망이다.


2차전은 Wacha와 Cashner가 선발로 나올 예정이다. Cashner는 올해 4.22 ERA, 3.99 FIP, 3.60 xFIP를 기록 중인데, .331의 BABIP와 62.1%의 LOB%, 13.8%의 HR/FB를 보면 다소 불운한 면이 있었던 것 같다. 풀타임 선발 전환 후 구위에 비해 낮은 삼진 비율을 기록하고 있었는데, 올해에는 이것도 8.34 K/9로 꽤 개선된 모습이다. 매년 부상에 시달려온 투수이지만 올해는 아직 건강을 유지하고 있기도 하다. 적다 보니 이 경기도 만만치는 않겠다는 생각이 드는데... 그러나 Wacha가 상대 타선을 잘 막아 줄 것이다. 시즌 초반 이상하게 삼진을 못 잡고 바빕신의 가호에 의존했던 Wacha였지만, 6월 한 달 동안 9.29 K/9, 1.45 BB/9, 1.92 FIP를 기록하며 원래의 도미넌트한 모습으로 돌아갔다. 구속이나 구위가 저하되지 않았고 제구는 작년보다 오히려 더 나은 모습을 보이고 있으니, 당연한 결과라고도 할 수 있겠다.


3차전은 요즘 절정의 컨디션을 보이고 있는 CMart가 쿠바 출신 Odrisamer Despaigne(이름이 너무 어렵다 ㅜㅜ)와 대결을 펼친다. 큐반 하면 뭔가 Chapman처럼 괴력투를 보일 것 같은 이미지인데, Despaigne는 올해 SwStr%이 5.7%에 불과하고, 삼진비율도 4.94 K/9에 불과하여 구위보다는 법력에 의존하는 모습이다. 평속 90-91마일의 패스트볼과 함께 커터, 슬라이더, 싱커, 커브, 체인지업 등 다양한 구종을 던지는데 정작 킬러 피치라고 할 만한 강력한 공은 없다. 이런 날은 타선이 스탯 조작을 좀 하기 바란다.


4차전은 Lynn과 Kennedy가 선발로 예정되어 있다. Kennedy는 올해 4.86 ERA, 5.27 FIP로 고전 중인데, xFIP는 3.74, SIERA는 3.70으로 보이는 것보다는 괜찮은 모습이다. 이러한 괴리는 순전히 22.1%의 HR/FB, 2.07 HR/9 라는 스탯이 보여주듯 피홈런을 너무 많이 허용하는 데 기인하는 것이다. Kennedy는 커리어 내내 플라이볼 투수였고 피홈런이 비교적 많은 편이었으나, 올해는 유난히 홈런을 많이 맞고 있다. 1, 2차전에서 컨택 위주의 타격이 필수였다면, 3, 4차전, 특히 4차전에서는 적극적으로 펜스를 노리고 스윙을 해 보는 것이 좋을 것이다.


이 시리즈는 3승 1패를 예상해 본다. 1차전은 좀 어렵겠으나 뒤의 세 경기는 이겨야 한다고 본다. 특히 이후 올스타 브레이크까지 해적떼 및 Cubs와 원정 8연전이 예정되어 있는데, 두 팀 모두 총력전으로 나올 것이 뻔하므로, 그 전에 최대한 많이 벌어 둘 필요가 있다.



Padres Lineup 예상


1. Matt Kemp, rf           247/283/370, 84 wRC+

2. Derek Norris, c         244/292/441, 106 wRC+, 11 HR

3. Yonder Alonso, 1b     311/399/406, 132 wRC+

4. Justin Upton, lf         269/351/458, 128 wRC+, 14 HR, 15 SB

5. Yangervis Solarte, 3b  247/299/344, 84 wRC+

6. Will Venable, cf         263/325/409, 108 wRC+

7. Jedd Gyorko, 2b        205/276/303, 66 wRC+

8. Clint Barmes, ss       292/328/442, 116 wRC+ (.392 BABIP)

9. Pitcher


원래 리드오프를 맡았던 Wil Myers가 부상으로 이탈하면서, Matt Kemp가 1번을 치고 있다. 이전의 트렌드를 보면 Norris와 Solarte가 2번과 5번을 오가고 있으며, Solarte 대신 Middlebrooks가 나오는 경우 Norris가 2번으로 가고 Middlebrooks는 6-7번에 기용된다. 2루에는 한동안 Spangenberg가 많이 나왔는데 엊그제 Gyorko가 콜업되어 이틀 연속 선발 출장하였다. 어차피 둘 다 타격은 젬병이다. 유격수도 Amarista와 Barmes가 번갈아 기용되는 모습인데, Barmes가 바빕신의 가호로 좋은 타격 성적을 기록 중이나 결국 DTD할 것으로 보인다. 커리어 타격 성적은 거기서 거기이며, 아마도 둘이 반반씩 나올 것 같다. 가끔 Venable 대신 형튼이 선발 출장하는데, 뭐 그래주면 우리야 고마울 따름이다.


Padres의 타선은 Myers의 부상에다가 시즌 초반 좋은 페이스를 보여 주었던 동생튼과 Norris, Solarte, Middlebrooks 등이 모두 짜게 식고, Gyorko나 형튼과 같이 원래 못치던 선수는 계속 못치고 있어서, 집단 슬럼프라고 할 수 있는 수준이다. 올해 들어 똑딱질의 새로운 경지에 눈을 뜬 것 같은 Yonder Alonso만 꾸준히 제 몫을 하는 느낌이다. 실제로 6월 한 달 동안 Padres의 팀 wRC+는 86으로 NL 15팀 중 14위에 불과하였다. 게다가, Padres의 팀 UZR/150은 -13.3으로 메이저리그 전체 꼴찌이다. 상대 타선을 늘 하던대로 저득점으로 묶고, 공격에서는 인플레이를 많이 시켜 상대의 허접한 수비를 활용하면, 충분히 좋은 결과가 있을 것이다.



Go Cardinals...!!!

Posted by FreeRedbird
:

by 주인장.


Phillies Series Recap

6/19 Cardinals 12, Phillies 4

6/20 Cardinals 10, Phillies 1

6/21 Phillies 9, Cardinals 2


해킹 스캔들로 어수선한 분위기 속에 떠난 필라델피아 원정은 2승 1패의 무난한 시리즈 위닝으로 끝났다. 6월 들어 16 경기에서 46 득점(경기당 평균 2.9득점)이라는 기록적인 빈공을 보여주던 타선은 원정 1, 2차전에서 도합 22점을 내면서 스탯 조작을 열심히 했다. 마지막 경기는 Wacha 대 AAA 투수 Adam Morgan의 대결이어서 스윕도 가능해 보였으나, 이번엔 Wacha가 털리면서 마지막 경기를 패하고 말았다.


참고로 경기당 2.9점을 득점한 그 6월 1일~18일 사이의 16경기에서, 이 팀은 단 39점을 실점(경기당 평균 2.4실점)하며 10승 6패를 기록했다. 그것도 드랩 첫날 열페갑이 산에서 털리며 11실점한 경기를 제외하면, 15경기에서 28실점으로 경기당 평균 실점은 1.9점이라는 초현실적인 수준까지 내려간다. 이쯤되면 그야말로 늪야구의 정수라고밖에... 달리 할 말이 없다. 투수진에 경의를 표한다.



Series Preview: Cardinals at Marlins (시즌 첫 대결)


팀 성적

Cardinals 45승 24패 .652 (NL Central 1위, 2위와 6게임차)  Run Diff. +77

Marlins 30승 41패 .423 (NL East 4위)  Run Diff. -20


이번 시리즈는 Miami Marlins와의 원정 3연전이다. Marlins는 Nats 외에 뚜렷한 강자가 없는 NL 동부지구에서 다크호스로 꼽혔으나, 막상 시즌이 시작되고 나니 Yelich, Ozuna 등 주축 타자들이 부진하고 Henderson Alvarez, Latos의 부상으로 로테이션도 삐걱거리면서 시즌 내내 지구 하위권을 맴돌고 있다. 이 와중에 Jeffrey Loria 구단주는 Redmond 감독을 해임하고 후임으로 단장인 Dan Jennings를 앉히는 창조야구를 시도했는데... Redmond는 16승 22패(0.421)를 기록하고 짤렸는데, 이후 Jennings의 팀은 현재까지 14승 19패(0.451)를 기록 중이다. 프로 감독 경험이 전무한 단장이 직접 감독을 맡은 것 치고는 성적이 괜찮은 편이긴 하다.


Marlins의 경기당 평균 득점은 3.82점으로 NL 15팀 중 12위이다. Cards는 4.04점으로 리그 10위에 랭크되어 있다. 아마도 이 시리즈에서 다시 저득점의 늪야구를 보게 될 것이다.


Baseball Prospectus의 플옵 진출 확률 계산에 따르면, 현재 Cardinals가 포스트시즌에 나갈 확률은 96.3%, 디비전 시리즈에 올라갈 확률은 84.7%이다.



Probable Starters

Game 1: Carlos Martinez at Jose Urena              6/23 19:10 EDT (6/24 8:10 KST)

Game 2: Jaime Garcia at Mat Latos                  6/24 19:10 EDT (6/25 8:10 KST)

Game 3: Lance Lynn at Dan Haren                   6/25 19:10 EDT (6/26 8:10 KST)


1차전의 상대 선발 Jose Urena는 다소 생소한 이름인데, Alvarez와 Cosart의 부상으로 로테이션에 합류한 루키이다. 평속 93마일의 패스트볼을 던지는데, 삼진 비율이 3.62 K/9에 불과하나 GB%는 54.2%에 달하여 마치 짝퉁 Henderson Alvarez 같은 느낌을 준다. 답답한 경기가 예상되는데 CMart의 스터프를 믿어보자. 한 2-1쯤으로 이기지 않을까 싶다. -_-;;;


2차전에는 열흘 전에 DL에서 돌아온 Latos를 만난다. Latos는 6월 13일의 복귀전에서 Rockies 타선을 상대로 7이닝 11탈삼진 1실점의 훌륭한 투구를 하여 전성기 폼을 찾은 듯한 인상을 주었으나, 18일의 Yankees 전에서는 투구수 관리에 실패하며 5.2이닝 3실점으로 그저 그런 모습을 보였다. DL 가기 전 90마일 언저리에서 놀던 패스트볼 구속이 복귀 후에는 92-93마일 선에서 형성되고 있으므로, 시즌 초에 비해 컨디션이 많이 올라온 것으로 보인다. 우리는 1.76 ERA, 2.89 FIP를 자랑하는 Jaime Garcia가 나갈 예정이니 이 경기도 늪야구에서 벗어날 길이 없을 것이다.


3차전은 Dan Haren과 Lance Lynn의 매치업이 예정되어 있다. Haren은 올해 들어 패스트볼 구속이 86마일까지 떨어졌으나, .224의 BABIP에 힘입어 4.44 FIP, 4.39 xFIP, 4.19 SIERA에도 불구하고 3.19 ERA를 기록 중이다. 떨어진 구위를 만회하기 위해 겨울 동안 어디서 마법을 배워 온 모양이다. 우리의 선발은 단순무식한 패스트볼 덕후 Lynn인데, 팔꿈치가 괜찮다고 하니 일단 다행이다. 별 탈 없기를 바란다. 법력 vs 단무지의 대조적인 피칭 스타일이지만 어차피 결론은 똑같다. 늪야구다.


고기도 먹어 본 놈이 맛을 안다고, 늪야구라면 역시 지금껏 시즌 내내 해온 우리가 최고의 전문가 아닌가? 2승 1패를 예상해 본다.



Marlins Lineup 예상


1. Dee Gordon, 2b          356/377/425, 121 wRC+, 24 SB

2. Derek Dietrich, 3b        333/429/833, 240 wRC+ (28 PA)

3. Christian Yelich, lf        230/298/327, 74 wRC+

4. Giancarlo Stanton, rf     260/341/596, 150 wRC+, 25 HR

5. Marcell Ozuna, rf         271/327/370, 93 wRC+

6. Justin Bour, 1b           270/349/461, 124 wRC+

7. J.T. Realmunto,c         236/264/372, 69 wRC+

8. Adeiny Hechavarria, ss   286/324/392, 93 wRC+

9. Pitcher


Marlins의 타선은 Dee Gordon으로 시작해서 Stanton으로 끝나는 느낌이다. 클린업에 배치된 Yelich와 Ozuna는 시즌 초의 바닥을 모르던 삽질 모드에서 최근 좀 나아지긴 했으나 여전히 기대치를 한참 밑돌고 있다. (6월 성적 Yelich 242/321/384, Ozuna 284/329/378) 주전 3루수였던 Martin Prado가 DL에 가면서 Derek Dietrich가 3루에 기용되고 있는데, 물론 지금 보여주는 모습은 뽀록이지만 얕볼 수 없는 타자이다. 커리어 통산 성적은 444 PA에서 227/305/423(103 wRC+). 하위 타선에서는 Justin Bour가 나름 좋은 모습을 보이고 있으니 주의를 요한다.



참고로, 현재 마이너에서 리햅 등판 중인 Jose Fernandez는 7월 2일에 복귀할 예정으로 되어 있다.



Go Cardinals...!!!

Posted by FreeRedbird
:

by 주인장.


Rockies Series Recap

6/8 Rockies 11, Cardinals 3

6/9 Rockies 4, Cardinals 3

6/10 Cardinals 4, Rockies 2


드랩 일정과 겹치면서 진행된 이 원정 시리즈는 1승 2패의 아쉬운 성적을 남겼다. 1차전에서 열정갑이 10실점을 하며 탈탈 털렸을 때 시리즈의 운명은 어느 정도 결정되었다고 할 수 있으나, 산에서 3게임을 하면서 타선이 10점밖에 내지 못한 것은 참 답답하게 느껴진다.


진 것도 진 것이지만, 무엇보다도 Holliday의 부상으로 인한 전력 손실이 크다. Holliday는 올 시즌 15%가 넘는 타석당 볼넷 비율을 기록하며 줄어든 장타력을 눈야구로 어느 정도 상쇄하고 있었는데, 산에 가서 잃어버린 장타력을 찾기를 기대했으나 오히려 부상만 당하고 돌아왔다. 현재로서는 얼마나 오랜 기간 결장할 지 불투명하며, 일단 2주 후에 다시 진단할 예정이라고 한다. Holliday의 결장 기간 동안 주로 Grichuk이 출장 기회를 얻을 것으로 보이는데, 이넘아는 다들 아시다시피 Holliday의 올 시즌 스탯과는 정반대로 출루율은 엿바꿔 먹고 대신 똥파워를 과시하는 공갈포 성향의 타자이다. 현재까지 3.2 BB%, 29.5 K%의 극단적인 비율스탯과 함께 261/284/500으로 3할도 안되는 출루율과 .239의 ISO를 보여주고 있다.


여기에 Lynn이 전완근의 불편함(forearm tightness)을 호소하여 MRI를 찍은 것도 잠재적인 대형 악재가 되고 있다. 아마 미국시간으로 금요일쯤에는 좀 더 자세한 소식이 있을 것 같은데, 이 글을 쓰는 현재까지는 별다른 말이 없다. 현재로서는 주말 시리즈 등판이 불투명하다. 여러 부상과 헤이레기의 부진 등에도 불구하고 여기까지 온 것은 참 대단하지만, 맷잉여의 부상으로 타선이 더욱 허접해진 마당에 Lynn이 수술이라도 하게 되면 이번 시즌은 중대 기로에 놓일 것이다. 별 일 없기를 물 떠놓고 기도해야 할 듯...



Series Preview: Cardinals vs Royals (시즌 전적 1승 2패)

팀 성적

Cardinals 39승 21패 .650 (NL Central 1위, 2위와 6게임차)  Run Diff. +63

Royals 34승 23패 .596 (AL Central 1위)  Run Diff. +50


3주 전에 Royals 시리즈 프리뷰를 적으면서 "두둥!! 양대리그 최고 승률 팀의 맞대결이다. MLB 전체를 통틀어 Cards가 승률 1위, Royals가 승률 2위이다." 라고 적었는데, 그대로 복붙해도 되는 상황이다. 3주가 지난 지금 두 팀은 여전히 MLB 승률 1, 2위이다. 부연하자면, Cardinals는 유일한 6할대 승률 팀이다. Cubs, Pirates와는 6게임, 6.5게임차로 아직 넉넉한 승차를 유지하고 있다. 그나마 벌어 놓은 게 많아서 다행이다.


한때 Twins가 돌풍을 일으키며 AL 중부지구 1위로 올라섰으나, 최근 10경기에서 3승 7패를 기록하며 다시 2위로 내려갔고, 그 사이에 Royals가 4연승으로 다시 1위를 빼앗았다. 개인적으로 Cubs나 Astros의 선전은 충분히 납득할 수 있었으나, Twins의 급부상은 전혀 의외였다. 하반기에도 계속 1위다툼을 할 수 있을지는 다소 회의적이나, 어쨌든 정말 오랜만에 컨텐딩을 하는 모습이니 선전을 기원해 본다. 물론 7월에 우리랑 경기할 때는 빼고... ㅎㅎ


Baseball Prospectus의 플옵 진출 확률 계산에 따르면, 현재 Cardinals가 포스트시즌에 나갈 확률은 92.2%, 디비전 시리즈에 올라갈 확률은 81.7%이다.



Probable Starters

Game 1: Jaime Garcia vs Yordano Ventura           6/12 20:15 EDT (6/13 9:15 KST)

Game 2: Lance Lynn vs Jeremy Guthrie               6/13 16:10 EDT (6/14 5:10 KST)

Game 3: John Lackey vs Jason Vargas                6/14 14:15 EDT (6/15 3:15 KST)


3주만에 다시 맞붙는 Royals이지만, 당시 1, 2차전에서 고전했던 Young과 Volquez를 만나지 않게 되어 일단 매치업은 지난 번보다 낫다.


1차전 상대 선발은 Yordano Ventura로, 지난 시리즈 3차전에서 Carpenter의 홈런을 앞세워 우리가 승리한 바 있다. Ventura는 올 시즌 들어 좀 더 히터블한 모습을 보이면서 4.62 ERA, 4.03 FIP로 작년보다 고전하고 있는데, xFIP(3.72)나 SIERA(3.74)의 면에서는 작년과 비슷하나, 구속이 작년보다 1마일 정도 줄었고 SwStr%도 작년의 10.3%에서 올해 9.1%로 나빠졌다. 직전 등판에서도 Rangers를 상대로 3이닝 4실점을 하며 패전투수가 되었다. 반면 우리는 몸만 멀쩡하면 꽤 잘 던지는 Garcia를 선발로 낸다. 이 경기는 무조건 잡아야 할 것이다.


2차전은 올 시즌 완전히 맛이 간 모습을 보이고 있는 Jeremy Guthrie를 상대하게 된다. 36세의 Guthrie는 원래 안좋던 탈삼진 비율이 올 시즌 들어 3.73 K/9까지 추락하면서 5.82 ERA, 5.58 FIP, 5.40 xFIP로 형편없는 성적을 기록 중이다. 이런 투수를 AL 승률 1위팀이 아직도 로테이션에 두고 있다는 게 신기할 정도이지만, 의외로 4승 3패를 기록중이어서 뭔가 투승타타의 법력이 작용하고 있는 것 같기도 하다. Royals는 오프시즌에 두 번째 TJ 수술을 받고 작년을 날린 Kris Medlen과 2년 계약을 맺었는데, Medlen은 곧 마이너 리햅 등판을 시작할 예정이며 올스타 브레이크 무렵에 메이저에 복귀할 것 같다고 한다. 아마도 Medlen이 올라오면 Guthrie를 대체할 가능성이 높다. 우리 선발은 원래 Lynn이 예정되어 있으나 Lynn의 팔꿈치에 문제가 있을 경우 Lackey를 땡겨 쓰게 될 것이다. 누구를 선발로 내든 간에 Guthrie를 난타하여 반드시 이기도록 하자.


3차전의 상대 투수 Jason Vargas는 늘 똑같은 Vargas이다. 매 등판마다 5이닝 2실점에서 6이닝 2~3실점 사이를 왔다갔다하는 그런 꾸준하고 재미없는 베테랑이다. 우리는 Lackey 혹은 Wacha가 나갈 예정인데, 앞의 두 경기를 이겨서 좀 더 편안한 마음으로 경기에 임할 수 있기를 바란다.



Royals Lineup 예상


1. Alcides Escobar, ss      265/296/355, 81 wRC+

2. Mike Moustakas, 3b      318/370/455, 135 wRC+

3. Lorenzo Cain, cf         281/333/399, 105 wRC+

4. Eric Hosmer, 1b          300/373/479, 138 wRC+

5. Alex Gordon, lf           257/374/441, 132 wRC+

6. Alex Rios, rf              220/258/305, 56 wRC+

7. Salvador Perez, c         286/299/472, 113 wRC+

8. Omar Infante, 2b         212/221/293, 36 wRC+

9. Pitcher


지난 번에 만났을 때와 비교하면 전반적으로 타자들의 성적이 많이 하락했는데, 특히 BABIP가 자연스럽게 감소하면서 타율과 출루율이 2~3푼씩 낮아진 모습이다. 우리 홈에서 경기를 하면서 DH를 쓸 수 없게 되어 Kendrys Morales가 라인업에서 제외될 수밖에 없는 것도 우리에게는 유리한 점이 되겠다. Rios는 아직 정상 컨디션이 아닌 것으로 보이며, 2루의 Infante는 거의 투수 수준으로 전락한 상태이다.


Royals는 쉽지 않은 강팀이다. 컨택과 기동력에서 뛰어난 타선과 우수한 수비력, 그리고 강력한 불펜이 조화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마침 가장 껄끄러운 선발투수들을 피하게 되었고, 출루가 약한 상대의 약점(상대 스타팅 8명 중 4명이 출루율 2할대이다)이 노출되고 있는 중이다. 쫄지 말자. 이 시리즈의 기대치는 2승 1패이다. 여러 부상 악재가 있으나 할 수 있다고 본다.



Go Cardinals...!!!

Posted by FreeRedbird
:

by 주인장.


Dodgers Series Recap


5/29 Cardinals 3, Dodgers 0

5/30 Dodgers 5, Cardinals 1

5/31 Cardinals 3, Dodgers 1


이 시리즈는 시즌 내내 우리가 보아 왔던 흐름 그대로였던 것 같다. 참 답답하게 경기하지만, 어쨌든 이긴다. 우리는 점수를 안 주니까. 이번에도 3경기에서 고작 6점을 내주었을 뿐이다. 우리의 득점도 7점에 불과했으나, 적절히(?) 1, 3차전에 3점씩 안배가 되어 결국 2승 1패를 거두었다.


올 시즌 NL의 경기당 평균 실점은 4.13점이다. 우리는 이 분야의 독보적인 1위로 경기당 실점률이 3.02점에 불과하다. 2위는 LAD로 3.33점(그러니 이번 시리즈가 저득점 시리즈가 되었을 수밖에...), 3위는 PIT로 3.41점이다. 리그 평균보다 경기당 1점 이상 덜 주고 있으니, 당연히 승률이 높을 수밖에 없다. 참고로 우리의 경기당 득점은 4.20으로 리그 7위이다.


Baseball Prospectus의 플옵 진출 확률 계산에 따르면, 지구 우승이든 와일드카드든 간에 Cardinals가 Division Series에 올라갈 확률은 이 글을 쓰는 현재 Cards가 77.2%이다. (링크에서 "Playoff Pct(Adj)"를 보면 된다)



Series Preview: Cardinals vs Brewers (시즌 전적 4승 2패)

팀 성적

Cardinals 33승 17패 .660 (NL Central 1위, 2위와 6 게임차)  Run Diff. +60

Brewers 17승 34패 .333 (NL Central 5위)  Run Diff. -65


이번 상대는 지구 최하위 팀인 맥주집이다. 지난 번에 KC와의 시리즈 프리뷰를 쓰면서 "양대리그 최고 승률 팀의 맞대결"이라고 썼던 기억이 있는데, 이번에는 반대로 MLB 30개 팀 중 최고 승률 팀과 최저 승률 팀의 맞대결이 되겠다.


Brewers는 어제 경기 전까지 7연패 중이었는데, 어제는 또 연장 17회까지 가는 소모전 끝에 간신히 승리를 거두면서 연패를 끊었다. 위에서 경기당 득점/실점을 언급했으니 Brewers의 스탯도 보면, Brewers의 경기당 득점은 3.72점으로 리그 14위이며, 경기당 실점은 5.04점으로 리그 꼴찌이다. 한마디로 총체적 난국이라고 할 수 있겠다.



Probable Starters

Game 1: Jaime Garcia vs Mike Fiers                6/1 20:00 EDT (6/2 9:00 KST)

Game 2: Lance Lynn vs TBD                        6/2 20:15 EDT (6/3 9:15 KST)

Game 3: John Lackey vs Jimmy Nelson            6/3 13:45 EDT (6/4 2:45 KST)


원래 Brewers의 계획은 1차전에 Garza, 2차전에 Nelson을 내는 것이었으나, 어제 경기에서 17이닝까지 가는 소모전을 펼치면서 Garza가 나와서 5이닝이나 던지고 말았다. Fiers는 4일 휴식 후 등판이 가능하나, 2차전의 선발 투수는 불투명한 상태이다. Nelson과 Lohse를 모두 하루씩 땡겨쓰는 것은 부담이 크므로, 2차전에 맞춰서 누군가 AAA에서 불러올려 선발을 맡길 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콜업 후보로 거론되는 투수들은 Taylor Jungmann(6.49 ERA, 3.82 FIP in PCL)과 Tyler Thornburg(4.41 ERA, 5.07 FIP) 정도이다. 2011년 드래프트 1라운더인 유망주 Jungmann이 올라올 경우, 그의 메이저리그 데뷔전이 된다.


Fiers는 89마일의 평범한 패스트볼과 아주 위력적인 체인지업에 그럭저럭 쓸만한 커터와 커브를 섞어 던지는 플라이볼 성향의 투수이다. 올 시즌 K/9가 무려 10.97에 이를만큼 절정의 탈삼진 능력을 과시하고 있으며, 볼넷도 2.96 BB/9 수준에서 잘 억제하고 있으나, 1.22 HR/9와 .386의 높은 BABIP로 인해 고전하고 있는 중이다. (4.53 ERA, 3.58 FIP, 3.40 xFIP, 3.21 SIERA) 이렇게 실점을 많이 하는 것을 모두 운 탓으로 돌리기는 어려운 것이, Hard% 즉 강한 타구를 허용한 비율이 전체 타구의 41.4%에 달할 만큼 정타를 많이 허용하고 있는 것이다. 커리어 통산 Cards 상대 성적은 37.1 이닝에서 1.69 ERA로 나름 강한 모습을 보여 왔지만, 이제 운이 다할 때도 되지 않았을까? 올 시즌에는 지난 두 번의 시리즈에서 한 번씩 모두 등판하였으며, 결과는 각각 5.2이닝 2실점, 4이닝 2실점이었다.


Nelson은 엉망진창인 Brewers 로테이션에서 그나마 나은 편으로, 나름 Fiers와 함께 원투펀치라고 할 수 있는 투수이다. 원래 패스트볼/슬라이더의 투피치 투수로, 선발로 부적합하다는 평가가 있었으나, 올 시즌 들어 스프링캠프에서 새롭게 너클커브를 추가하여 나름 선발로서 발전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다만, 4월(4.03 ERA, 3.54 FIP, .270 피wOBA)에 비해 5월(3.83 ERA, 4.51 FIP, .318 피wOBA)에는 좀 더 많이 얻어맞고 있는 모습인데, 리그가 그의 너클커브에 슬슬 적응해 가는 과정이 아닌가 생각된다. 이 새로운 구종은 그가 좌타자를 상대할 무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으나, 여전히 그는 좌타자에 극도로 고전하는 중이다. (올 시즌 우타자 상대 197/273/281, 좌타자 상대 258/359/523) Carpenter와 Wong이 하드캐리하는 경기를 예상해 본다. 헤이xx는 어차피 기대가 안되니..



2차전에 누가 나오든 간에 이 시리즈의 목표는 스윕이다. 다른 게 있을 수가 없다.


다만 Matt Holliday가 이 시리즈에서 얼마나 정상적인 컨디션으로 출장할 수 있을 지는 미지수이다. 그리고 적절한 주전 1루수 없이 얼마나 계속 버틸 수 있을지도 의문이다...



Brewers Lineup 예상


1. Carlos Gomez, cf        257/303/456, 106 wRC+

2. Jonathan Lucroy, c      133/216/178, 8 wRC+

3. Ryan Braun, rf           264/340/506, 127 wRC+

4. Adam Lind, 1b          273/355/497, 129 wRC+

5. Aramis Ramirez, 3b     226/277/416, 85 wRC+

6. Jean Segura, ss         282/320/408, 97 wRC+

7. Khris Davis, lf           250/337/446, 114 wRC+

8. Elian Herrera, 2b         204/252/367, 65 wRC+

9. Pitcher


시즌 초에 발가락 골절로 DL에 올랐던 Lucroy가 이번 시리즈에 복귀할 예정이어서, 라인업이 어떻게 구성될 지 예측하기가 힘들다. 그냥 "내가 감독이라면..." 이라는 생각으로 찍어 봤다. 2루는 완전 블랙홀인데, Herrera 말고 Hector Gomez나 Luis Sardinas도 종종 기용되고 있으나 모두 타석에서는 자동아웃에 가까운 선수들로 죄다 그놈이 그놈이다.


만약 Lucroy가 정상 컨디션이라면, 얕볼 수는 없는 라인업이다. 최근 Braun이 시즌 초의 부진을 털어내고 스탯을 많이 끌어올렸으며, Lind는 초반의 기세가 좀 꺾였지만 여전히 우투수 상대로는 위협적인 타자이다. Gomez와 Davis의 뜬금포도 조심해야 할 것이다.



Go Cardinals...!!!

Posted by FreeRedbird
:

by Doovy


D-Backs Series Recap 

(미국시간)


5/25    Cardinals    3 : 2    D-Backs  (연장 10회)

5/26    Cardinals    6 : 4   
 D-Backs 
5/27    Cardinals    4 : 3   
 D-Backs 


연장 10회에 터진 Peralta의 끝내기 홈런에 힘입어 메모리얼 데이 특집 1차전을 가져왔다. "팀원들이 배가 고프다고 해서 경기를 끝내야겠다고 생각했다" 는 Johnny Peralta의 간지나는 인터뷰가 도화선이 되었는지 이후 2, 3차전에서도 뒷심을 발휘해 승리를 했는데, 특히 3차전은 사실 글렀다고 본 경기였는데, 엄한 수비로 실망감을 안겨주었던 Heyward가 결정적인 속죄포를 터뜨려준 데 이어 상대 포수 Jordan Pancheco의 악송구로 결승점을 뽑아내며 올 시즌 3번째 스윕을 달성했다 (다른 두 번은 vs Reds, vs Pirates).  Jaime가 부상 복귀 후 첫 승을 신고했다는 것 또한 큰 수확이며, Wainwright과 개인면담을 가진 후 올 시즌 들어 가장 완성도 높은 피칭을 보여준 Carlos Martinez의 호투 역시 반갑다 (GB 13개, Game Score 73). Cardinals는 D-Backs 상대 전적이 최근 10경기 9승1패이다. 


스윕은 기쁘지만 Matt Adams의 시즌 아웃 선고는 치명적이다. Adams를 잃어서 치명적인 게 아니라 야수 Depth가 바닥이 나고 있어서 치명적이다. 좀 씁쓸하지만 Adams가 wRC+ 80, fWAR 0.1를 적립하는 동안 Reynolds가 wRC+ 103, fWAR 0.5를 적립해주었으니 단기적인 전력 손실은 사실상 없다. Reynolds는 우리가 컨텐더 팀이 아니라면 하위팀의 주전 1루를 봐도 괜찮은 선수다. 좌우 스플릿이 심하지도 않고 (좌투 상대로 wRC+ 112, 우투 상대로 wRC+ 104) 최근 3년 우투 상대 성적도 wRC+ 112 --> 91 --> 97 수준이다. 


그러나 아직 시즌은 4개월이나 남았다. 잔여 시즌 내내 Reynolds가 1루에서 장기적 대안이 된다면 가뜩이나 허접한 벤치가 더더욱 보기 힘든 지경이 되어진다. 3루 및 1루에 딱히 백업 대안이 없는데다가, 1루에 Scruggs / Dan Johnson, 혹은 3루에 Dean Anna를 끌어쓰는 걸로 어떻게 버틸텐가. 1/3루 커버가 모두 되는 Reynolds를 다시 벤치로 돌려놔야 이 상황이 마무리될 터. Ryan Howard, Adam Lind, Justin Morneau, 등의 1루 옵션이 수면 위로 떠오르고 있으며, Daniel Nava, Aramis Ramirez, Travis Ishikawa 등의 이름도 거론되고 있다. Adan Lind는 한창 가격이 비쌀 상황이고, Howard는 Amaro가 연봉 보조를 어지간히 해주지 않을 것 같아서 힘들어 보인다. Mo의 성향과 Rockies 구단과의 우호적인 관계, 페이롤 유동성을 생각하면 Morneau 도 가능성 있어 보인다. (물론 골골거리고 있는 Morneau가 트레이드 칩으로써의 가치를 재증명한다는 가정이 따라줘야...) Nava, Ishikawa 등은 굳이 출혈하면서까지 영입할 필요가 있나 싶다.






Series Preview: Dodgers at Cardinals 
 성적

Cardinals 31 16패 (NL Central 1위) Run Differential +59 
  
Dodgers 28 18 (NL West 1)    Run Differential +53


※ 2013년 상대전적 4승 3패 Dodgers 우위 (Cardinals 27득점 30실점)

※ 2014년 상대전적 4승 3패 Dodgers 우위 (Cardinals 14득점 25실점)

상대 로테이션의 쌍포인 Kershaw와 Greinke를 모두 피해가는 천혜의 매치업. 홈 스탠드 중에 꿀같은 하루 휴식일까지 가졌고, 전속계약이라도 한 듯 자주 출연하던 ESPN의 Sunday Night Baseball 스케줄도 피해갔으며, Dodgers의 원정 성적 (7승 11패), Cardinals의 홈 성적 (18승 5패, 리그 1위) 도 긍정적이다. 게다가 홈 3연전에서 만날 투수들 중 가장 위협적인 투수가 기껏해야 Brett Anderson 정도라는 사실은 크게 고무적이다. Ryu 의 시즌 아웃으로 국민 팀 Dodger의 성적은 이제 Pirates와 Rangers 뒤로 밀렸으니 피곤하고 시끄러울 일도 없을 것이다. 아무쪼록 반드시 위닝시리즈를 잡아야 할 것이다.


매치업은 잘 짜여졌다. 3차전을 제외하고는 딱히 뭐 힘들어보이는 경기는 없다. 최근 페이스가 좋은 1차전 선발 Mike Bolsinger를 두들겨 초반 기세를 잡을 수 있다면 무난히 시리즈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며칠 후 (6월 4일~7일) 에 다가올 Chavez Ravine에서의 고달픈 4연전을 생각하면 (Kershaw와 Greinke 모두 등판) 위닝 시리즈는 옵션이 아니라 필수이다. 



Probable Starters
(
미국시간)


5/29                       John Lackey (2-3, 3.18 ERA)     vs     Mike Bolsinger (3-0, 0.71 ERA) 

5/30                   Michael Wacha (7-0, 1.87 ERA)     vs     Carlos Frias (3-2, 5.32 ERA)

5/31                  Carlos Martinez (4-2, 3.54 ERA)     vs     Brett Anderson (2-2, 3.47 ERA)


  • 1차전은 충분히 해볼만하다. 상대 선발 Bolsinger는 메인피치인 커터의 최고 구속이 85-86mph 사이에서 형성되며, Strikeout 피치로 12-6 커브를 구사하는 아주 솜사탕같은 레퍼토리를 지녔다. 속구로 압도할 수 없고 구종도 단순해서 어쩔 수 없이 스트라이크 존 가장자리에 제구를 맞추지 못하면 그냥 털려버릴 수 있는 투수인데, D-Backs AAA에서 8.5%대 BB%를 기록하던 녀석이 갑자기 6.5%의 뛰어난 제구력을 보이며 이를 극복해내고 있다. 체인지업이 제대로 장착이 되지 않아 좌타자 상대에도 애를 먹는다. (올 시즌 4BB 7SO vs L, 2BB 15SO vs R)

  • Bolsinger는 전형적인 Over-throw 딜리버리를 구사하는데 Horizontal-Movement는 허약하나 Vertical Movement는 그럭저럭 쓸만한 편. 덕분에 작년 D-Backs 시절에도 52.4%의 GB%를 기록했고, 변태스러운 성적을 찍고 있는 이번 시즌도 58.3%를 기록하고 있어 땅볼 덕후 모습이 역력하다. 커브 구사율이 무려 50%에 이를만큼 단조로운 투구패턴인데, 대신 커브로 스트라이크를 잡아내는 능력이 뛰어나다는 것은 유의할 점이다. 이렇게 많이 던지는데 SwStr%가 9.3%에 이르는 것 보면 (Lance Lynn의 커리어 수치와 비슷) 브레이크 각이 좋은 것은 분명하다. 

  • 불과 두 달 전에 D-Backs로부터 거의 버려지다시피 한 Bolsinger는 (현금 트레이드로 입단) 지난 Padres와의 경기에서 리드오프 안타 허용 후 무려 23타자를 연속으로 범타 처리하며 8IP 1H 0ER 8K의 인생투를 선사, Dodgers 로테이션에 큰 힘이  되고 있다. 그러나 LOB% (잔루율) 이 96.9%에 이를만큼 여태껏 비정상적으로 실점을 억제했으며, 바꿔말하면 어느 정도 맞을 때가 되었다. Mattingly를 비롯해서 Dodgers 스태프들 모두 Bolsinger의 Ceiling을 확실히 알고 있을 것이기에 조금 맞아가는 듯 싶으면 여태껏 찍은 스탯이 무안할만큼 빠른 훅이 들어와 Juan Nicasio 로 바뀔 것으로 본다. 

  • 결국 1차전은 Lackey 만 평소 하던대로 해주면 어려운 경기가 될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 정직한 딜리버리 + 종으로 떨어지는 브레이킹볼 + 단순한 레퍼토리 프로필의 27세 늦깎이 우완투수한테 설마 3점도 못낼까. 우려되는 것이 있다면 장타허용률이 제자리를 찾아갈 Lackey가 NL 홈런 1위 타선에게 (팀 홈런 60개, SLG .451) 얻어터지면서 경기가 산으로 가는 시나리오인데, 이렇게 되면 요새 강력한 Dodgers 불펜이 부담스러운 것이 사실이다. 천적과도 같은 Carl Crawford가 부상으로 전력 이탈이라는 점과 최근 3경기 투구수가 105-76-68에 불과한데다, 5일 휴식 후 등판하는 경기라 체력적으로 큰 부담이 없다는 점은 Lackey에게 호재이다.

Lackey vs. Dodgers
  • Andre Ethier - 16AB 4H 1D
  • Adrian Gonzalez - 17AB 6H 1D.353/.389/.412
  • Howie Kendrick- 18AB 4H 
  • Jimmy Rollins - 11AB 1H 
  • Juan Uribe - 23AB 6H 4D
  • Carl Crawford - 48AB 23H 3D 2HR 9RBI .479/.479/.708
  • "맞을 때가 되었다" 는 말은 던지는 경기마다 승리를 가져다주는 2차전 Wacha에게도 적용이 되는 말이긴 한데 (Wacha 경기에서 팀 9승 무패), 미숙한 상대 선발 Carlos Frias를 생각하면 이 경기 또한 부정적인 전망은 어렵다. Wacha는 데뷔 이후 정규시즌에서 Dodgers 를 상대로 던져본 적이 단 한 차례도 없으나, 우리 모두 2013 NLCS의 MVP가 누구였는지 똑똑히 기억하고 있다. (NLCS 2차전 6.2IP 5H 0ER 1BB 8K, 6차전 7IP 2H 0ER 1BB 5K). 

  • 물론 2년전에 비해 라인업이 많이 바뀌어서, 이번에 붙을 Dodgers 선수들 중 Wacha를 상대해본 선수들은 Adrian Gonzalez (6AB 0H 1BB 2SO), Andre Ethier (4AB 0H 3SO), A.J. Ellis (6AB 2H) 정도가 고작이다. 

  • 2차전 상대 투수 Carlos Frias는 지난 Padres전에서 4IP 12H 10ER 2BB 0SO, Game Score -4점이라는 희귀한 기록을 작성하며 망신을 당했다. 그 전 2경기에서 6IP 1ER, 6IP 3ER 로 사람답게 던졌으니 명예회복을 하겠다고 기를 쓰고 덤빌 것으로 보인다. 최고 97mph, 평균 95.7mph까지 나오는 빠른 패스트볼 + 90mph에서 형성되는 커터 + 마이너 시절 20/80 스케일에서 55까지 받았던 슬러브를 구사하는 등 Make-up 자체는 나쁘지 않고, Padres 전 참사를 제외하면 그렇게까지 얕잡아 볼만한 투수는 아니다. 다만 좌타 상대로 .386/.438/.535 로 털털 털리고 있다는 점을 생각하면 넉넉히 3~4점 이상 뽑아낼 수 있는 상대라고 본다. 

  • 3차전의 Brett Anderson은 "(건강만 하다면) 리그 최고의 그라운드볼러" 라는 평을 확인시켜주고 있다. 지난 Braves전에서 무려 18개의 땅볼을 유도하며 7IP 7H 2ER로 잘 던졌으며, 5월달 ERA 2.12에 불과할만큼 페이스가 좋다. 4월에 비해서 모든 구종의 구속이 1마일 가량 올라간 상태이다. (포심 91-->92, 싱커 90-->91, 슬라이더 82-->83).

  • 대놓고 싱커로 땅볼을 유도하는 스타일이라 (시즌 GB 68.4%, 커리어 56.6%) 컨택트할려고 달려드는 우리와 상성이 좋은 투수가 아니며, 상대해 본 타자들도 적다 (Bourjos 10AB 1H, Peralta 9AB 1HR). 올 시즌 LD%가 12.7%에 불과할만큼 정타를 피해가고 있는데, 투구수가 많다는 약점을 파고들지 않는다면 (7회에 마운드에 올라본 것이 올 시즌 2차례에 불과) 땅볼만 20개 치고 8이닝을 헌납할 수 있는 스타일이다. 3차전은 Anderson 상대로 3득점 이상이 힘들 것으로 예상하기에 정신 좀 차린 Martinez가 최대한 오래 버텨주길 바랄 뿐이다.

  • Martinez는 지난 등판에서 jdzinn님의 분석을 읽기라도 한 듯 포심보다 투심을 더 많이 던지는 변화를 통해 좋은 결과를 이끌어냈다. 총 97구 중 포심 27개, 투심 33개, 체인지업 15개, 슬라이더 22개를 던졌는데, Martinez가 포심보다 투심을 더 많이 던졌던 경기는 지난 경기가 처음이었다. 결과는 13개의 땅볼과 무실점, 그리고 8개의 탈삼진이었으니 이 방향으로 쭉 나가는게 좋을 것이다.

Statistics

팬그래프에서 새로 제공하는 Hard % (강타 생산률? 정도로 해두자) 로 봤을 때 Cardinals은 Dodgers에 크게 뒤지지 않고, 다저스가 엄청난 Powerhouse인 것은 맞지만 전반적인 득점력에서의 갭이 생각보다 크지는 않다. 상대는 홈런에 극히 의존하는 팀, 우리는 홈런을 잘 제어하는 것으로 유명한 팀이니 묘한 대결이다. 

 

 LAD 

 STL 

 HR/FB

15.8% (ML 1위) 

 9.0% (ML 26위)

 wRC+

120 (ML 1위)

 103 (ML 7위)

 ERA

3.45 (ML 4위)  

3.45 (ML 4위) 

 LD%

 22.1% (ML 8위)

21.5% (ML 12위)

 ISO

 .192 (ML 1위)

.136 (ML 19위) 

 Hard%

30.7% (ML 4위)

30.5% (ML 5위) 


불펜 용호상박


 

 LAD 

 STL 

 Bullpen ERA

2.60 (ML 4위) 

 2.2(ML 3위)

Bullpen FIP

2.45 (ML 1위)

 3.18 (ML 5위)

 HR/FB

5.2% (ML 2위)  

5.5% (ML 3위) 

 Innings Pitched

 131.1IP (ML 26위)

147.1 IP (ML 9위)

 Whip

 1.11 (ML 4위)

1.22 (ML 10위) 

 K/BB

3.37 (ML 2위)

2.55 (ML 10위) 


Dodgers 불펜은 Pedro Baez, Chris Hatcher, Yimi Garcia 등 무서운 구속과 K/9을 자랑하는 투수들이 Kenley Jensen이 나오는 9회까지 다리를 놓아주고 있다. K/9 수치만 보면 굉장히 버거운 투수들이다.

  • Kenley Jansen - 16.20
  • Yimi Garcia - 14.85
  • Pedro Baez - 12.91
  • Juan Nicasio - 12.36
  • Chris Hatcher - 10.67
  • Sergio Santos - 10.13          

양팀 모두 불펜진이 잘 버텨준 덕에 시즌 초반을 수월하게 났으나, 지금 상황만 보면 이로 인해 똑같은 종류의 곤경에 빠진 처지이다. Cardinals는 Walden의 이탈 이후로 불펜 과부하 문제가 불거졌으나, Garcia가 복귀하고 Martinez가 살짝 정신을 차리면서 어느 정도 안정을 찾아가고 있다. 반면 Dodgers는 Kershaw/Greinke 가 등판하지 않는 경기에서의 불펜 소모 문제가 여전하며, Bolsinger가 8이닝 인생투를 해주길 매번 기대하기도 어려운 실정이다. 겉으로 봤을 때 Dodgers 불펜이 우리보다 더 강력해보이지만, (삼진은 확실히 더 잘 잡는다), 에이스 없이 이번 시리즈를 맞이하는 Dodgers의 상황만 보면 그다지 우리가 쫄 것도 없다. 최근 7일간의 이닝소모만 따지면 Cardinals 불펜은 14이닝을 던지며 피안타율 0.250, Dodgers 불펜은 15이닝을 소화하며 피안타율 0.254였으니 대동소이하다. 선발 매치업상의 우위를 십분 활용해 상대 불펜의 위력을 절감시켜야 할 것이다.


 

 

 

 

 

 

 

 

 

 

 


Players to Watch


Joc Pederson


시즌 전 ROY 유력 후보였는데 뚜껑을 열어보니 스윙도 예쁘고 장타력도 좋은게 운동능력을 업그레이드한 (전성기) Ethier 2.0 같다. 진짜 ROY를 탈 기세로 질주 중이며, 2달만에 12HR에 .263/.392/.553이라는 무서운 성적을 내고 있다. 5월달 타율은 .242에 불과하지만 이번 달에만 홈런을 무려 8개를 쳤고, 최근 Braves 3연전에서 13타수 7안타로 타격감이 몹시 상승세이다. 홈런 12개중에 볼카운트 0-2에서 친 게 무려 4개. 이번 시리즈에서도 무난히 리드오프로 출장할 듯 싶으며, 우리 투수들에게 이번 시리즈 최대 과제가 될 것이다. Carlos Martinez와의 상성이 좋지 않을 것으로 본다. 















Miscellaneous

  • Matt Holliday 의 연속 출루 행진이 여전히 이어지고 있다. 시즌 개막 이후 43경기 연속 출루로, 이 부문 프랜차이즈 기록인 Pujols의 41경기 (2008) 기록을 가볍게 제쳤고 이제 메이저리그 기록에 도전 중이다. ML 최장 기록은 1999년 Derek Jeter의 (시즌 개막 이후 첫) 53경기 연속 출루이다.

  • 손가락 부상으로 이탈해있던 Jon Jay가 이번 시리즈부터 DL에서  복귀한다. 안 올라와도 되는 거 맷돼지 부상 때문에 올라왔다가 괜히 버스만 두 번 타게 된 멤피스 포수 Ed Easley만 불쌍하게 되었다. 콜업은 2번째인데 아직 한 번도 필드에 나가본 적이 없다.



Go Cards!

 

 

 

by Doovy

 

Posted by Doovy+
:

by 주인장.


Mets Series Recap


5/18 Mets 2, Cardinals 1 (연장 14회)

5/19 Cardinals 10, Mets 2

5/20 Cardinals 9, Mets 0

5/21 Mets 5, Cardinals 0


이 네 게임짜리 시리즈는 여러 팬들의 바람대로 스플릿을 달성하고 끝났다. 심지어 약간의 실력/운/감독의 매니징 뭐라도 하나 좀 더 있었다면 1차전도 잡을 수 있었을 것을... 아쉽게 되었다. 2, 3차전은 일방적으로 대승을 거뒀고, 4차전은 반대로 deGrom의 압도적인 구위에 눌려서 영봉패했다. deGrom은 유망주 시절에 그다지 주목받은 적도 없는 투수인데, 참 투수는 타자에 비해 변화무쌍한 존재인 것 같다.


댓글에도 있었지만 4차전, 아니 이 시리즈 최대의 소득이라면 Jaime가 멀쩡한 모습으로 돌아와 7이닝을 먹어 준 것이다. Jaime는 몸만 건강하다면 참 괜찮은 투수이다. 그러나 이대로 시즌을 완주할 거라는 기대는 하지 않는 게 좋을 듯. 10번 정도라도 등판해 주면 고마울 것 같다. 일단은 그냥 지금을 즐기도록 하자.



Series Preview: Cardinals at Royals (시즌 첫 맞대결)

팀 성적

Cardinals 27승 14패 .659 (NL Central 1위, 2위와 3.5 게임차)  Run Diff. +56

Royals 26승 14패 .650 (AL Central 1위)  Run Diff. +64


두둥!! 양대리그 최고 승률 팀의 맞대결이다. MLB 전체를 통틀어 Cards가 승률 1위, Royals가 승률 2위이다.

참고로, 승률 3위 팀은 .643의 Astros이다. Mets가 초반 기세를 잃고 지구 2위로 내려간 가운데, Astros는 올 시즌 최대 돌풍의 주역으로 계속 진격 중이다. 2위 Angels와의 승차는 5.5게임이나 된다.


Royals는 오랜 기간 동안 하위권을 전전하던 팀이었으나, 2013년부터 3년 연속 컨텐더가 되어 어느새 AL 중부지구의 강팀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Dayton Moore는 시대의 흐름에 역행하는 무브들을 여러 차례 감행하여 그동안 욕도 많이 먹었지만, 지난 3년간의 성과는 인정해야만 할 것이다.


Baseball Prospectus의 플옵 진출 확률 계산에 따르면, 지구 우승이든 와일드카드든 간에 Division Series에 올라가 확률은 이 글을 쓰는 현재 Cards가 79.7%, Royals가 42.6%이다. (링크에서 "Playoff Pct(Adj)"를 보면 된다)



Probable Starters

Game 1: Lance Lynn at Chris Young                   5/22 20:10 EDT (5/23 9:10 KST)

Game 2: John Lackey at Danny Duffy                 5/23 19:15 EDT (5/24 8:15 KST)

Game 3: Michael Wacha at Edinson Volquez          5/24 14:10 EDT (5/25 3:10 KST)


1차전 매치업을 적다가 내가 아는 그 선수가 맞는지 몇 번 다시 확인해 봤다. 맞다. 그 208cm의 어마무시한 키를 자랑하는 Chris Young이다. Padres에서 꽤 좋은 활약을 하다가 한때 메이저리그에서 거의 사라졌던 Young이다. 그대로 은퇴하는가 싶었지만, 그는 작년에 Mariners에서 선발로 뛰면서 3.65 ERA로 부활을 알렸다. 그러나 구단들은 5.02 FIP, 5.19 xFIP, 85마일에 불과한 구속, 그간의 부상/부진 전력 등 그와 계약하지 않을 수많은 이유를 가지고 있었고, 결국 3월이 되어서야 Royals와 고작 $675K 개런티라는 초라한 계약을 맺었다. 이 계약에는 메이저리그 로스터 잔류 일수 및 선발 등판 수, 이닝 수에 대해 총 $2.25M의 옵션이 붙어 있는데, 모두 달성하더라도 $3M이 채 안되는 것이다. 현재 그는 0.94 ERA를 기록 중이니, 올 시즌 최고의 대박 계약이라고 봐도 무방할 정도이다. 현재까지는 말이다.


물론 그의 FIP는 2.85, xFIP는 4.66, SIERA는 4.42이며 BABIP는 .132에 불과하므로, 이런 말도안되는 성적을 계속 유지할 리는 없다. 그러나 그는 커리어 통산 BABIP가 .248에 불과할 만큼 남다른 안타 억제 능력을 보유한 투수이다. 그의 올해 패스트볼 평균 구속은 86.4마일로, 이는 2008년 이후 가장 빠른 속도이다. 전성기 만큼은 아니더라도 2008년 이후 최고의 시즌을 보낼 가능성이 있어 보인다. 음 그러니까... 한마디로 쉽지 않은 경기가 될 것이다. -_-;;;


2차전의 상대 선발은 Danny Duffy이다. 지난 시즌엔 바빕신의 가호를 받아 훌륭한 성적을 기록했으나 올 시즌에 제대로 뽀록이 나고 있는 중이다. Duffy는 94마일의 훌륭한 패스트볼을 가지고 있으나 보조구질이 시원찮고 결정적으로 제구력이 썩 좋지 않은 플라이볼 투수이다. 많이 생각할 것 없이 그냥 화끈하게 두들겨 주자. 마침 우리 선발은 요즘 페이스가 좋은 열정갑 Lackey이다.


3차전에서는 Wacha와 Volquez가 맞붙게 된다. Volquez는 과거에 구위를 앞세워 불안한 제구력을 힘으로 덮으려는 투구를 했는데, 작년에 Pirates에 가서 삼진을 줄이는 대신 볼넷도 확 줄이고 그라운드볼 유도를 통해 범타를 유도하는 스타일의 투수로 개조되었다. 올 시즌 Royals로 이적한 뒤에도 여전히 같은 스타일을 유지하며 2.74 ERA, 3.27 FIP로 좋은 활약을 하고 있다. 5월 들어 다소 흔들리는 모습이었으나, 지난 마지막 등판에서 Yankee를 상대로 7이닝 5K 0BB 무실점을 기록하며 리바운드에 성공했다. 저득점의 타이트한 경기가 예상되는 바, 상대 불펜이 극강이므로 이 경기도 쉽지 않을 것이다.



이왕이면 2승 1패를 할 것이라고 적고 싶으나, 아마도 1승 2패가 될 거 같다는 예감이 든다. Young에게 십중팔구 말릴 것이고, Volquez에게도 고전할 것 같다. Volquez는 작년에 해적떼 소속일 때도 쉽지 않은 상대였다. 매치업 운이 좀 없는 느낌이다. 이왕이면 요즘 상태 메롱인 Yordano Ventura나 Jeremy Guthrie를 만나면 좋았을 텐데...



Royals Lineup 예상


1. Alcides Escobar, ss      295/331/388, 100 wRC+

2. Mike Moustakas, 3b      342/396/503, 154 wRC+

3. Lorenzo Cain, cf         306/358/438, 120 wRC+

4. Eric Hosmer, 1b          321/395/545, 162 wRC+

5. Kendrys Morales, dh     294/349/463, 124 wRC+

6. Alex Gordon, lf           266/375/438, 129 wRC+

7. Salvador Perez, c         290/302/448, 105 wRC+

8. Omar Infante, 2b         264/269/380, 74 wRC+

9. Paulo Orlando, rf         253/292/385, 86 wRC+


이 팀 라인업에는 보시다시피 구멍이 별로 없다. 1번부터 7번까지가 모두 리그 평균을 넘는 타자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반적으로 컨택 능력이 무척 우수하다. Gordon(20.4%)을 제외하면 K%가 20%를 넘는 타자가 아무도 없을 정도이다. 게다가 도루 능력을 보유한 빠른 타자들도 여럿 포함되어 있어 상대하기가 꽤 까다롭다.


Royals는 컨택과 수비력, 기동력에 기반하는 올드스쿨 야구의 정수를 보여주는 팀이다. 팀 타선의 K%가 14.3%로 압도적인 메이저리그 1위이며, 팀 타율(.288) 역시 메이저리그 1위이다. 팀 UZR/150도 무려 18.9로 역시 압도적인 리그 1위이다. 다만 팀 BsR은 -3.1로 선수들의 스피드에 비해서는 다소 낮은 편이다. 뇌주루가 많았던 것일까?



Go Cardinals...!!!

Posted by FreeRedbird
:

by 주인장.


Pirates Series Recap


5/8 Cardinals 8, Pirates 5

5/9 Pirates 7, Cardinals 5

5/10 Pirates 4, Cardinals 3


Liriano가 나온 첫 게임을 이겨서 혹시나 하고 기대했으나, 결국 2, 3차전을 내주고 1승 2패로 루징시리즈가 되었다. 댓글에도 있었지만, 로테이션도 불안하고 MCarp조차 없는 상황에서 Wong과 Holliday 둘이 하드캐리하는 식으로 매 경기 이기는 것은 불가능하다. 게다가, 겉으로는 잘 던지고 있는 것처럼 보이는 Wacha도 현재 9이닝당 삼진 비율이 4.42로 형편없는 수준이어서, 언제 터질 지 모르는 시한폭탄 같은 느낌이다. 얘는 구속도 정상적으로 나오고 있고 구종 선택도 이전과 큰 차이가 없는데, 왜 갑자기 SwStr%이 10%에서 7%로 급락하고 삼진을 못 잡는 투수가 되었는지 잘 모르겠다. 당분간은 벌어놓은 승수가 많으니 어떻게 버틸 수 있겠지만, 장기적으로는 특히 투수쪽에 반드시 보강을 해야 컨텐딩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다행히 Carpenter는 이번 시리즈에 복귀할 예정이라고 하는데... 계속 삽질 중인 맷돼지는 도무지 어찌해야 할 지 잘 모르겠다. 동반 삽질을 해오던 Heyward는 이 시리즈에서 2루타 2개 포함 4안타를 기록하며 타율을 .259까지 끌어올리긴 했는데 여전히 별로 기대가 되지 않는 모습이다. 3차전에서는 무려 8번까지 타순이 내려갔는데, 아무리 상대 선발이 좌완이라지만 Jeff Locke가 무슨 대단한 위력을 가진 투수도 아닌데 8번이라니, MM의 기대치도 거의 바닥까지 내려간 느낌이다. (심지어 8번 타순에 이름이 있는 것을 보고도 아무런 위화감이 들지 않았다...)



Series Preview: Cardinals at Indians (시즌 첫 맞대결)

팀 성적

Cardinals 22승 9패 .710 (NL Central 1위, 2위와 6 게임차)  Run Diff. +47

Indians 11승 19패 .367 (AL Central 5위)  Run Diff. -19


이번 시리즈는 Indians와의 원정 3연전으로, 올 시즌 첫 인터리그 시리즈가 되겠다.


우리는 현재 +47의 득실차로 LA Dodgers에 이어 NL 2위에 랭크되어 있다. 특히 실점이 95점으로 메이저리그 전체 1위이다. Pirates 시리즈에서 16점을 내주고도 이정도이니 그동안 얼마나 점수를 안줬는지를 알 수 있다.


Indians는 시즌 시작 전만 해도 5할은 할 수 있는 팀으로 예상되었는데, 막상 뚜껑을 열어 보니 투수와 수비에서 많은 문제를 드러내면서 지구 꼴찌로 전락하였다. 경기당 실점이 5.1점으로 ML 30개 팀 중 네 번째로 실점이 많다.



Probable Starters

Game 1: Lance Lynn at Carlos Carrasco                5/12 18:10 EDT (5/13 7:10 KST)

Game 2: John Lackey at Corey Kluber                  5/13 18:05 EDT (5/14 7:05 KST)

Game 3: Michael Wacha at Trevor Bauer               5/14 12:05 EDT (5/15 1:05 KST)


"오오 재미있는 선발들을 볼 수 있겠네!" 하고 봤더니 경기 시간이 참 특이하다. 이동네는 원래 이런 시간에 경기를 하는 걸까? -_-;;;


Carlos Carrasco는 9이닝당 무려 11개의 삼진을 잡아내며 작년 막판에 보여준 괴력의 피칭이 전혀 뽀록이 아니었음을 보여주고 있는데, 3.02 FIP, 2.61 xFIP, 2.72 SIERA의 압도적인 스탯에도 불구하고 ERA는 4.71이다. Indians 경기를 별로 보지 못했으나 악명높은 Indians 수비진에 의해 이런저런 피해를 보고 있는 것이 아닌가 추측된다. 이넘은 raw stuff로는 메이저리그 TOP 10 선발 안에 들어갈 무서운 녀석이다. 최대한 공을 인플레이시키고, 한편으로 Wong의 뜬금포에 승부를 걸어 보자. 이왕 하는 거 쫌 더 부탁한다 멍아!


2차전 상대 선발은 Kluber이다. 작년 사이영상 수상자이니 네임밸류만 보면 역시 전혀 답이 없어 보이지만, 역시 Carrasco와 비슷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3.20 FIP, 3.14 xFIP, 3.19 SIERA와 5.04 ERA 사이에는 엄청난 괴리가 있는 것이다. 1차전과 마찬가지로 쫄지 말고 휘두르면 좋은 결과가 있을 것이다.


3차전 선발 Trevor Bauer는 위의 두 명과 달리 3.80 FIP, 4.18 xFIP, 4.09 SIERA에 4.19 ERA로 실제 실점 결과와 advanced stat 사이에 별 차이가 없다. 이것은 위의 두 명이 50% 내외의 그라운드볼 비율을 기록하고 있는 것과 달리 Bauer가 39.4 GB%로 플라이볼 성향을 보이는 것에 기인하는 것이 아닌가 싶다. 그라운드볼이 많으면 아무래도 수비 의존도가 높아질 수밖에 없다. 일반적으로는 그라운드볼 유도가 미덕이지만 수비가 부실한 팀에서는 오히려 상대의 출루를 도와주는 결과가 되는 것이다.


실제로 Indians 투수/수비진의 팀 BABIP는 .344로 MLB 30팀 중 최악이다. 그러니 이 시리즈의 목표는 명확하다. 공을 쳐서 인플레이를 시켜라. 상대 선발들은 모두 삼진 잡는 데 탁월한 능력이 있는 투수들이고, 우리는 컨택이라면 좀 하는 팀이다. 이거 재미있는 대결이 될 것 같지 않은가? ^^



Indians Lineup 예상


1. Jason Kipnis, 2b         294/345/437, 122 wRC+

2. Carlos Santana, 1b      240/382/385, 125 wRC+

3. Michael Brantley, lf       340/410/521, 164 wRC+

4. Brandon Moss, rf         221/280/453, 102 wRC+

5. Lonnie Chisenhall, 3b    238/284/396, 89 wRC+

6. Nick Swisher, dh         261/261/304, 58 wRC+

7. Michale Bourn, cf        218/301/267, 68 wRC+

8. Robert Perez, c          173/318/365, 98 wRC+

9. Jose Ramirez, ss        173/209/235, 24 wRC+


클블 타선은 보시다시피 상위 3, 4명만 야구를 하고 있어서, 우리와 비슷한 아주 친숙한 모습이다. 주전 중에는 포수 Yan Gomez가 DL에 올라 있다.


Brantley는 부상에서 복귀한 뒤로 맹타를 휘두르고 있는 중이다. Moss는 뜬금포는 여전하나 정확도가 많이 떨어진 모습이다.


Swisher와 Bourn은 메이저리그 주전으로서의 수명이 다한 듯하다. 좋은 선수들이었는데 이렇게 기량이 쇠퇴하는 모습을 보면 같이 늙어가는 처지로서 참 안타까운 생각이 든다. -_-;;;



Go Cardinals...!!!

Posted by FreeRedbird
:

by 주인장.


Reds Series Recap


4/17 Cardinals 6, Reds 1

4/18 Cardinals 5, Reds 2

4/19 Cardinals 2, Reds 1


솔직히 스윕은 기대하지 않았는데, 3경기 동안 단 4점만을 내주는 짠물 야구를 하면서 시리즈를 쓸어담았다. 특히 선발진이 3경기에서 21이닝을 3실점으로 막아준 공이 컸다. 눈으로 보기에는 그렇게 안심이 되는 모습은 아니었는데... 셋 다 압도적인 모습은 아니었던 것 같다. Wacha는 체인지업이 잘 안들어갔고 Waino도 여전히 관록으로 누르는 느낌이고, CMart은 작년보다 구속이 많이 안나오고 있다. 그러나 상대가 못 치는 건지, 수비들이 잘 해주는 건지, 아님 투수들이 단체로 법력을 발동하는 것인지... 어쨌든 결과는 좋았다.


타선에서는 MCarp가 맷보배 모드를 계속 시전 중이고, 무엇보다도 Yadi가 타석에서 살아나는 모습을 보인 것이 참 반가웠다. Heyward는 주루와 수비는 참 좋은데 타석에서는 출루에 너무 신경을 안쓰는 느낌이다. 2번타자인데 출루율이 .229에 불과하니... -_-;; 그러나 지금으로서는 딱히 2번에 넣을 대안도 없다. 복사기의 출루율도 .275에 불과하고, Wong은 스탯을 다 떠나서 상위타선에 놓기에는 뇌에 문제가 너무 많다.


3차전은 4안타로 2점을 내서 이겼는데, 이런 승리를 자주 기대하는 것은 당연히 무리이다. Heyward와 맷돼지가 반드시 빠른 시일내에 살아나 주어야 한다. Heyward는 .243의 낮은 BABIP로 약간 불운한 것도 있지만, 1:9의 BB:K 비율에서 볼 수 있듯 타석에서의 어프로치 자체에 문제가 있다. 커리어 평균 28.6%인 O-Swing%이 올해 33.9%로 치솟은 것을 보더라도, 닥치는 대로 막 휘두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올 시즌 그의 Zone%는 39%에 불과한데, 상대 투수들이 그를 정확히 파악하고 볼을 던지고 있는 것이다. 나쁜 공에 계속 손을 대는 한 투수들은 계속 볼만 던질 것이고, 계속 성적이 안나올 것이다. 올 시즌 Heyward의 그라운드볼 비율이 55.3%까지 치솟았는데, 역시 존에 들어오지도 않는 공을 건드리는 것이 주요 원인이 아닐까 생각된다. 결국 이녀석도 뇌가 문제인 것인가... 


맷돼지는 볼넷 비율이 8.1%로 작년의 4.6%에 비해 크게 향상되었고, SwStr%도 작년 10.3%에서 올해 8.9%로 감소하는 등, Plate Discipline 측면에서는 발전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BABIP가 .240으로 상당히 낮은데, 이전에도 쉬프트를 많이 당했으면서 커리어 통산 .332의 높은 BABIP를 기록해 왔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면 자연스럽게 어느 정도 나아지지 않을까 기대해 본다. Heyward보다는 이쪽이 스탯을 개선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Series Preview: Cardinals at Nationals (시즌 첫 맞대결)

팀 성적

Cardinals 8승 3패 .727 (NL Central 1위, 2위와 1.5 게임차)  Run Diff. +19

Nationals 6승 7패 .462 (NL East 3위)  Run Diff. +1


이번 시리즈는 Nats와의 원정 3연전이다.


우리는 현재 득실차가 +19로 NL 2위인데, 11경기에서 실점이 24점에 불과하여 경기당 2.2 실점으로 이쪽에서는 압도적인 1위이다. 위에서도 이야기했듯이 이런 짠물야구가 계속 가능할 리가 없으니 타선이 좀 더 기운을 내야 할 것이다.


Nats는 많은 전문가들에 의해 월드시리즈 우승이 유력한 NL 최강팀으로 꼽혔으나, 막상 시즌에 돌입하니 선발진이 흔들리면서 의외로 고전 중이다. 특히 Stephen Strasburg, Gio Gonzalez, Jordan Zimmermann 셋이 모두 들쭉날쭉한 모습을 보여 왔다.



Probable Starters

Game 1: Lance Lynn at Gio Gonzalez                   4/21 19:05 EDT (4/22 8:05 KST)

Game 2: John Lackey at Doug Fister                    4/22 19:00 EDT (4/23 8:00 KST)

Game 3: Michael Wacha at Max Scherzer               4/23 16:05 EDT (4/24 5:05 KST)


아직 정신 못차리고 있는 Gio Gonzalez가 등판하는 1차전은 무조건 잡아야 한다. 무슨 이유인지 Gio의 SwStr%은 앞선 두 경기에서 4.5%에 불과했는데, 컨택 위주의 우리 팀 타선으로서는 좋은 상성이라고 생각되므로, 탈탈 털어 주자. 선발 Lance Lynn은 올 시즌 슬라이더의 구사 비율을 늘리면서 더욱 선발로서 완성도가 높아진 느낌이며, 좋은 구위를 보여주고 있다. 물론 우타위주의 Cubs, Brewers와 달리 - 이 팀들은 대략 Rizzo, Lind만 넘으면 되는 느낌이었다 - Nats에는 Harper, Span 두 명의 좌타자와 스위치 히터 Espinosa가 포진하고 있어 앞선 등판들보다는 난이도가 다소 높은 편이다.


2차전 Lackey는 Reds 전에선 부진했고, 직전 Brewers 전에서는 7이닝 1BB 8K 무실점으로 위력적인 투구를 한 바 있다. 이번 등판은 어떤 모습일지 예측이 잘 안된다. 4월 Lackey는 그다지 신뢰하기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한편 상대 선발 Fister는 0.69의 멋진 ERA를 자랑하고 있으나, 13이닝에서 5 K, 5 BB로 내용이 상당히 좋지 않다. 실점을 하지 않은 것은 .222의 낮은 BABIP와 86.7%의 LOB%에 힘입은 바가 매우 크다. 참고로 Fister의 패스트볼 평속은 커리어 최저 수준인 86마일까지 떨어진 상태이다. 서두르지 않고 타석에서 침착하게 대처하면 충분히 털 수 있는 투수라고 생각되는데, 그게 잘 될지 모르겠다. -_-;;


3차전의 상대 선발 Scherzer는 3경기에 나와 0.83 ERA, 1.27 FIP로 압도적인 성적을 기록 중이다. 물론 그 중 두 경기가 허접한 Phillies를 상대로 한 것이긴 했지만, 현재 리그에서 가장 상대하기 힘든 선발투수 중 한 명임은 확실하다. 어려운 경기가 될 것이다. 이 경기를 이길 수 있는 시나리오는 Wacha의 호투로 저득점 경기를 만든 뒤 불펜게임에서 뽀록으로 이기는 정도가 아닐까? 행운을 빈다. ㅎㅎ



Nats는 무척 까다로운 상대지만, 그래도 2승 1패를 예상해 본다. 저쪽은 아직 제대로 기량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고, 우리에게는 법력이 남아 있다...!! ㅎㅎ Nats는 엄청 강한 전력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뭔가 부조화스러운 느낌이 든다.



Nationals Lineup 예상


1. Span, cf          200/200/200, 9 wRC+

2. Desmond, ss     314/375/451, 137 wRC+

3. Werth, lf          130/231/174, 23 wRC+

4. Harper, rf         267/411/556, 157 wRC+, 4 HR

5. Zimmerman, 1b   184/286/408, 97 wRC+

6. Escobar, 3b      286/362/405, 121 wRC+

7. Ramos, c         268/292/390, 79 wRC+

8. Espinosa, 2b     238/385/571, 170 wRC+

9. Pitcher


시즌 개막을 DL에서 맞았던 Denard Span이 일요일에 복귀하여 그동안 중견수를 보던 Michael Taylor는 AAA로 내려갔다.


최근 주전 3루수인 Yunel Escobar가 부상으로 며칠 못 나오면서 Espinosa가 3루, Uggla가 2루를 보는 스타팅 라인업이 쓰였다. Cards와의 시리즈에서는 Escobar가 나올 수 있을 것 같다고 한다.


Werth와 Zimmerman의 부진이 눈에 들어오는데, 둘 다 이런 부진이 시즌 내내 계속되지는 않을 것이다. 정상 컨디션의 Nats 타선은 빈틈이 거의 없다고 보아도 무방하다. 괜히 우승 후보가 아닌 것이다. 하위 타선에서는 Espinosa의 뜬금포를 주의하도록 하자.



Miscellany


이미 lecter님께서 댓글로 소식 전해주신 대로, Peter Bourjos가 아들이 태어나면서 3일 동안 팀을 떠나 있게 되었고, 그 자리를 Mitch Harris가 채우게 되었다. 둘 다 축하하며, 특히 어렵게 메이저리그까지 도달한 Harris를 많이 응원해 주고 싶다. 아마도 3일 후에 다시 내려가겠지만, 좋은 모습을 보여줘서 나중에 또 콜업되길 바란다.



Go Cardinals...!!!

Posted by FreeRedbird
:

by 주인장.


Cubs Series Recap


4/5 Cardinals 3, Cubs 0

4/8 Cubs 2, Cardinals 0


개막전을 남들보다 하루 일찍 치른 데다 2차전이 우천으로 연기되다 보니, 4일 동안 꼴랑 두 경기를 하고 또 하루 쉬었다. 참 감질나는 일정이다.


개막전은 바빠서 모니터 한쪽에 띄워 놓고 중간 중간 띄엄 띄엄 봤는데, 실점을 하지는 않았으나 거의 매 이닝 선두타자를 출루시키는 Waino의 모습은 그렇게 믿음직스럽게 보이지 않았다. 떨어진 구속과 구위를 관록으로 커버하는 베테랑의 모습을 보여 주었는데, 여기서 관록에 대한 의존도가 점점 커질 수록 흑마술 투수로 변화해 가는 것이다. 작년 시즌 MLB에서 최다 삼진 비율 및 스윙 스트라이크 2위를 기록했던 Cubs 타선(24.2 K%, 11.0 SwStr%)에게도 헛스윙을 많이 이끌어내지 못하는 것이 아쉬웠다. 이제 한 경기 등판했을 뿐이니 오버할 필요는 없겠으나, 이후의 등판에서는 좀 더 에이스다운 모습을 보여주기를 기대해 본다.


2차전은 Cards가 4안타 3볼넷, Cubs가 2안타 1볼넷으로 우리 쪽 투수들의 퍼포먼스가 더 좋았음에도 불구하고, 7회 한 번의 찬스를 잘 살린 Cubs가 승리를 가져갔다. Lynn은 아주 많은 사람들이 대표적인 regression 후보로 꼽고 있는데, 의외로 올해도 작년과 비슷하게 잘 해줄 지도 모르겠다.


Heyward는 이렇게 보니 왜 그렇게 스카우트들이 극찬을 해 왔는지 알 것 같다. 정말 Toolsy라는 표현은 이럴 때 쓰는 것인가 싶었다. 주루, 수비는 그냥 넘사벽이고 타석에서도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는데, 이렇게 툴로 가득 찬 선수를 우리 팀에서 보는 게 정말 얼마만인가 싶다. 파워 포텐이 끝내 터지지 않아 연평균 15홈런 정도에 머무르더라도 다른 방법으로 충분히 많은 기여를 해 줄 수 있는 선수라고 본다. 홈런 갯수가 작아 시장에서 200M 이상 받기는 힘들어 보이니, 오히려 이런 선수야말로 가성비가 좋을 지도 모른다. 다른 말 할 거 없이 잡자. ㅎㅎ


Cubs는 올해가 무슨 월드시리즈 우승 원년이라도 될 것처럼 말들이 많은데, 올해는 아니다. Bryant, Baez에 이어 Russell까지 차례로 올라와서 경험을 쌓으면, 내년에는 강력한 컨텐더가 될 것이다. Starlin Castro를 트레이드 하고 Addison Russell이 주전 유격수가 되는 날이, Cubs가 공식적으로 리빌딩을 마무리하는 날이 될 듯.



Series Preview: Cardinals at Reds (시즌 첫 맞대결)

팀 성적

Cardinals 1승 1패 .500 (NL Central 공동 2위, 1.5 게임차)  Run Diff. +1

Reds 3승 0패 1.000 (NL Central 1위)  Run Diff. +5


분명 Reds와는 올해 첫 대결인데, 벌써 게임 쓰레드를 5년째 쓰고 있다 보니 이미 여러 번 만난 것 같은 착각이 들었다. 언제 시간이 이렇게 많이 갔는지 모르겠다...


이번 시리즈는 Reds와의 주말 3연전이다. Reds는 올 시즌 비교적 약체로 평가받고 있으나, 개막 시리즈에서 해적떼를 스윕하여 상승세를 타고 있다. 세 경기 모두 타이트한 양상으로 가다가 경기 후반에 뒷심을 발휘하여 이겼는데, 1차전은 2-2 동점이던 8회말 Todd Frazier가 3점 홈런을 날려 5-2로 이겼고, 2차전은 연장 11회에 Votto의 끝내기 적시타로 이겼으며, 3차전은 9회 말 Marlon Byrd의 우익수 정면 라인드라이브를 Polanco가 포구하지 못하면서 워크오프 에러로 이겼다. 이렇게 세 경기 모두 8회 이후에 승기를 잡을 수 있었던 결정적인 힘은 역시 Aroldis Chapman을 필두로 한 강력한 불펜이 아닐까 싶다.



Probable Starters

Game 1: John Lackey at Jason Marquis                  4/10 19:10 EDT (4/11 8:10 KST)

Game 2: Michael Wacha at Johnny Cueto               4/11 13:10 EDT (4/12 2:10 KST)

Game 3: Carlos Martinez at Raisel Iglesias              4/12 13:10 EDT (4/13 2:10 KST)


1차전 상대 선발은...... 추억의 이름인 Jason Marquis이다. Marquis는 2013년 7월에 TJ 수술을 받고 시즌 아웃 되었다. 이후 2014년에 Phillies와 마이너 계약을 맺고 복귀를 시도했으나 AAA에서만 8게임 등판하고 메이저에는 올라오지 못했다. 일단은 Homer Bailey가 DL에서 시즌을 시작한 덕분에 메이저리그 로테이션에 진입한 상태이다. 스프링캠프에서는 31 이닝에서 2.90 ERA를 기록하여 건강에는 이상이 없음을 증명한 바 있다. 설마 Marquis에게 질까 싶지만, 토요일 아침의 경기 관전은 그동안 고통을 많이 주어 왔으므로, 이번에도 권장은 못하겠다. 그래도, 아무리 그래도 이건 이기지 않을까 싶다.


2차전은 Wacha와 Cueto의 대결로, 이 시리즈에서 가장 중요한 게임이라고 생각된다. 우리의 물빠따가 Cueto를 공략하기는 힘들 것이므로, Wacha가 상대 타선을 얼마나 잘 막아 주느냐가 관건이다. 이 경기 하나 뿐 아니라, 올 시즌을 위해서도 Wacha의 컨디션은 매우 중요하다. Wacha가 잘 던지지만 지는 모습이 예상된다. -_-;;;;


3차전은 Jocketty가 쿠바에서 수입해 온 Raisel Iglesias가 선발로 나올 예정인데, 정규시즌 첫 등판이다. Iglesias는 쿠바 리그에서는 릴리버로만 뛰었으나, 5-11/170 lbs의 작은 체구에도 불구하고 90마일대 초중반의 속구에 슬라이더와 체인지업, 커브를 갖추고 있어, Reds는 선발이 가능한 자원으로 평가하고 있다. 그렇다고 해도 프로 무대의 선발경험이 없는 데다가 작년 1년을 통째로 쉰 투수에게 곧바로 메이저리그 로테이션에서 시즌을 시작하게 한 것은 상당히 의외이다. 다르게 말하면 Reds가 그에 대해 제법 자신감을 가지고 있다고도 볼 수 있을 것 같다. 참고로 Reds는 그와 7년/27M의 계약을 맺었는데, 대부분의 다른 구단들은 선발로서의 워크로드를 감당하기 힘들 것으로 생각했다고 한다. 그가 쿠바를 탈출한 것은 2013년 11월의 일이며, Reds와는 작년 6월에 계약하였다.


3차전의 우리 선발은 CMart이다. 저쪽 쿠바산 투수보다야 익숙한 존재지만 씨맛 역시 이날 어떤 투구내용을 보일 지는 예측하기가 어렵다. 스캠에서 보여준 모습으로는 그래도 기대를 걸어볼 만하다고 생각하는데... 팬심이 작용한 것일지도 모르겠다. 주인장은 사실 유망주 시절부터 이녀석을 꽤 좋아했고, 팀에서 좀 더 선발 기회를 주기를 바라고 있었다. 참, 선발좀 시켜 보라고 얘보다도 더 많이, 아마 백 번도 넘게 얘기한 Rosie는 이제 완전히 포기했다. 이야기가 잠시 옆길로 샜는데 뭐 어쨌든... 아마 잘 해 줄 것 같다.


2차전은 지고 나머지를 이겨서 2승 1패로 시리즈를 가져오는 정도를 예상해 본다. 다만 Chapman은 난공불락이므로, 리드를 잡힌 채로 9회에 가면 사실상 게임 끝이며, 동점으로 연장에 가는 것 역시 바람직하지 않다. 최대한 상대 선발을 공략하여 일찍 리드를 잡아야 할 것이다.



Reds Lineup


시즌 첫 대결이니 상대 라인업을 간단히 살펴보자. 괄호 안의 슬래쉬 스탯은 Steamer Projection의 시즌 예상 스탯이다.


1. Hamilton, cf    (244/294/343, 77 wRC+, 65 SB, 2.4 WAR)

2. Votto, 1b      (279/405/465, 143 wRC+, 19 HR, 3.9 WAR)

3. Frazier, 3b      (248/317/431. 108 wRC+, 23 HR, 2.9 WAR)

4. Mesoraco, c     (246/317/445, 110 wRC+, 20 HR, 3.2 WAR)

5. Bruce, rf         (238/310/434, 104 wRC+, 25 HR, 1.5 WAR)

6. Byrd, lf          (246/294/403, 92 wRC+, 16 HR, 0.4 WAR)

7. Phillips, 2b      (258/304/380, 89 wRC+, 12 HR, 2.1 WAR)

8. Cozart, ss       (239/280/356, 75 wRC+, 1.3 WAR)

9. Pitcher


작년에 breakout 시즌을 보낸 Frazier와 Mesoraco가 3, 4번에 기용되고 있다. 해적떼 시리즈에서는 상대 투수가 우투수일 때는 Bruce 5번, Byrd 6번으로 가고, 상대 투수가 좌투수일 때는 Byrd를 5번으로 올렸다. 이 선수들의 최근 부상 경력이나 커리어 스탯이 충분히 고려가 된 예상치이겠지만, 다소 보수적으로 잡혔다는 느낌이 든다. 아마도 중심타선은 Steamer보다 예상치보다 좋은 성적을 낼 것이다. Votto와 Bruce의 건강도 완전히 회복된 것으로 보인다. 37세의 Byrd가 얼마나 활약해주느냐에 따라, 제법 위협적인 타선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Phillips는 한때 2루수로서 좋은 공격력을 보였지만, 이제 확실히 쇠퇴기에 접어든 모습이다. 타석에서 거의 아무 도움이 안되는 Cozart와 함께 약한 하위타선을 구성하고 있다.



Statistics


시즌 초반이라 샘플이 너무 적어 스탯 분석은 없다.



Go Cardinals...!!!

Posted by FreeRedbird
:

by 주인장.


Brewers Series Recap

9/16 Brewers 3, Cardinals 2 (연장 12회)

9/17 Cardinals 2, Brewers 0

9/18 Cardinals 3, Brewers 2 (연장 13회)


맥주집과의 정규시즌 마지막 3연전은 2승 1패의 위닝시리즈로 끝났다. 선발진의 호투가 이어졌고, 특히 플옵을 앞두고 Waino가 컨디션을 많이 끌어올린 모습이 고무적이었다. 첫 경기의 블론을 제외하면 불펜도 좋은 활약을 해 주었다. 시리즈 내내 33이닝에서 7득점에 그친 타선의 무기력함은 여전히 걱정거리이지만, 이건 뭐 어제오늘의 일도 아니고 이제 특별한 방법도 없는 것 같다. 마지막 게임은 연장 13회에 고대병기가 끝내기 안타를 쳐서 이기는 보기드문 장면이 연출되었는데, 이것도 다 투수진이 잘 막아 주었기에 이런 행운이 가능했다고 본다. 이 팀이 플옵에 안착하고, 플옵에서 최대한 오래 살아남으려면, 이 시리즈처럼 그냥 잘하는 것을 계속 잘하는 쪽에 거는 것이 나을 듯하다. 우리는 아마 가을야구에서도 득점은 잘 못할 것 같다.



그 사이에 해적떼가 Red Sox를 스윕하여 기세를 올리고 있는데, 오늘 날짜 지구 승차 및 와일드카드 승차를 보면 다음과 같다.


NL CENTRAL


1. Cardinals

2. Pirates -2.5

3. Brewers -6



NL WILDCARD


1. Giants +2

2. Pirates

----------------

3. Brewers -3.5

4. Braves -6


해적떼가 막판에 근성있는 모습을 보이며 끈질기게 따라오고 있는데, 지난 번 프리뷰에서도 언급했듯이 절대로 지구 1위를 내줘서는 안된다. Giants나 Dodgers를 상대로 와일드카드 단판승부를 하게 되면 별로 이길 것 같은 생각이 들지 않는다. 남은 스케줄은 여전히 우리가 유리한 편이니 이대로 1위를 지키도록 하자.



Series Preview: Cardinals vs Reds (시즌 상대전적 10승 6패)

팀 성적

Cardinals 85승 68패 .556 (NL Central 1위)  Run Diff. +12

Reds 71승 82패 .464 (NL Central 4위, 14게임차)  Run Diff. -21


이번 시리즈는 Reds와의 주말 홈 3연전으로, 정규시즌 마지막 홈 시리즈이기도 하다. 지난 번 원정에서 1승 3패로 어이없이 시리즈를 내주었는데, 홈에서 앙갚음을 해 줄 찬스이다. 마침 해적떼가 맥주집과 3연전을 벌이므로, 이 기회를 이용해서 승차를 좀 더 벌릴 수 있기를 바란다. 



Probable Starters

Game 1: John Lackey vs David Holmberg                 9/19 20:15 EDT (9/20 9:15 KST)

Game 2: Michael Wacha vs Mike Leake                     9/20 19:15 EDT (9/21 8:15 KST)

Game 3: Lance Lynn vs Alfredo Simon                      9/21 20:00 EDT (9/22 9:00 KST)


3차전에 ESPN의 전국 중계가 잡히면서 시리즈 전체가 저녁 경기로 치러지게 되었다.


이 시리즈는 다른 무엇보다도 1, 2차전에 나오는 우리 선발 투수들이 관건이라고 하겠다. Lackey가 6이닝 2실점 내지 7이닝 3실점 정도로 막아주면 별 특징없는 back-end starter인 Holmberg는 충분히 공략 가능하리라고 생각되며, Wacha는 6이닝까지 갈 수 있을지 모르겠는데 어쨌든 초반에 무너지지만 않으면 역시 해볼 만한 경기라고 본다. 3차전은 Lynn과 Simon의 대결로 올 시즌에 많이 보아 왔던 답답한 저득점 경기가 예상되는데, 이 경기 승패를 예측하기 어려우므로 앞의 두 경기에 일단 총력을 기울여 보자.


시즌 막바지에 이르니 그냥 열심히 잘 해서 이기라는 것 밖에 특별히 할 말은 없다. 상대는 지겹도록 많이 싸워 온, 특별할 것도 없는 Reds이다. 걍, 이기자. 쟤들은 우리의 호구가 아니었던가. 최소 2승 1패는 해야 한다. 그래야 해적떼와 승차를 유지한 채 마지막 원정 6연전에 임할 수 있을 것이다.



오늘은 시간 관계상(현재 새벽 5시이고 아직 잠을 못 잤다 -_-) 스탯 비교는 생략하고자 한다.


이 프리뷰가 주인장의 정규시즌 마지막 프리뷰인데 다소 부실한 글이 되어 양해를 구하고자 한다.

주인장의 다음 프리뷰는 NLDS 3차전 혹은 와일드카드 게임이 될 예정이며, 플옵 진출 확정시 플옵 로스터 관련 포스팅이 있을 수도 있다.


설마 가을야구를 못하게 되어서 이 글이 올 시즌 마지막 프리뷰가 되는 일은 절대로 없으리라고 믿으며...


Go Cardinals...!!!

Posted by FreeRedbird
:

by 주인장.


Reds Series Recap

9/8 Cardinals 5, Reds 0

9/9 Reds 9, Cardinals 5

9/10 Reds 4, Cardinals 2

9/11 Reds 1, Cardinals 0


앞서 해적떼 및 맥주쟁이들과의 중요한 7연전에서 6승 1패를 거두고 맞이한 시리즈였는데, 조금은 긴장이 풀어진 것일까. 첫 게임을 잡은 뒤 내리 3연패하여 시리즈를 내주고 말았다. 3, 4차전은 Simon과 Cueto가 상대여서 점수를 많이 내지 못할 것이라는 생각은 했지만, 그래도 한 경기쯤은 잡아서 스플릿을 해주지 않을까 기대했는데, 아쉽게 되었다. Lackey는 심판과 쓸데없이 싸우지 말고 본인이나 잘하길 바란다...


2차전에서는 Wacha가 무너지며 일찌감치 경기의 주도권을 내줬는데, 패스트볼 구속은 93-95에서 형성되어 큰 문제가 없어 보였으나, 체인지업을 경기 내내 봉인하고 커브와 커터로 승부하는 특이한 모습이 관찰되었다. Fangraphs의 pitch F/X 데이터에 의하면 이날 체인지업을 딱 두 번 던졌을 뿐이다. 특별한 설명은 없었던 것 같은데, 배경이 궁금하다. 정말 부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일까? 어쨌든, 이런 상태라면 플옵에서 선발로 쓰기는 좀 힘들어 보인다.



이렇게 우리가 3연패를 하며 숨을 고르는 사이에, 해적떼가 Cubs 스윕에 이어 Phillies에게 3승 1패를 거두며 다시 추격해오고 있다. 오늘 날짜 지구 승차 및 와일드카드 승차를 보면 다음과 같다.


NL CENTRAL


1. Cardinals

2. Pirates -2.5

3. Brewers -4


당연히, 전혀 안심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 현재 Cards는 15게임, 해적떼는 16게임이 각각 남아있다.


NL WILDCARD


1. Giants

2. Pirates -4

----------------

3. Brewers -5.5

4. Braves -6


이쪽은 일단 신경을 끄고, 지구 1위에 집중하도록 하자. Giants나 Dodgers와 와일드카드 게임에서 단판 승부를 벌이는 것은 최악의 시나리오이므로, 무슨 일이 있더라도 이쪽으로 밀려서는 안된다.



Series Preview: Cardinals vs Rockies (시즌 상대전적 2승 1패)

팀 성적

Cardinals 80승 67패 .544 (NL Central 1위)  Run Diff. +2

Rockies 59승 87패 .404 (NL West 공동 4위)  Run Diff. -79


이번 시리즈는 Rockies와의 주말 홈 3연전이다. 이 산동네 친구들은 현재 DBacks와 서부지구 공동 꼴찌인데, 두 팀 모두 NL 전체 승률 공동 꼴찌이기도 하다. 이런 좋은 기회를 적극 활용하여 최대한 승차를 벌려야 할 것이다.



Probable Starters

Game 1: Adam Wainwright vs Jorge De La Rosa         9/12 20:15 EDT (9/13 9:15 KST)

Game 2: Shelby Miller vs Franklin Morales                  9/13 19:15 EDT (9/14 8:15 KST)

Game 3: Michael Wacha vs Jordan Lyles                    9/14 14:15 EDT (9/15 3:15 KST)


1차전은 Waino가 나름 산동네 에이스인 Jorge De La Rosa를 상대하게 된다. 한때 강력한 구위로 우월한 탈삼진 능력을 과시하던 De La Rosa는 TJ 수술 후 구위가 떨어지며 무척 평범한 리그 평균급 선발투수가 되었는데, 산에서 이정도 던지는 것도 대단하다고 인정을 한 것인지 Rockies 프런트는 그에게 2년 25M의 연장계약을 선물했다. 지난 6월의 맞대결에서는 7이닝 동안 5점을 냈음에도 불구하고 Miller와 녹색지대, 한가인, 못해 등이 줄줄이 털리며 10-5로 패한 바 있는데, Waino가 꾸역꾸역 던져도 그정도로 무너지지는 않을 것이므로, 이번에는 이길 수 있을 것 같다.


2차전의 상대 선발 Morales는 5점대의 ERA와 FIP를 기록 중인, 그냥 허접 투수이다. 한때는 꽤 날리던 유망주였는데, 이제 거의 맛이 가서 한 2년 뒤에는 NPB나 KBO가 어울릴 듯하다. 이런 넘은 그냥 가볍게 털어주면 되는데, 결국 Miller가 어떤 모습을 보일지가 관건이라고 본다. 최근 3경기에서 21이닝 2실점으로 제법 안정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 사실은 이 세 경기 모두 BABIP가 1할대로, 바빕신의 가호를 많이 받았던 것이다. 그래도 마지막 경기(Reds 시리즈 1차전)에서 볼넷을 전혀 내주지 않은 것은 고무적이었다. 신의 가호가 4경기째 계속 이어질지는 다소 회의적이지만, 꼭 7이닝 무실점의 투구를 할 필요는 없다. Morales보다 잘 던지기만 하면 되는 것이다. 그건 아주 어려운 일은 아닐 것이다.


3차전의 Jordan Lyles는 시즌 초반엔 꽤 잘나갔는데, 어느새 원래의 실력으로 회귀하여 하반기에는 역시 5점대의 ERA와 FIP를 기록 중이다. 요즘은 볼질까지 하고 있어서 역시 어려운 상대는 아닐 것으로 생각하나, 2차전과 마찬가지로 우리 쪽 선발의 컨디션이 큰 변수이다. Wacha가 계속 체인지업을 쓰지 못한다면 또다시 투수를 많이 쓰는 소모전이 될 것이다.


이런 낙관적인 프리뷰는 정말 오래간만에 써보는 것 같은데, 우리는 지구 1위이고 저쪽은 NL 최약체 팀이니 낙관적인 전망이 나오는 것이 당연하다. 위닝시리즈는 기본이고 스윕을 목표로 달려보자.



Statistics




시즌 팀 스탯은 Fangraphs를 참고하였으며, 순위는 NL 15팀 중의 순위이다.

Rockies의 타격 스탯이 좋아 보이지만, 구장효과를 넣어 보정한 wRC+에서는 오히려 Cards보다 낮은 순위로 나온다. 그나마도 저 속에는 91경기에서 무려 171 wRC+를 기록한 Tulo의 스탯이 포함되어 있다. Tulo가 없는 타선은 그보다도 더 수월할 것이다. 물론, 올해의 breakout player인 Corey Dickerson(138 wRC+)을 비롯하여 Nolan Arenado(117 wRC+), Justin Morneau(119 wRC+) 등은 주의해야 할 타자들이다.


Rockies의 투수 스탯은 그냥 똥망 그 자체이다. 저렇게 완벽하게 꼴등을 석권하기도 쉽지 않다.



Go Cardinals...!!!

Posted by FreeRedbird
:

by 주인장.


Cubs Series Recap

8/29 Cubs 7, Cardinals 2

8/30(DH1) Cubs 5, Cardinals 1

8/30(DH2) Cardinals 13, Cubs 2

8/31 Cardinals 9, Cubs 6


1차전은 토요일 오전다운 저질 경기였고... 30일의 DH 1차전까지 4연패를 했을 때는 역시 이 팀은 답이 없구나 싶었지만, 이후 두 게임을 이겨서 또 귀신같이 스플릿을 만들어냈다. 홈에서 Cubs 상대로 스플릿을 했다고 감동먹을 것까지는 아니겠으나, 그닥 상성이 안좋아 보이던 Wada를 털고 13점을 내며 대승한 3차전이나, 초반 0-5의 답없는 스코어를 뒤집고 승리한 4차전은 내용이 꽤 좋았다. Matt Holliday가 이틀 동안 3개의 홈런을 날리며 팀을 캐리한 것도 무척 인상적이었다. 이미 jdzinn님을 비롯해서 많은 분들이 여러 차례 말씀하신 것처럼, 결국 해줘야 할 선수들이 제 몫을 해줘야 팀 성적도 제자리를 찾기 마련이다.


이렇게 지구 최하위팀과 일진일퇴의 공방을 벌이고 있으면 선두 탈환의 희망이 줄어들어야 정상일 것 같은데, 현실은 Brewers의 뜬금없는 5연패로 공동 1위가 되었다...!! 야구 모른다는 말이 이렇게 잘 어울릴 수가 없다...


오늘 날짜 지구 승차 및 와일드카드 승차를 보면 다음과 같다.


NL CENTRAL


1. Cardinals

1. Brewers

---------------

3. Pirates -2


이거 정말 믿기 어려운 순위표인데... 진짜 공동 1위이다. 해적떼와는 2게임차. 위쪽에서 둘이 동반 삽질을 하다보니 추격하는 해적떼와의 격차는 좁혀진 상태이다.


NL WILDCARD


1. Giants

2. Cardinals -1

2. Brewers -1

----------------

4. Braves -2.5

5. Pirates -3


Giants는 최근 6연승을 달리며 와일드카드 1위로 올라섰다. Dodgers와도 2.5게임차로 간격을 좁혀서 서부지구 1위도 노려볼 만한 모습이다.


이변이 없는 한 중부지구 팀들과 Braves가 나머지 한 자리를 놓고 치열한 경쟁을 벌일 것이다. 그나마 근근이 5할을 유지해오며 희망을 이어가던 Marlins가 최근 10경기에서 3승 7패를 하면서 내려앉아서, 추격의 동력을 거의 잃어버린 듯하다.



Series Preview: Cardinals vs Pirates (시즌 상대전적 8승 8패)

팀 성적

Cardinals 73승 63패 .537 (NL Central 공동 1위 / NL Wildcard 공동 2위)  Run Diff. -7

Pirates 71승 65패 .522 (NL Central 3위, 2게임차)  Run Diff. +12


Cardinals는 이제 1주일 동안 Pirates, Brewers와 휴식일 없이 7연전을 갖는다. 사실상 NL 중부지구 및 와일드카드의 향방을 결정할 일주일이라고 봐도 무방할 듯하다. 참고로 해적떼와는 이번 대결이 정규시즌 마지막 만남이며, Brewers와는 9/16부터 홈 3연전이 한 번 더 남아있다. 운명의 7게임, 과연 1주일 뒤의 순위표는 어떤 모습이 되어 있을까?



Probable Starters

Game 1: Lance Lynn vs Gerrit Cole                       9/1 14:15 EDT (9/2 3:15 KST)

Game 2: Adam Wainwright vs Jeff Locke                 9/2 20:15 EDT (9/3 9:15 KST)

Game 3: Shelby Miller vs Edinson Volquez             9/3 13:45 EDT (9/4 2:45 KST)


1차전이 열리는 9월 1일은 미국 노동절(Labor Day)이어서, 1차전임에도 불구하고 낮경기로 열린다. Labor Day에 다소 laboring 성향이 있는 두 선발이 맞붙는 것은... 썰렁하다. (죄송합니다 ㅠㅠ) 어쨌거나, 이 둘은 지난 주에도 맞대결을 벌인 바 있는데, 둘 다 6이닝 2실점이긴 했으나 내용면에서는 6회까지 무결점 투구를 선보인 Cole의 판정승이었다. 그 2실점은 순전히 상대 감독이 6회까지 이미 100개를 던진 Cole을 7회에 또 올린 덕분이었다. 양 팀 선발이 내려갈 때까지는 별로 점수가 나지 않을 것으로 보이며, 지난 번 Cole의 구위를 감안하면 쉽지 않은 경기가 될 것 같다.


2차전도 Waino와 Locke의 리매치이다. 지난 주 대결에서는 Locke의 그라운드볼 유도에 타선이 완전히 말려서, Holliday의 솔로홈런 이외에는 공격다운 공격을 해보지 못하고 무난하게 진 바 있다. 올해 들어 이런 극단적인 그라운드볼러들에게 종종 말리는 느낌인데, 이번에도 역시 저득점 경기가 예상된다. 타자들의 퍼포먼스보다는 돌아온 Yadi빨로 Waino가 좀 더 나은 모습을 보여 주기를 기대해본다. 사실 이건 별 근거도 없고... 이쯤되면 거의 종교 수준인데 이런 거라도 믿어보는 수밖에 없는 것 같다. 아무리 봐도 Waino의 구위가 정상이 아니라는 것은 그동안 경기를 보아 오신 분들이라면 누구나 동의하실 것이다. 올 시즌도 올 시즌이지만 앞으로가 더욱 우려된다.


3차전... Miller의 8월 ERA는 5.19, FIP는 4.87이다. 저쪽 선발 Volquez의 8월 ERA는 4.01, FIP는 3.97이다. 3차전도 매치업이 별로다 라는 말을 그냥 하기가 식상해서 조금 다르게 표현해 보았을 뿐이다. -_-;; 그나마 Yadi 복귀 직후인 지난 번 등판에서 Miller가 7이닝 2실점으로 잘 버텨주었으니, 이번에도 한 번 Yadi의 법력을 믿어보자. 


결국 매치업 분석이라는 게 기승전Yadi가 되어 버리고 말았다. 한마디로 요즘 우리 선발진의 상태가 이런 수준이라는 이야기이다. 적어도 한 경기 정도는 타선이 뽀록으로 터져줘야(아님 상대 내야수들의 에러라든지...) 위닝 시리즈를 바라볼 수 있을 듯.


Statistics



이것은 시즌 팀 스탯이다. Fangraphs를 참고하였으며, 순위는 NL 15팀 중의 순위이다.


약간 의외로 느껴질 수도 있는데, 해적떼는 NL 최강의 공격력을 자랑하는 팀이다. 맥선장(162 wRC+)을 필두로 Russell Martin(142 wRC+), Josh Harrison(138 wRC+), Neil Walker(129 wRC+), Starlin Marte(121 wRC+), Ike Davis(112 wRC+), Travis Snider(113 wRC+) 등이 강력한 라인업을 형성하고 있다.


이렇게 시즌 스탯을 보면 마치 창과 방패의 대결로 잘 어우러지는 느낌인데, 왜 이렇게 답답하게 느껴지는 것일까? 똑같은 표를 하반기로 한정해서 스플릿 데이터를 보면 아래와 같다.



이제 감이 좀 오시는지? 지금까지 하반기 우리 투수진은 그야말로 리그 최악의 수준이었던 것이다. 이러니 매일 경기를 보면서 정신수양을 하는 기분이 들 수밖에 없다. 어지간한 팀과 선발 매치업을 붙여봐도 비관적인 예상이 나오기가 쉬운 것도 이 때문이다.



9월 1일인데도 콜업 관련 뉴스가 별로 없는 것이 의아하게 느껴지시는 분들을 위해, 다음의 소식을 준비해 보았다.



Minor League Affiliates' Playoff Hunt


Memphis Redbirds: 오늘까지 74승 68패로, 잔여 경기에 관계없이 지구 1위를 확정짓고 플옵에 진출했다. -_-;;; 잘했으니 칭찬을 해줘야 하긴 하는데 하필 이런 미묘한 시기에 플옵에 진출해서 뭐라 말하기가 애매하다. 9월이 되어 메이저 로스터가 확장됨에도 불구하고, 플옵에서 탈락하기 전까지는 Memphis에서 핵심 선수들을 콜업하기가 어려울 것이기 때문이다. PCL 정규시즌은 한 게임만을 남겨놓고 있으며, 현지 시간으로 금요일에 5전 3선승제의 세미파이널 시리즈가 시작된다. 상대는 KC 산하의 Omaha Storm Chasers이다.


Springfield Cardinals: 역시 한 경기만을 남겨두고 있으며, 일찌감치 탈락이 확정되었다. 오늘까지의 전후반기 통합 성적은 67승 72패이다.


Palm Beach Cardinals: 나름 후반기 컨텐딩을 하다가 마지막 7경기에서 2승 5패로 무너지며 1게임 차로 플옵 진출에 실패했다. 전후반기 통합 최종 성적은 76승 63패이다.


Peoria Chiefs: 와일드카드를 잡을뻔 했으나, 일요일 경기에서 Kane County에 9-2로 대패하면서 역시 플옵 탈락이 확정되었다. 1경기만을 남겨놓은 현재, 전후반 통합 성적은 71승 67패이다.


State College Spikes: 1경기만을 남겨놓은 현재 47승 28패로 12게임차 지구 선두를 달리고 있다. 일찌감치 플옵 진출을 확정지었으며, NYPL의 포스트시즌은 현지시간으로 수요일 저녁부터 시작된다. NYPL의 포스트시즌 구조는 3전 2승제, 2라운드로 구성되어 있다.


Johnson City Cardinals: 37승 31패, 서부지구 2위로 플옵에 진출하여 지구 1위인 Elizabethton Twins와 3전 2선승제의 세미파이널 시리즈에 들어갔다. 일요일 1차전에서 연장 13회까지 가는 접전 끝에 7-6으로 패하여 벼랑 끝에 몰린 상황이다.



Go Cardinals...!!!

Posted by FreeRedbird
:

by 주인장.


Reds Series Recap

8/18 Cardinals 6, Reds 5 (연장 10회)

8/19 Cardinals 5, Reds 4

8/20 Cardinals 7, Reds 3


지난번에 Marlins 시리즈 프리뷰를 쓸 때만 해도 이제 곧 이러다 호흡기 떼겠지 하는 심정이었는데, 이후 10경기에서 7승 3패, 특히 최근 7경기에서 6승 1패를 거두며 제법 상승세를 타고 있다. 그 10경기 동안 Brewers와의 승차가 반 게임밖에 줄지 않았다는 것이 함정이지만... 어쨌든 Reds 시리즈에서는 두 경기 연속 워크오프로 승리하는 등 올 시즌 들어 잘 보기 힘들었던 경기 후반 집중력을 보여주었다. 특히 승패에 초연하고 그냥 야구장에 있는 것을 즐기는 것 같은 동아리 마인드가 좀 줄어든 듯하여 조금은 경기 볼 맛이 생긴 것 같다. 옥의 티라면 주구장창 삽질하는 보로지인데, 얘가 싱글A에서 던지던 시절부터 항상 선발감으로 밀어왔던 나로서는 "이게 다 로테이션에 안넣고 불펜에 처박아둔 탓이다" 라고 말하고 싶지만, 불펜에서조차 제구가 안되는 녀석이 선발로 갑자기 제구가 잡힐 리도 없어서... 그저 답답할 뿐이다.



오늘 날짜 지구 승차 및 와일드카드 승차를 보면 다음과 같다.


NL CENTRAL


1. Brewers

----------------

2. Cardinals -1.5

3. Pirates -6

4. Reds -10.5


이번 스윕으로 우리가 Reds의 호흡기를 확실하게 떼어 버린 느낌이며, Pirates도 맥선장이 부상으로 못나오는 사이에 계속 부진한 모습을 보여 결국 우리와의 승차가 4.5게임으로 벌어져서 이제는 Brewers와의 양자대결로 점점 굳어지는 분위기이다. 질보다 양에 올인한다는 느낌이 들 만큼 데드라인에는 무더기로 선수보강을 하는 것이 취미이던 Huntington 단장이 정작 이번 여름에는 별다른 보강을 하지 않았다는 게 지금 생각해도 이상하다. 해적떼의 입장에서는 올해야말로 질러볼 만한 시즌이었던 것 같은데 말이다.


NL WILDCARD


1. Cardinals

2. Giants -2

----------------

3. Braves -3

4. Pirates -4.5

5. Marlins -6


Marlins의 승률이 딱 5할인데, 승률로 보나 승차로 보나 그 아래의 팀들은 거의 가망이 없어 보인다.

Cards와 Giants는 아직 지구 1위의 가능성이 있으나, Braves는 Nats(현재 10연승 중)와 7게임차까지 벌어져서 와일드카드 외에는 대안이 없는 상태에 가깝다.



Series Preview: Cardinals at Phillies (시즌 상대전적 2승 2패)

팀 성적

Cardinals 69승 57패 .548 (NL Central 2위, 1.5 게임차 / NL Wildcard 1위)  Run Diff. -2

Phillies 56승 71패 .441 (NL East 5위)  Run Diff. -77


늘 득실차 조작에 능했던 Cards이기에, 여전히 마이너스인 득실차가 무척 신선하게 느껴진다.


이번 시리즈는 Phillies와의 주말 원정 3연전이다. Philadelphia 원정이라고 하면 2011 NLDS 5차전이 제일 먼저 떠오르는 것은 나만 그런 것일까? ㅎㅎㅎ


Phillies는 동부지구 꼴찌를 달리는 중인데, 고연봉 저퍼포먼스의 노땅 선수들 위주로 구성된 로스터를 보면 향후 몇 년간 암흑기를 견뎌야 할 듯하다. 이런 와중에도 파이어세일을 하지 않고 "우리 물건들이 참 좋은데 남들이 알아주지 않아서 아무도 못팔았다"고 강변하는 Ruben Amaro Jr.는 현역 단장들 중 가장 무능한 인물 후보로 손색이 없다.


Probable Starters

Game 1: Adam Wainwright at Kyle Kendrick             8/12 19:10 EDT (8/13 8:10 KST)

Game 2: Shelby Miller at David Buchanan               8/13 19:10 EDT (8/12 8:10 KST)

Game 3: Justin Masterson at Jerome Williams          8/13 19:10 EDT (8/14 8:10 KST)


MM은 오프데이를 이용해서 Waino를 하루 땡겨쓰는 승부수를 던졌는데, 이게 어떤 결과로 나타날 지가 관건이다. Miller의 등판을 최대한 뒤로 미루고 싶은 심정은 충분히 이해한다. 지난 번 SD 전에서도 6이닝동안 무려 6개의 볼넷을 내주며 형편없는 투구를 했으니 말이다. 하지만 Waino를 땡겨도 되는 상태인지도 잘 모르겠다. 요즘의 Waino는 구위나 제구보다는 gut과 pitchability에 의존해서 타자들을 상대하는 느낌이어서, 보고 있으면 불안불안하다. 될 수 있으면 휴식을 많이 줬으면 좋겠지만, 지금의 팀 사정으로는 혹사나 안 시키면 다행이다. 당장 이번 시리즈에서도 순서를 땡겨서 먼저 나오고 있지 않은가...


1차전을 Waino의 꾸역으로(7이닝 3탈삼진 2볼넷 2실점 뭐 이런 정도를 예상해 본다) 어찌어찌 이기고 나면 2차전에서는 Miller 대 Buchanan이라는 우울한 매치업을 맞이하게 된다. 현재의 Miller는 정말 아무런 기대가 되지 않는 상태인데, 상대 Buchanan은 우리가 지난 번 대결에서 인생투를 헌납했던 바로 그 듣보잡 투수가 아니던가. 사실 Buchanan은 그 이후에도 꽤 꾸준한 모습을 보여서(4.25 ERA, 4.19 FIP), 지금은 Phillies 로테이션에서 Hamels에 이은 사실상의 2선발이다.


3차전은 Masterson과 Williams의 대결인데, 그냥 예측불허의 개싸움이 예상된다. 솔직히 Jerome Williams가 Phillies에 와 있었다는 것도 이 프리뷰를 쓰면서 처음 알았다. 올 시즌 들어 벌써 Astros와 Rangers에서 두 번이나 DFA 당하고 세 번째 팀에서 뛰고 있는 것인데, 다른 팀도 아니고 Astros와 Rangers에서 버려졌다는 것이 이 선수의 상태를 대변하고 있다. 메이저 선발로는 거의 끝물이라고 본다. 서로 막 치고받다가 마지막에 Neshek이 틀어막으면서 간신히 이기는 시나리오를 예상해 본다.



Statistics



팀 스탯은 Fangraphs를 참고하였으며, 순위는 NL 15팀 중의 순위이다.


이런 전력차이라면 사실 스윕도 가능한 수준인데, 2차전의 매치업 때문인지 스윕은 전혀 기대가 되지 않는다. 그냥 2승 1패만 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



Go Cardinals...!!!

Posted by FreeRedbird
:

by 주인장.


Orioles Series Recap

8/8 Orioles 12, Cardinals 2

8/9 Orioles 10, Cardinals 3

8/10 Cardinals 8, Orioles 3


이곳에 자주 오시는 분들이라면 이미 다들 아시겠지만, 주말 오전에 경기를 보는 것은 대체로 정신건강에 좋지 않다. 어찌어찌 마지막 경기를 가져와서 스윕은 면했지만, 진짜 Contender와 Pretender의 차이를 극명하게 보여준 시리즈였다고 생각된다. 첫 두 게임에서 무려 9개의 홈런을 허용하며 22점을 실점, 그야말로 복날 개 맞듯 두드려맞았는데, 문득 한때 우리 타선도 이러던 시절이 있었지 하는 생각이 들어 씁쓸한 기분이 되었다. 사실 그건 그렇게 먼 옛날의 이야기가 아니다. 최근 3년만 돌아보더라도, 2011년 팀 득점 NL 1위, 2012년 2위, 2013년 1위로 항상 최상위권의 공격력을 자랑해 왔던 것이다.


물론 이전 2년과 달리 작년의 득점 1위는 비정상적인 RISP에서의 클러치 능력(.377 BABIP)에 힘입은 것이었으니, 언제든 평균으로 회귀할 리스크를 안고 있었다. 그런데 올 시즌은 평균 회귀 정도가 아니라 아예 정 반대로 움직여서, 현재까지의 올 시즌 RISP BABIP는 .279에 불과하다. (NL 14위) 다들 아시다시피 BABIP 및 타율은 BABIP신의 가호가 필요하므로 일정 부분 운에 의해 좌우되는 것은 어쩔 수 없다. 그러니 비교적 타자 본인들의 역량이 더 많이 반영되는 출루와 장타가 더욱 중요한 것인데, 현재의 컨택/라인드라이브 어프로치로는 이걸 자력으로 해결할 방법이 없다. 마치 천수답처럼, 하늘에 맡기는 수밖에 없는 것이다. Mitchell Page --> Hal McRae --> Big Mac --> John Mabry를 겪어보니, 새삼 타격코치의 중요성을 실감하게 된다.


Mo가 데드라인에 투수만 보강한 것도 그런 맥락으로 생각되는데, 당장 구멍이 난 선발진을 때우고, 타격은 물 떠놓고 BABIP신에게 비는 셈이다. (실제로 Mo가 트레이드 하고 나서 "we'll eventually hit"이라고 말했던 것으로 기억한다.) 팀의 운명을 하늘에 맡기는 것은 아주 무책임한 선택이지만, 솔직히 지금의 이 팀은 어지간한 타자 한 명 어디서 데려오는 정도로는 답도 없고, 팀의 운명을 바꿀 만한 Tulo나 Stanton 같은 레벨의 타자는 아예 매물로 나오지도 않았으며, 게다가 로스터에 여기저기 부실한 데가 많아 올인 트레이드 한방으로 플옵 진출 가능성을 획기적으로 높이기도 힘들었다. 심지어 Miller나 Gonzalez 같은 녀석들이 선발로 계속 잘 던져주길 기대하는 것보다는 BABIP신의 후한 인심을 기대하는게 나을 것 같기도 하다. -_-;;; 과연 이게 최선인지는 심히 의문이지만, 당시 상황에서 딱히 다른 멋진 무브가 가능했는지도 잘 모르겠다. 뭐, 아무도 예상 못하는 기발한 트레이드를 감행하는 Billy Beane도 있지만, 솔직히 Mo랑 Beane이 동급은 아니라고 본다. -_-;; 그리고, 이 트레이드로 인해 승패와 관계없이 벤치에서 히히덕거리던 로스터 마피아가 일부 해체되었다는 것도 간과해서는 안될 것이다. 다음 오프시즌에는 좀 더 적극적인 로스터 체질 개선과 벤치 업그레이드, 코칭스탭 인선이 있기를 바란다.


이번 시리즈에서 새로 데려온 Masterson과 Lackey가 탈탈 털렸는데, Lackey는 조만간 다시 반등해줄 것으로 믿지만(4월에도 두 경기 연속 Yankees 및 Orioles에게 난타당하고 나서 리바운드한 바 있다), Masterson은 지금까지 지켜본 것으로는 회의적이다. 무엇보다도, 구속이 여전히 안 나오고 있다. 다음 두 경기 정도에서도 주무기인 싱커가 계속 88마일대에서 형성된다면, 더 이상 기대하지 않는 것이 좋을 것이다. 뭐, 기대치라는 게 남아있다면 말이다.



Series Preview: Cardinals at Marlins (시즌 상대전적 1승 2패)

팀 성적

Cardinals 62승 54패 .534 (NL Central 2위, 2 게임차 / NL Wildcard 1위)  Run Diff. -7

Marlins 57승 60패 .487 (NL East 3위)  Run Diff. -35


이번 시리즈는 Marlins와의 원정 3연전이다. 이렇게 야구를 못하는데도 아직도 2게임차 지구 2위라는게 참 신기하다. 게다가 무려 와일드카드 1위이다..!


현재 NL 중부지구의 순위 및 승차는 다음과 같다.


1. Brewers

2. Cardinals -2

3. Pirates -2.5

4. Reds -5


또한, 와일드카드 순위 및 승차는 다음과 같다. 승차는 2위인 해적떼 기준이며, 여기다 반 게임을 더하면 Cards와의 차이가 된다.


1. Cardinals

2. Pirates

3. Giants -0.5

4. Braves -2

5. Reds -2.5

6. Marlins -5



Probable Starters

Game 1: Shelby Miller at Tom Koehler                    8/11 19:10 EDT (8/12 8:10 KST)

Game 2: Adam Wainwright at Jarred Cosart             8/12 19:10 EDT (8/13 8:10 KST)

Game 3: Justin Masterson at Nathan Eovaldi           8/13 19:10 EDT (8/14 8:10 KST)


이 시리즈의 첫 선발은 Miller인데, 최근 3경기에서 볼넷을 1개밖에 내주지 않았다는 것이 고무적이다. 다만, 올 시즌들어 상대 팀들이 존을 벗어나는 브레이킹볼에 전혀 반응을 하지 않으면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 Marlins 타선의 O-Swing%은 30.4%로 NL 12위에 불과하여, 별로 상성이 좋은 상대는 아니다. 지난 7월 5일 경기에서도 5.1이닝 9피안타 3실점으로 고전한 바 있다. 이번에도 대략 이정도 결과를 예상해 본다. 타선이 Koehler에게 4점 이상 내 줘야 이길 수 있다는 이야기인데, 대략 반반이라고 본다.


2차전은 Waino와 Astros에서 건너온 Cosart의 대결이다. 올 시즌이 이미 거의 물건너간 Marlins가 유망주들을 내주고 Cosart를 영입한 것은 특이한 무브였는데, 아마도 개조해서 좋은 선발로 만들 수 있다는 자신감이 있었던 것 같다. Cosart는 95마일의 포심과 좋은 커터를 가지고 있지만 그 밖의 구종들은 무척 부실하다. 역시 빠른 패스트볼 이외에 특별한 장점이 없었던 Henderson Alvarez나 Nate Eovaldi의 성공 사례도 있으니 속단하기는 이르지만, 선발보다는 마무리로 더 적합한 투수로 보인다. 이전 프리뷰에서 Doovy님이 언급하신 것처럼 우리는 이런 미완성의 투수 유망주는 비교적 잘 상대해 왔으며, 바로 직전 시리즈의 (훨씬 높은 평가를 받는) Gausman도 예외가 아니었으므로, 이번에도 좋은 결과를 기대해 본다.


3차전은 아마도 질 것이다. 역시 Masterson은 이미 기대치가 거의 바닥인 것 같다. -_-;;



Statistics



팀 스탯은 Fangraphs를 참고하였으며, 순위는 NL 15팀 중의 순위이다.


팀 스탯으로 보면 양 팀의 전력은 큰 차이가 없다. 다만 우리는 주루를 아주 못하고, 저쪽은 삼진을 잘 당하는 정도의 차이가 있을 뿐.



Go Cardinals...!!!



Posted by FreeRedbird
:

by 주인장.


Padres Series Recap

7/29 Padres 3, Cardinals 1

7/30 Padres 12, Cardinals 1

7/31 Cardinals 6, Padres 2


에이 아무리 그래도 역대급 허접타선을 보유한 Padres를 상대로 2승 1패는 하지 싶었는데... 그게 그렇지가 않았다. 2차전에서 형편없는 경기를 펼친 끝에 12-1로 대패했을 때는 스윕이 유력해 보였고, 이대로 가면 5할 승률도 위험하지 않을까 싶을 정도였다. 상대 선발 Ross와 Hahn에게 막힌 것도 답답했지만 수비와 주루에서도 돌아가면서 뻘짓들을 하니 이건 누구 탓이라고 하기도 힘들 정도였다. 뭐 굳이 꼽자면 MM, Mabry, Lilliquist 탓이라고 해 두자.


어쨌든, 2차전의 앞 뒤에 발표된 두 트레이드의 충격요법이 먹힌 것인지, 3차전에서는 Taveras가 투런홈런을 날리고 Miller가 볼넷을 하나도 안주는(이게 더 놀랍다) 보기드문 모습들이 나오면서 스윕을 면할 수 있었다. 이제 Taveras가 공식적으로 주전 RF가 되었으니, 제발 좀 정신차리고 기대치의 반만이라도 쳐주길 바란다.



Series Preview: Cardinals vs Brewers (시즌 상대전적 5승 4패)

팀 성적

Cardinals 57승 50패 .533 (NL Central 2위, 2 게임차)  Run Diff. +2

Brewers 60승 49패 .550 (NL Central 1위)  Run Diff. +29


이번 시리즈는 우리보다 2게임 앞서 있는 지구 1위 Brewers와의 주말 홈 3연전이다. 1위와의 승차를 좁힐 수 있는 절호의 찬스인데, 왜 이렇게 기대가 안되는 것일까... -_-;;;


현재 NL 중부지구의 순위 및 승차는 다음과 같다.


1. Brewers

2. Cardinals -2

3. Pirates -2.5

4. Reds -5.5


최근 Reds가 부진한 모습을 보이며 다소 선두다툼에서 멀어졌다. Reds는 Latos를 매물로 내놓았다는 설이 돌았으나, 딜은 일어나지 않았다.


상위 2팀은 모두 데드라인 마켓에서 선수들을 질렀다. Cards가 Masterson과 Lackey 두 선발을 추가하는 동안, Brewers는 DBacks에 마이너리거 2명을 주고 Gerardo Parra를 데려왔다. 매년 뭔가 적극적으로 전력보강을 시도해 온 Pirates의 Huntington 단장이 올해는 조용히 넘어간 것이 특이하다.



Probable Starters

Game 1: Adam Wainwright vs Wily Peralta                  8/1 20:15 EDT (8/2 9:15 KST)

Game 2: Justin Masterson vs Jimmy Nelson  Kyle Lohse    8/2 19:15 EDT (8/3 8:15 KST)

Game 3: Lance Lynn vs Kyle Lohse Matt Garza                8/3 14:15 EDT (8/4 3:15 KST)


우리 로테이션은 Waino로부터 시작하는데, 이 시리즈를 염두에 두고 선발 일정을 짠 듯한 느낌이 없지않아 있다. 순서대로라면 Waino 뒤가 Lynn인데, 2차전에 Masterson을 배정하고 Lynn은 하루 더 휴식을 주었다. 매년 하반기가 되면 힘이 떨어지는 모습을 보여온 Lynn이므로, 기회가 있을 때 조금씩 더 휴식을 주는 것은 괜찮은 선택일 것이다.


상대 선발 셋이 모두 만만치 않은데, 요즘 다소 방전된 모습을 보이는 Waino가 1차전에서 어떤 활약을 해주는지가 시리즈를 좌우할 것이다. Masterson의 데뷔전은 어떤 형태로 나타날지 전혀 알 수가 없다. 우리는 Ramsey를 지불하고 로또를 산 것이니 추첨 결과를 조용히 지켜보도록 하자. 3차전은 아마도 늘 한결같은 Lohse에게 말리는 경기가 예상된다.


(추가: Jimmy Nelson이 손가락에 물집이 잡혀서 등판이 취소되었고, 이에 따라 상대 선발투수들이 한 경기씩 당겨지게 되었다. 2차전에 Lohse, 3차전에 Garza가 나온다고 한다.)



음.. 오늘은 이것저것 많이 써볼까 했고 나름 할 말도 많이 있는데... 이 새벽에(현재시간 2:55) 둘째가 잠을 안자고 계속 울어대고 있어서 더이상 글을 쓰기가 힘들 것 같다. 본의 아니게 또 부실한 프리뷰가 되어 버리는 것에 대해 양해를 부탁 드린다.



Go Cardinals...!!!



Posted by FreeRedbird
:

by 주인장.


Dodgers Series Recap

7/18 Cardinals 3, Dodgers 2

7/19 Cardinals 4, Dodgers 4

7/20 Dodgers 4, Cardinals 3


Dodgers와의 경기는 이래저래 참 피곤하다. 명색이 Recap이긴 하나 별로 이 시리즈를 되돌아보고 싶지는 않다.


일단 2승 1패로 시리즈 위닝을 달성한 것은 칭찬할 만한 일이나, 마지막 경기에서의 지리멸렬한 모습들은 이런저런 짜증을 불러일으켰다. 특히 9회 0-2 카운트에서 HBP로 상대 타자를 출루시키는 장면에서는 저절로 욕이 나올 정도였다. 아 정말... 제구가 그정도로 안되면 그냥 몸쪽 승부를 하지 마라. 야구 좀 편하게 보게 해주면 안 되나? LAD와의 시리즈는 그 자체로 이미 스트레스인데 말이다.



Series Preview: Cardinals vs Rays (시즌 첫 맞대결)

팀 성적

Cardinals 54승 45패 .535 (NL Central 2위, 0.5 게임차)  Run Diff. +16

Rays 47승 53패 .470 (NL East 5위)  Run Diff. -16


이번 시리즈는 Rays와의 홈 2연전이다. 인터리그는 8월에 Red Sox, Orioles와의 시리즈가 아직 남아 있다.


현재 NL 중부지구의 순위 및 승차는 다음과 같다.


1. Brewers

2. Cardinals -0.5

3. Pirates -2.5

4. Reds -3.5


네 팀이 치열한 순위다툼을 벌이고 있으며, 특히 Brewers와 Reds가 3연전을 치르고 있는 중이다. 오늘 첫 게임에서는 Brewers가 Latos를 털면서 먼저 기선을 제압했다.


Rays는 최근 Twins를 스윕하는 등 5연승으로 한참 분위기가 좋은 상태이다. 하필 이런 시기에 만나서 쉽지 않은 승부가 될 것 같지만, 절대 물러설 수 없는 시리즈이다. 특히 현재 원투펀치라고 할 수 있는 Waino와 Lynn이 출격할 예정이고, 마침 휴식일도 많으므로, 스윕을 목표로 총력전을 해 보자. (그러나 현실적으로는 1승 1패를 예상한다. -_-;;)



Probable Starters

Game 1: Adam Wainwright vs Jake Odorizzi                7/22 20:15 EDT (7/23 9:15 KST)

Game 2: Lance Lynn vs Alex Cobb                            7/23 19:15 EDT (7/24 8:15 KST)


다행히 Price를 피하기는 했으나, Odorizzi와 Cobb도 만만찮은 상대들이다. Odorizzi는 극단적인 플라이볼 성향은 그대로이나, 탈삼진 비율이 작년 6.67 K/9에서 올해 10.34 K/9로 갑자기 급증했다. 이런 녀석은 뜬금포가 가장 좋은 대응 방법인데 홈런 치는 법을 거의 잊어버린 이 팀 타자들로서는 버거운 상대가 될 것 같다. Waino의 어깨가 무겁다.


2차전의 Cobb은 Price 이후 Rays의 에이스가 될 것으로 기대를 받고 있는데, 올 시즌 성적은 4.08 ERA, 4.07 FIP, 3.71 xFIP로 다소 평범한 모습이다. 그러나 57%의 그라운드볼 비율과 11.2%의 높은 스윙 스트라이크 비율, 그리고 2.87 BB/9로 비교적 안정적인 컨트롤까지 선발투수 롱런의 3박자를 고루 갖추고 있어, 앞으로가 더욱 기대되는 영건이다. 그런 포텐은 나중에 터뜨리고 이번 시리즈는 좀 살살 해 주길 바란다. ㅎㅎ 마찬가지로 타자들에게 많은 기대를 하기는 어려우니 Lynn을 믿어보아야 할 듯.



Statistics




스탯은 Fangraphs를 참고하였으며, 인터리그이므로 MLB 전체 30팀 중에서의 순위를 표기하였다.


리그 차이를 감안하더라도, 이렇게 보면 우리가 Rays보다 잘하는 것이 그다지 많지 않아 보인다. -_-;;;



Go Cardinals...!!!



Posted by FreeRedbird
:

by 주인장.


Giants Series Recap

7/1 Giants 6, Cardinals 0

7/2 Cardinals 2, Giants 0

7/3 Cardinals 7, Giants 2


Dodgers 원정 4경기에서 꼴랑 4득점으로 1승 3패에 그치고, 다시 Giants와의 1차전에서 영봉패를 당했을 때에는, 정말 가망이 없어보였다. 이대로 이렇게 올 시즌 호흡기를 떼는구나 라고 생각할 그 때, 우리의 에이스 Waino가 "gutsy"한 투구로 2차전 2-0 승리를 이끌었고, 3차전에서는 무려 MadBum을 털며 7-2로 승리, 놀랍게도 위닝시리즈를 만들었다. 특히 직전 6경기에서 도합 6점을 득점하고는 마지막 경기에서 14안타를 몰아치며 7득점을 한 것이 인상적이었는데, 우연인지 모르겠으나 이날 라인업에는 Craig이 없었다. 팬 블로그의 판타지에서조차 버려지는 Craig... 663 OPS와 89 wRC+에 빛나는 이분은 당분간 벤치에서 쉬는 것이 적절해 보이나, 으리의 MM은 아마도 오늘 다시 그를 스타팅 라인업에 넣을 것 같은 불길한 예감이 든다.


이렇게 해서 서부지구 원정 10경기를 5승 5패로 마무리했다. 정말 이 팀은 종잡을 수가 없는 팀이다. 이제 조금 정신차렸나 싶으면 연패하고, 이제 끝장이구나 싶으면 또 이기고... 어쨌든 귀신같이 원정 5할은 맞추고 돌아왔다.



Series Preview: Cardinals at Marlins (시즌 첫 맞대결)

팀 성적

Cardinals 46승 40패 .535 (NL Central 2위, 5 게임차)  Run Diff. +20

Marlins 41승 44패 .482 (NL East 3위)  Run Diff. 0


이번 시리즈는 Marlins와의 주말 홈 3연전이 되겠다. Marlins는 울트라 수퍼 에이스 Jose Fernandez의 TJ 수술에도 불구하고 초반 나름 동부지구 선두권 레이스에 꼽사리껴서 달리고 있었으나, 슬슬 DTD를 시전하여 이제 5할 승률 밑으로 내려온 상태이다. 동부지구는 Mets와 Phillies가 워낙 심하게 꼴아박고 있는 관계로, 아마도 지구 3위는 가능할 것 같다.


우리는 여전히 지구 2위를 기록 중이다. Brewers와는 5게임차인데, 위도 위지만 아래가 무섭다. 3위 해적떼는 우리와 1.5 게임 차이밖에 나지 않으며, Reds와도 달랑 2 게임차이다. 조금만 삐끗해도 곧바로 4위로 추락할 수 있는 상황이다.



Probable Starters

Game 1: Lance Lynn vs Nate Eovaldi                          7/4 19:15 EDT (7/5 8:15 KST)

Game 2: Shelby Miller vs Andrew Heaney                    7/5 14:15 EDT (7/6 3:15 KST)

Game 3: Marco Gonzales vs Henderson Alvarez           7/6 14:15 EDT (7/7 3:15 KST)


그런 중요한 상황에서 맞이한 시리즈인데... 선발 로테이션이 영 구릿구릿하다. Lynn - Miller - Gonzales라니 무척 암울하게 느껴진다. 최근 등판을 보면 차라리 CMart가 Miller나 Gonzales보다 나아 보인다. Lynn이 나오는 1차전은 무조건 잡아야 그나마 나머지 두 경기중 하나를 뽀록으로 잡아서 위닝시리즈를 노려볼 수 있을 것이다.


반면 상대 선발들은 꽤 인상적인 영건들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들의 스탯을 잠시 살펴보자.



보시는 바와 같이, 이 셋은 모두 BB/9가 1.8 미만으로 좋은 제구력을 갖춘 투수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으며, 중립이거나 그라운드볼 성향을 지니고 있다. Heaney의 피홈런은 그라운드볼 비율을 고려할 때 비정상적으로 높은 상태로 보인다. 현재 타선 상태를 감안하면 아무리 봐도 얘네들 셋을 털기는 쉽지 않을 것 같다.


선발 매치업이 비관적인 관계로 1승 2패의 루징시리즈를 예상해 본다.



Statistics



스탯은 Fangraphs를 참고하였으며, 순위는 NL 15팀 중에서의 순위를 표기하였다.


우리가 느끼기에는 너무나도 허접한 팀 공격력인데, wRC+ 기준으로는 NL 15팀 중에서 8위나 된다는 것이 놀랍다. 우리의 눈이 너무 높은 것인가, 아니면 투고타저의 흐름이 절정에 달한 탓인가...



Go Cardinals...!!!



Posted by FreeRedbird
:

by 주인장.


Phillies Series Recap

6/19 Phillies 4, Cardinals 1

6/20 Phillies 5, Cardinals 1

6/21 Cardinals 4, Phillies 1

6/22 Cardinals 5, Phillies 3


둘째 출생 후 6월 들어 거의 전혀 신경을 못쓰다가, 대략 Nats 시리즈부터 다시 게임을 보기 시작했는데, Mets, Philles 시리즈까지 3시리즈에서 본 Cards라는 팀은 5월 말과 비교해서 별로 달라진 게 없는 아주 친숙한 모습이었다. 위압감이 없는 식물스런 타선은 플옵진출보다는 노벨평화상 수상을 노리는 게 나을 것 같았는데, 그나마 이 10연전에서 7승을 거둔 것은 투수들, 특히 선발들이 분전해 준 것이 컸다. 이긴 7경기에서 실점은 총 11점에 불과했으며, 진 3경기를 포함해도 10경기에서의 실점은 총 23점, 경기당 2.3점에 불과했다. 이렇게 던지면 타자들이 아무리 못해도 많이 이길 수밖에 없다. 뭐, 그래도 마지막 경기에서 3점을 먼저 주고 타선이 집중력을 발휘해서 역전한 것은 칭찬해 주도록 하자.


자, 그런데 이제 팀을 캐리해주던 선발진의 2/5가 DL에 가게 되었으니 이를 어찌해야 한단 말인가... Garcia는 솔직히 오래 버텨줄 것이라고 전혀 기대하지 않았으나, Wacha의 부상은 타격이 크다. 어깨의 Stress Reaction이라니 이게 무슨 부상인지 잘 모르겠는데, 장기 결장이 될 가능성도 있어 보인다. Wacha가 두어 달 쯤 드러눕게 된다면, 와일드카드 경쟁조차 버겁게 될 것이다.


두 투수의 DL행을 기자들에게 전달하는 Mo의 표정이 참 안쓰럽다. 몇 달 사이에 한 10년쯤 늙은 듯.

(공홈 링크)





Series Preview: Cardinals at Rockies (시즌 첫 맞대결)

팀 성적

Cardinals 41승 35패 .539 (NL Central 2위, 5.5게임차)  Run Diff. +25

Rockies 34승 41패 .453 (NL West 3위)  Run Diff. -7


그렇게 선발진에 구멍이 난 상태에서, 등산을 가게 되었다.


Rockies와는 올 시즌 첫 맞대결이다. Rockies는 초반 돌풍을 일으키던 기세는 없어지고, 최근 6연패로 한없이 침몰하고 있는 중이다. CarGo, Arenado 등 핵심 선수들의 부상이라는 악재도 있었지만, 결국은 얄팍한 투수 뎁스가 한계를 드러낸 것이 근본적인 원인으로 보인다. 최근 6연패하는 동안 Rockies는 무려 46점을 실점하였는데, 경기당 7.7점에 해당한다. 과연 우리 식물 타선이 이런 허접스런 상대 투수진을 상대로 어떤 모습을 보일지 흥미진진하다. 무딘 창과 종이 방패의 대결!! 진정한 약자를 가려보자!!



Probable Starters

Game 1: Lance Lynn at Jhoulys Chacin                         6/23 20:40 EDT (6/24 9:40 KST)

Game 2: Shelby Miller at Jorge De La Rosa                    6/24 20:40 EDT (6/25 9:40 KST)

Game 3: ??? Marco Gonzales at Christian Bergman(?)                             6/25 15:10 EDT (6/26 4:10 KST)


1차전은 Lynn과 Chacin의 매치업이다. 상대 선발 Chacin은 작년에 보여준 발전한 모습이 뽀록이었는지 다시 2012년과 유사한 허접스런 모습 - 그저 그런 삼진비율과 볼질의 결합 - 으로 돌아가 있으며, 한때 91마일을 상회하던 패스트볼 구속도 88마일대까지 떨어져 있는 상태이다. 그래도 지금 팀 타선으로는 한 4점 정도 뽑는게 한계일 것이다. Lynn이 쓸데없이 경기 초반에 빡치지만 않으면 어찌어찌 이길 수는 있을 듯. 얘는 오프시즌에 강제로 분노조절 프로그램이라도 이수시켜야 할 것 같다.


2차전의 상대 선발 Jorge De La Rosa는 Chacin과 마찬가지로 별 특징없는 평균이하의 투수로 전락한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 특히 6월 들어 8.20 ERA, 6.30 FIP로 극도로 부진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녀석을 털 수 있느냐가 우리 타선의 진정한 식물성을 평가해 볼 수 있는 잣대가 될 것이다. 우리 역시 도무지 종잡을 수 없는 Miller가 선발 등판하니, 예측불허의 발암성 경기가 예상된다.


3차전은 원래 Garcia의 턴인데, 이 글을 쓰는 현재 아직 누가 땜빵선발로 올라올지 발표되지 않은 상태이다. 햄스트링 부상이라는 페라리 선생께서는 아직도 리햅이 더 필요하다고 하니 누군가 다른 투수가 콜업되어야만 한다. Memphis의 선발 로테이션을 보면 18일에 Zach Petrick, 19일에 Tyler Lyons, 20일에 Angel Castro가 등판했는데, 이중 유일하게 40인 로스터에 포함되어 있는 Lyons가 잠깐 올라올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그나마도 Castro는 대체용병으로 한국에 온다는 소문이 있다...) 상대 선발은 Bergman이라는 듣보잡 투수가 올라올 차례인데, 지난 번 등판때 라인드라이브 타구에 맞아 3차전 등판 여부가 불투명하다고 한다. 상대 선발로 누가 나오던 간에 Lyons가 탈탈 털릴 것이니 큰 기대는 하지 말자.


(추가: 3차전 선발로 Marco Gonzales가 콜업되어 메이저 데뷔전을 치를 예정이라고 한다. 부상 대체 콜업의 경우 강등 10일 이내라도 가능하기 때문에, 충분히 Lyons의 콜업이 가능한 상황이었는데도 굳이 Gonzales를 올리는 것을 보니, 어지간히도 Lyons에 대한 기대가 없는 모양이다. 아무리 마곤이가 산동네 출신이라지만 쿠어스에서 메이저 데뷔라니, 작년에 프로에 입문한 어린이에게 너무 가혹한 것 같은데...)



예측불허의 2, 3차전은 하나씩 나눠가질 듯 하므로, 1차전을 이기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Lynn이 빡치지 않도록 주위에서 잘 보살펴 주어야 할 것이다. 글구 모처럼의 등산길이니 맷 잉여는 제발 홈런 좀 쳐라...



Statistics



스탯은 Fangraphs를 참고하였으며, 순위는 NL 15팀 중에서의 순위를 표기하였다.


Rockies는 참 팀컬러가 확실한 팀이다.

홈구장이 워낙 특별한 환경이기는 하지만, 이정도로 극단적인 팀을 만들기도 쉽지 않다.



게임 쓰레드 로테이션에 복귀하긴 했는데 당분간은 글을 길게 쓰기가 힘들 것 같다. 다소 부실한 프리뷰에 대해 양해를 부탁드린다. ^^


자리를 비운 3주 동안 수고해주신 doovy님, jdzinn님께 감사드리며...


Go Cardinals...!!!

Posted by FreeRedbird
:

by 주인장.


Yankees Series Recap

5/26 Yankees 6, Cardinals 4 (연장 12회)

5/27 Cardinals 6, Yankees 0

5/28 Yankees 7, Cardinals 4


인터리그 덕에 좀처럼 보기 힘든 흥미로운 매치업이 성사되었는데, 결과는 1승 2패로 좋지 않았다. 상대 타선이 우리만큼이나 푸릇푸릇한 식물원인 데다가, 마침 상당히 허접한 선발진을 들고 왔기 때문에, 적어도 2승 1패는 해야 하지 않나 싶었는데... 역시나 이번에도 기대를 저버렸다. 타선이 3경기에서 14점을 냈으니 겉보기에는 그럭저럭 할 일을 한 것처럼 보이지만, 솔직히 Kuroda나 Whitley의 구위를 봤을 때는 1, 3차전 모두 한 3-4점씩은 더 뽑았어야 하는 경기였다. 3차전은 Kuroda를 털지 못한 타선 외에도 Miller가 5이닝 7실점으로 무너지며 경기가 일찌감치 넘어가버렸는데, 형편없는 세부스탯으로 어찌어찌 실점을 억제해 왔던 Miller의 운빨도 여기까지인 듯하다. 3차전 경기 도중 "페라리가 그립다"는 댓글이 달릴 정도였으니... 주인장이 보기에도, 빠르지도 않은 포심을 주구장창 우겨넣기만 하는 지금의 Miller보다 차라리 그라운드볼 위주로 빠르게 게임을 풀어가는 페라리 조육삼 선생이 나을 듯하다.



Series Preview: Cardinals vs Giants (시즌 첫 맞대결)

팀 성적

Cardinals 29승 24패 .547 (NL Central 2위, 2.5게임차)  Run Diff. +25

Giants 34승 19패 .642 (NL West 1위)  Run Diff. +47


드디어, 올 것이 왔다. MLB 전체 승률 1위, 득실차 2위의 Giants와 4연전을 벌이게 된 것이다. 그동안 한심한 경기력에도 불구하고 기적적으로 Brewers와 근소한 차이를 유지하며 계속 컨텐더의 지위를 유지해 온 이 팀에게, 최대의 위기가 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Probable Starters

Game 1: Jaime Garcia vs Ryan Vogelsong                 5/29 20:15 EDT (5/30 9:15 KST)

Game 2: Adam Wainwright vs Madison Bumgarner       5/30 20:15 EDT (5/31 9:15 KST)

Game 3: Michael Wacha vs Matt Cain                       5/31 14:15 EDT (6/1 3:15 KST)

Game 4: Lance Lynn vs Tim Hudson                         6/1 14:15 EDT (6/2 3:15 KST)


시작부터 만만치가 않다. 시즌 초반 극도로 부진했던 Vogelsong은 4월 말부터 완전히 달라진 모습을 보여서, 4/27 부터 6차례의 등판에서 40이닝을 던지는 동안 단 6실점하며 1.35 ERA, 35 K/11 BB의 압도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우리 식물들이 딱히 뭘 해줄 것 같지가 않으므로, 이 경기는 거의 전적으로 홈 Garcia의 법력에 기대는 수밖에 없겠다. 다행히 DL에서 돌아온 뒤의 Garcia는 구속과 구위가 꽤 괜찮아 보인다.


2차전은 말이 필요없는 매치업이다. 가장 최근의 등판에서, Waino는 8이닝 12탈삼진 무실점, Bumgarner는 7이닝 10탈삼진 1실점으로 둘 다 압도적인 모습을 보였다. 투수만 놓고 본다면 그래도 Waino의 우세를 점치고 싶지만, 평화주의를 지향하는 팀 동료들을 생각하면 이것도 쉽지 않은 경기가 될 듯.


그나마 3차전이 좀 사정이 나아 보인다. Wacha도 나름의 불안요소를 가지고 있지만, 상대 Cain은 확실히 예전 에이스의 모습과는 다소 거리가 있는 것 같다. 볼넷과 피홈런이 많아진 Cain은 평범한 3-4선발이 되어 버린 느낌이다. 이 경기는 무조건 가져와야 한다.


4차전에는 올 시즌 Giants가 잘나가는 데 가장 크게 공헌하고 있는 선수 중 하나인 Tim Hudson을 상대하게 된다. Hudson은 75년생이니 우리식으로는 40세인데, 올해들어 10번 선발 등판하여 자책점을 3점 이상 내준 것이 단 한 번에 불과할 만큼 압도적인 안정감을 자랑하며 회춘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물론 0.77 BB/9라는 엽기적인 스탯을 시즌 내내 계속 유지할 가능성은 낮으나, 이번 시리즈에서 당장 갑자기 컨트롤이 안좋아질 가능성도 거의 없어 보인다. 이런 투수를 무너뜨리는 방법은 뜬금포 말고는 없을 듯한데, 지금 타선에서 그런 걸 기대할 만한 타자는 약쟁이 유격수 한 명 뿐인듯. 약쟁이가 막히면 그냥 질 것 같다. 그렇다고 Lynn에게 또 완봉을 기대할 수도 없는 노릇이고...



이 시리즈에서 1승 3패를 당한 뒤 OT 콜업 등 로스터 정비에 들어가는 수순을 예상해 본다. 아무리 봐도, 스플릿조차 버거워 보이는 우울한 시리즈이다.



Statistics



스탯은 Fangraphs를 참고하였으며, 순위는 NL 15팀 중에서의 순위를 표기하였다.


팀 이름을 가려 놓고 투수/수비쪽 스탯 중에서 어느 쪽이 Cards인지 맞춰 보라고 하면 아마도 열에 아홉은 틀리지 않을까 싶다. Giants 쪽 스탯이 훨씬 더 기존 Cards 이미지에 가깝다. 삼진 많이 못 잡고, 볼넷은 절대로 안 내주며, 그라운드볼 유도에 특화되어 있다.


저질적인 경기력에도 불구하고 어떻게 이 팀이 5할이 넘는 승률을 유지하고 있는지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많은 것 같은데, 보시다시피 팀 스탯을 보면 장타력이 딸리는 것 이외에는 그렇게 형편없는 수준이 아님을 알 수 있다. 주루가 꼴찌이긴 하나 뭐 지난 몇 년간 계속 못하던 것이니 별로 놀랍지도 않고... 그러니까 현재의 이 팀은 사실 막장이 아니고, "매우 높은 기대치에 비해 못하고 있는 약간 좋은 팀"인 것이다. 반전의 기회는 언젠가 반드시 찾아올 것이라고 본다.



Go Cardinals...!!!

Posted by FreeRedbird
:

by 주인장.


Braves Series Recap

5/16 Cardinals 5, Braves 2

5/17 Cardinals 4, Braves 1

5/18 Braves 6, Cardinals 5


홈으로 장소를 옮겨서 벌인 제 2차 대변대전은 이번에도 Cardinals의 2승 1패 판정승으로 끝났다. 이번 시리즈는 지난 1차대전 보다는 훨씬 괜찮은 내용의 시리즈였는데, 우선 Lynn - Miller - Garcia(시즌데뷔) 라는 일견 답답해 보이는 선발들을 투입하고도 이들이 매 경기 7이닝씩을 소화하며 제 몫을 해 주었고, 다시 메이저리그에 복귀한 Kolten Wong도 2번 타순에서 출루, 도루에 적시타까지 치며 제대로 spark plug 역할을 해 주었다. 2차전까지 나타난 상대의 허접한 경기력으로 보아 스윕도 가능해 보였고, 실제로 스윕 1이닝 직전까지 갔으나, 3차전에서 Rosie가 막판에 무너지며 결국 역전패하고 말았다. 불펜의 핵인 Rosie와 CMart가 동반 부진에 빠진 것은 상당히 우려스러운데, 마침 Motte이 이번 시리즈에 맞춰 메이저 로스터에 돌아올 예정이니 불펜 사정도 좀 나아지지 않을까 기대해 본다.



Series Preview: Cardinals vs Diamondbacks (시즌 첫 맞대결)

팀 성적

Cardinals 23승 21패 .523 (NL Central 2위, 3.5게임차)  Run Diff. +11

Diamondbacks 18승 28패 .391 (NL West 5위)  Run Diff. -60


이번 시리즈는 DBacks와의 홈 3연전이다. DBacks는 현재 승률 .391로 메이저리그 30개 팀 중 28위에 처져 있으며, 득실차는 -60점으로 MLB 전체 꼴찌이다. 그런데, 월별 기록을 보면, 4월만 해도 9승 19패로 전혀 가망이 없어 보이던 팀이 5월 들어 9승 6패로 부쩍 상승세를 타고 있다. 지난 주말에는 LA Dodgers를 맞아 Kershaw에게 7점을 뽑아 18-7로 대승을 거두고, 다음날에는 Haren을 털어 역시 위닝시리즈를 달성한 바 있다. 4월에 만났다면 참 좋았을 텐데, 지금은 상당히 까다로운 상대이다.



Probable Starters

Game 1: Adam Wainwright vs Bronson Arroyo            5/20 20:15 EDT (5/21 9:15 KST)

Game 2: Michael Wacha vs Brandon McCarthy          5/21 20:15 EDT (5/22 9:15 KST)

Game 3: Lance Lynn vs Wade Miley                        5/22 19:15 EDT (5/23 8:15 KST)


1차전의 상대는 꾸준함의 대명사인 Arroyo이다. 올해도 변함없이 4.15 ERA, 4.12 FIP로 늘 보여주던 꾸준함을 계속해서 시전하고 있다. 2000년에 메이저 데뷔를 했으니 벌써 메이저 15년차인데, 정말 이런 꾸준함은 대단하다는 생각이 든다. 올해는 속구 평속이 85마일대까지 추락했는데, 대신 그라운드볼 비율을 52.3%까지 늘려서 떨어진 구위를 상쇄하고 있다. 똥볼에 말려 점수를 뽑지 못하는 답답한 경기가 예상되는데, 아마 저쪽도 Waino 상대로 점수를 못내기는 마찬가지일 것이고, 그렇게 어찌어찌 이기지 않을까...


2차전의 McCarthy는 5.01 ERA, 3.85 FIP, 2.74 xFIP, 2.88 SIERA로 실제 실점과 기대 실점과의 괴리가 매우 큰데, 59.6%의 LOB%와 21.4%의 HR/FB와 같은 괴랄한 스탯을 볼 때 불운했다고 보는 것이 맞을 것 같다. 그런데 올 시즌 9번의 선발 등판 중 5점 이상 대량실점한 경기가 네 번이나 될 만큼 불운이 자주 찾아오는 편이니, 이번에도 한 번만 더 불운하기를 빌어 보자. 사실 늘상 90마일에 머무르던 속구 구속이 올해 들어 93마일까지 치솟는 등, 투수로서는 기량이 향상된 모습이어서, 자칫 영봉 당하지나 않을까 불안하다. 예감이 영 좋지 않은 경기이다.


3차전은 Lynn과 Miley의 대결이다. Lynn의 약점은 항상 좌타자에게 뚜렷한 무기가 없어 laboring을 하는 것인데, 주로 리드오프로 나오는 Gerardo Parra와 4번을 치는 Miguel Montero를 상대로 어떻게 풀어갈 것인지가 관건이 되겠다. 특히 이동일인 만큼 Prado를 빼고 역시 좌타인 Eric Chavez를 3루에 내보낼 가능성이 있다. 상대 선발 Miley는 그저그런 구위를 괜찮은 제구력과 그라운드볼로 때우는 유형의 평범한 선발투수인데, 올해 들어 HR/FB가 16.4%로 치솟은 덕에 역시 4.94 ERA로 실점을 많이 하고 있다. 이 경기에서도 그냥 비슷하게 6이닝 3~4실점쯤 하지 않을까 싶은데, Lynn이 3점 이내로 막아내는 것이 관건이 되겠다. Parra 출루 후 Goldschmidt에게 홈런을 맞는 정도로 2실점에 그치길 빌어 본다. -_-;;;


하필 상대가 상승세일 때 만나게 되었으나, 우리 선발의 힘을 믿고 2승 1패의 위닝시리즈를 예상해 본다.



Statistics



스탯은 Fangraphs를 참고하였으며, 순위는 NL 15팀 중에서의 순위를 표기하였다.


팀 스탯을 보면 현재 팀의 모습이 그대로 나타나 있다. 공수에 걸쳐서 전체적으로 고만고만한 모습이니 5할 언저리에서 놀고 있는 게 당연한 것이다.


DBacks는 4.75라는 황당한 팀 ERA를 가지고 있는데, xFIP는 3.63으로 1점 이상 낮다. 이것은 이 팀이 특히 피홈런을 비정상적으로 많이 허용해 왔음을 의미한다.



Player to Watch


Trevor Rosenthal & Carlos Martinez: 요즘 이 두녀석의 동반 부진이 화제가 되고 있다. 먼저 Rosie를 보면... BB/9가 무려 5.82에 달하고 있으며, 여기에 LOB%가 65.4%에 불과하여 더욱 사태를 악화시키고 있다. 즉 볼넷으로 출루시키는 경우가 매우 많고, 이 주자들이 쉽게 득점하고 있다는 이야기이다. 이거, 클로저로서는 매우 나쁜 상황이다. 왜 이런 현상이 일어나고 있을까?


패스트볼 구속을 보면 평속 96.3으로 작년보다 1마일이 줄긴 했지만 여전히 무척 빠른 수준이다. 구종선택 등에서는 별다른 문제가 보이지 않는다. 그런데, Plate Discipline 쪽을 보면 재미있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2013년과 2014년의 O-Swing%을 보면, 무려 15% 이상 감소한 것을 볼 수 있다. 즉, 올해들어 상대 타자들이 존을 벗어나는 공에 좀처럼 스윙을 하고 있지 않은 것이다...!!! 초구 스트라이크 비율이 9%나 하락한 것도 결국 이것과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이다. 이전 같으면 헛스윙이나 파울, 인플레이가 되었을 공들이 죄다 볼이 되고 있으니 볼넷이 크게 상승할 수밖에 없다. 이렇게 O-Swing%이 격감하면서 다른 모든 스탯이 악화되는 모습은 Shelby Miller와 비슷한 현상인데, 왜 갑자기 상대 타자들이 이렇게 볼을 잘 골라내게 된 것인지는 다소 불분명하다. 그냥 철저하게 분석당한 결과인 것일지도 모른다. 개인적으로 Rosie에게 권하고 싶은 것은, 변화구의 구사를 늘려 보면 어떨까 하는 것이다. 이렇게 뻔히 수를 읽히고 있다면, 변화를 줘볼 필요가 있다.


CMart의 경우는 좀 더 황당한데, 구속이라든지 P/D 스탯이라든지 세부스탯은 작년보다 나빠진 것이 없는데도 삼진은 급감하고 볼넷은 늘어서, ERA와 FIP는 3점대 중후반에 머무르고 있고, 심지어 xFIP와 SIERA는 4점대를 찍고 있다. 그것도 .271이라는 낮은 BABIP의 혜택을 받고 있으면서도 그모양이라는게 정말 어이가 없다. 이 녀석은 SwStr%과 LkStr%이 모두 10%대인 데다 초구 스트라이크도 60%에 가까워서, Mike Podhorzer의 삼진 예측 공식에 넣어 보면 expected K/PA가 무려 28%에 달한다. 이정도면 9이닝당 10개가 넘는 되는 탈삼진을 기록해야 하는데, 현실은 5.87 K/9로 거의 절반밖에 되지 않는다...!!! 아무리 투심으로 범타 유도하는 것을 즐긴다(?)고 해도, 이렇게 헛스윙과 루킹스트라이크를 많이 잡으면서 정작 삼진은 잡지 못하는 괴현상은 어떻게 설명을 해야 할 지 모르겠다. 원인을 알 수 없으니 뾰족한 답도 없어 보인다. 올 시즌 이닝수가 23이닝밖에 되지 않으니, 적은 샘플 사이즈에 기인한 일시적인 스탯 왜곡일 가능성도 꽤 있다. 일단은 좀 더 지켜보도록 하자.


D-Backs 타선은 뭐니뭐니해도 Paul Goldschmidt(9 HR, 148 wRC+)가 가장 무서운 존재이지만, 최근들어 A.J. Pollock(5 HR, 6 SB, 148 wRC+)이 무서운 기세로 광분하고 있어 특히 주의해야 한다. 이들 둘 외에도 Miguel Montero(117 wRC+), Chris Owings(109 wRC+), Aaron Hill(103 wRC+)이 요주의 대상이다. DBacks의 팀 성적이 나쁜 것은 순전히 투수들이 홈런을 너무 많이 얻어맞았기 때문이지, 타선이 후져서는 절대 아니다.



Miscellany


Tony La Russa가 DBacks의 "Chief Baseball Officer"로 고용되었다. 이런 직함은 처음 들어보는데, 구단 CEO인 Derrick Hall 바로 밑의 자리로, Kevin Towers 단장으로부터는 보고를 받는 자리라고 한다.


이런 사태가 벌어지면, 보통은 갑자기 상전을 모시게 된 Towers가 옷을 벗게 되리라고 예상하게 마련이다. 일례로 Reds가 2009년 1월 Walt Jocketty를 CEO에게 직접 보고하는 Special Advisor로 고용했을 때, 당시 단장이던 Wayne Krivsky는 이후 석 달 만에 자의 반 타의 반으로 Reds 프런트를 떠났다. TLR은 프런트 경력이 없으니, Jocketty처럼 본인이 단장이 되기보다는 누군가 자기 입맛에 맞는 사람을 단장으로 새로 세울 가능성이 꽤 된다고 봐야 할 것이다.


그런데, 재미있는 것이, Kevin Towers는 누구보다도 이런 불편한 동거 경험이 풍부한 인물이다. Padres의 단장으로 재직하던 2005년, 구단은 뜬금없이 MLB 사무국에서 임원으로 재직 중이던 전직 A's 단장 Sandy Alderson을 데려와 CEO로 삼았고, Alderson은 본인이 단장인 것처럼 직접적으로 팀 운영에 관여하였다. 게다가 2006년에는 Paul DePodesta가 단장을 거치지 않고 CEO에게 직접 보고하는 Special Advisor로 또 고용되어, Kevin Towers는 졸지에 상전을 둘이나 모시게 되었다. 하지만, Towers는 꾹 참고 단장으로 무려 4시즌을 더 일했다. 2009년 말에 결국 짤릴 때까지 말이다. 그렇게 짤리고 나서 DBacks의 단장이 되었는데, 거기 가서 또 이런 일을 겪게 되니, 역사는 정말 반복되는 모양이다. 과연 이번에도 Padres 시절처럼 뜬금없이 나타난 시어머니를 잘 모시고 살아갈 수 있을지 무척 흥미진진하다. (근데, PDP나 Alderson이 어떤 사람들인지 잘은 모르겠다만, TLR 이사람 꽤 힘들거다... 아마 앞의 둘을 합친 것보다 더 빡셀지도... ㅎㅎ)



Go Cardinals...!!!

Posted by FreeRedbird
:

by 주인장.


Braves Series Recap

5/5 Cardinals 4, Braves 3

5/6 Braves 2, Cardinals 1

5/7 Cardinals 7, Braves 1


jdzinn님의 예상대로 이 시리즈는 "똥과 똥이 부딪치는 대변전쟁"으로 흘러갔는데, 특히 Tyler Lyons와 Gavin Floyd가 불꽃튀는 투수전을 벌인 2차전이 압권이었다. 8회 1-1 상황에서 등판한 Neshek이 적시타를 맞고 결승점을 내준 직후 3루에 있던 Freddie Freeman이 런다운에 걸려 횡사하는 모습은 정말로 "화합과 우정의 병림픽"이라는 jdzinn님의 표현이 어울리는 명장면이었다.


2차전 꼴을 봐서는 3차전에서 Minor에게 빤쓰까지 탈탈 털릴 것 같았으나, 이번엔 또 의외로 Bourjos를 비롯한 타선이 터져 주면서 7-1로 쉽게 3차전을 가져왔다. 이렇게 해서 어쨌든 위닝시리즈가 되었으니, 일단 여기서는 이기는 병x이 된 것으로 만족하도록 하자. 게다가 3차전에서 MCarp와 Bourjos가 좋은 타격감을 보여주기도 하지 않았던가. 얘네 둘만 좀 더 살아나 줘도 Yadi 혼자 분전하고 약쟁이가 가끔 뜬금포나 날려주는 게 고작이었던 타선에 큰 힘이 될 것이다.


물론, 여전히 아주 많은 문제가 남아 있다. Miller는 여전히 미치도록 답답하고, Craig은 여전히 타구가 구리구리하고, 돼지는 장타력을 엿바꿔 먹었고, 마엘영감은 OPS 4할에서 놀고 있고... 이렇게 미해결 과제들을 잔뜩 안은 채로, 우리는 해적떼와 시즌 세 번째 시리즈를 치르게 되었다. 



Series Preview: Cardinals at Pirates (시즌전적 3승 3패)

팀 성적

Cardinals 18승 17패 .514 (NL Central 2위, 4게임차)  Run Diff. +17

Pirates 14승 20패 .412 (NL Central 4위)  Run Diff. -14


해적떼는 최근 1주일 동안 까다로운 상대들인 Blue Jays, Giants와 홈 6연전을 치르면서 4승 2패의 좋은 성적을 거두었는데, 4월에 싸놓은 똥이 워낙 많아서 아직도 승률이 4할대 초반에 머물고 있다. 우리와는 3.5게임차. 시즌 개막 후 지금까지 Cards, Pirates, Reds의 동반 부진과 Brewers의 약진은 상당히 의외였는데, Brewers는 최근 7경기에서 2승 5패로 부진하여 슬슬 DTD가 시작되려는 조짐을 보이고 있다. 이럴 때 열심히 벌어서 따라잡아야 하는데...


Probable Starters

Game 1: Michael Wacha at Francisco Liriano           5/9 19:05 EDT (5/10 8:05 KST)

Game 2: Lance Lynn at Edinson Volquez                5/10 19:05 EDT (5/11 8:05 KST)

Game 3: Shelby Miller at Charlie Morton                 5/11 20:00 EDT (5/12 9:00 KST)


3차전에 또 ESPN의 중계가 잡혔는데, 덕분에 2주 연속 주말 마지막 경기를 저녁 경기로 치르게 되었다.


상대 선발인 Liriano와 Volquez가 최근 상당히 좋지 않았으므로(Liriano 5/3 vs TOR 3.2이닝 4실점, Volquez 최근 2경기 10.2이닝 12실점), 기분 같아서는 얘네들을 탈탈 털어서 대승을 거둘 것 같지만, 지난번 Cubs 시리즈에도 그런 식으로 프리뷰를 썼다가 Arrieta에게 영봉패를 당하는 어이없는 일이 벌어진 바 있었다. 지금의 허접한 Cards 타선에 "빠따 폭발로 대승" 이라는 설레발은 전혀 어울리지 않는다. 물론, 아무리 Wacha가 아직 요령이 좀 부족하고 Lynn이 롤러코스터라고는 해도 설마 쟤네들한테 질까 싶기는 하다만... 다소 병맛스럽게 간신히 이기는 경기들이 될 듯.


3차전은 매치업만 봐도 뒷골이 땡겨온다. 상대투수가 극단적인 그라운드볼러 Morton으로 타선이 답답한 모습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는 데다, 우리 선발은 5점대 FIP를 자랑하는 Miller가 아닌가. Miller 본인은 딱히 구속이 줄어든 것도 없고 작년과 비슷한 투수 같은데, 이제는 상대팀들에게 완전히 분석이 된 것인지 상대 타자들의 O-Swing%가 작년 29.5%에서 올해 20.9%로 크게 줄어들었다. 존을 벗어나는 유인구에 상대 타자들이 아예 스윙을 하고 있지 않으니, SwStr%도 작년 9.0%에서 올해 7.5%로 하락했고, 대신 9이닝당 볼넷이 2.96에서 5.26으로 크게 상승했다. 이거 해결책이 있기는 있는 것일까? 타자들의 헛스윙을 이끌어낼 묘책을 찾지 못한다면, 계속해서 발암성 피칭을 하는 수밖에 없을 것이다. 이 경기, 안 보는 게 정신 건강에 좋을 듯...



Statistics



스탯은 Fangraphs를 참고하였으며, 순위는 NL 15팀 중에서의 순위를 표기하였다.


타격은 양 팀이 도낀개낀인데, 투수/수비쪽에서는 차이가 제법 나고 있다. 극단적인 그라운드볼 성향의 투수진과 NL에서 가장 잦은 수비 쉬프트의 조합으로 작년에 꽤 재미를 봤던 해적떼인데, 올해는 그게 잘 통하지 않는 모습이다.



Player to Watch


Joey Butler: Randal Grichuk이 Memphis로 내려가고, 대신 Joey Butler가 콜업되었다. PCL에서 360/481/547의 매우 뛰어난 성적을 기록 중이었는데, 타고투저의 PCL에서도 무려 175 wRC+에 해당하는 성적이다. BABIP가 .409이니 다소의 뽀록이 가미되어 있을 것 같지만, 이녀석의 최근 4년간 AA, AAA BABIP는 무려 .388에 달한다. 1,725 타석에서의 기록이니 적어도 일부는 실력일 듯하다. 즉, 안타 타구를 만들어내는 나름의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는 이야기이다.


Butler는 코너 외야수이므로, Grichuk이 잠시 담당했던 우타 대타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간간이 Craig과 맷돼지의 플레잉타임을 흡수할 것으로 보인다. AAA에서는 최근 4년 동안 매 시즌 120 wRC+ 밑으로 내려가 본 적이 없는 타자였는데, 메이저에서 어떠한 모습을 보일지 궁금하다. Grichuk보다 파워나 스피드는 떨어지지만 적어도 터무니없는 변화구에 헛스윙을 하는 빈도는 적을 것이다.


해적떼의 타선은 늘 그렇듯이 Andrew McCutchen(321/431/519, 169 wRC+)가 이끌고 있는데, 얘는 점점 더 약점이 없는 완성형 타자가 되어가는 것 같다. 그밖의 타자들은 무려 30%에 육박하는 K%의 Starling Marte(266/338/374, 11 SB, 105 wRC+)를 비롯하여 삼진에 취약한 공갈포 성향의 타자들이 많으므로, 특히 탈삼진에 점점 특화되어 가고 있는 우리 투수진으로서는 상성이 좋은 편이라고 본다. 시즌 초반 그럭저럭 해주는 것 같던 Travis Snider는 228/315/267로 점점 본래의 모습으로 돌아가고 있는데, 얘가 이렇게 못하고 팀 성적도 시원찮은데도 불구하고 연봉 좀 아껴보겠다고 Gregory Polanco를 콜업하지 않고 버티고 있는 해적떼 프런트도 참 강적이라는 생각이 든다.


Go Cardinals...!!!

Posted by FreeRedbird
:

by 주인장.


Brewers Series Recap

4/28 Brewers 5, Cardinals 3 (연장 12회)

4/29 Brewers 5, Cardinals 4 (연장 11회)

4/30 Cardinals 9, Brewers 3


20연전이라는 극악의 스케줄, 그 마지막은 뜬금없이 MLB 전체 1위의 승률을 기록중인 Brewers와의 홈 3연전이었다. 육체적, 정신적으로 무척 힘든 상황이었고, 상대의 기세가 대단하긴 했다. 허나 아무리 그래도 Braun과 Segura가 스타팅에서 빠지고 Aramis Ramirez마저 1차전에서 Neshek의 공에 맞은 뒤로 결장하여 차/포/마까지 떼고 나온 Brewers를 상대로 1, 2차전을 연장까지 끌고 가서 무기력하게 패배한 것은 좀 너무한 것 같다. 그야말로 요즘 유행하는 "발암야구"의 정수를 보여 주었던 것이다. 이런 형편없는 경기력으로는 스윕이 유력하다고 생각했을 때, 뜬금없는 대량득점으로 3차전을 가져온 것 역시 참 Cards 다웠다. 이 시리즈의 소득이라면 Craig의 타격감이 돌아오고 있다는 정도일 듯.


Grichuk과 Greg Garcia가 콜업되었는데, Grichuk은 7타석에 나와 삼진 4개에 병살타 1개라는 빛나는 업적을 달성했다. 중견수로서의 수비는 괜찮았으나 타석에서는 아직 빅리그 투수들의 적수가 안되는 모습이었다. 우타 파워 핀치히터로 빅리그 벤치에 자리잡기를 기대하기에는 아직 컨택이 너무 안되고 있어서, 지금 쓰기에는 그래도 Bourjos가 타격감을 찾기를 기대하는 게 차라리 나을 것 같다는 느낌이 들었다. GG는 Grichuk보다는 확실히 공을 잘 보고 출루에 재능이 있는 모습을 보였다. 이녀석도 빅리그 주전감은 아니겠으나 벤치에 두고 쓰기에는 괜찮을 것 같은 느낌이었다. 적어도 코사마 같은 분재 보다는 낫다.


이렇게 해서 20연전을 정확히 10승 10패로 마무리하고, 하루를 쉬었다.


Series Preview: Cardinals at Cubs (시즌전적 2승 1패)

팀 성적

Cardinals 15승 14패 .517 (NL Central 2위, 5게임차)  Run Diff. +14

Cubs 9승 17패 .346 (NL Central 5위)  Run Diff. -9


이번 시리즈는 Cubs와의 주말 3연전이다. 글을 쓰면서 스케줄을 확인해 보니 첫 경기부터 낮경기라 당황하고 있는 중이다. -_-;;

현재 메이저리그에 아직 10승을 거두지 못한 팀이 딱 세 팀 있다. Astros와 DBacks, 그리고 Cubs이다.


Probable Starters

Game 1: Adam Wainwright at Travis Wood               5/2 14:20 EDT (5/3 3:20 KST)

Game 2: Michael Wacha at Jake Arrieta                  5/3 13:05 EDT (5/4 2:05 KST)

Game 3: Lance Lynn at Jason Hammel                    5/4 20:00 EDT (5/5 9:00 KST)


첫 두 경기는 낮경기이다. Wrigley는 원래 낮경기가 많은 곳이니 뭐 그러려니 하는데.. 마지막 경기는 ESPN의 중계가 잡히면서 저녁 경기로 편성되었다.


우리의 원투펀치 Waino와 Wacha를 1, 2차전에 내보내는 만큼, 이 두 경기는 무조건 잡고 가야 할 것이다. 1차전의 상대인 Wood는 올해 들어 갑자기 이닝 당 1개 꼴로 삼진이 크게 늘어나면서 위력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 구속이 늘어난 것도 아니고 구종이 추가된 것도 아니어서 뽀록의 가능성이 높다. 실제로 지난 번 Brewers전에서 5.2이닝 5실점으로 부진했다. 문제는 Wood 자신의 실력보다도 이런 좌완 똥볼러에게 터무니없이 약한 Cards 타선일 것이다. 보나마나 발암성 저득점 경기가 될 듯...


2차전의 Arrieta는 이 경기가 올 시즌 메이저리그 데뷔전이다. Arrieta는 평속 94마일의 일견 괜찮아 보이는 패스트볼을 가지고 있으나, 5.23 ERA, 4.75 FIP라는 커리어 스탯에서 보듯 구위를 실적으로 전혀 연결시키지 못해 왔다. 이런 녀석은 인정사정없이 두들겨 주도록 하자. 침체에 빠진 타선에게 보약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


3차전은 예측불허의 매치업이다. Lynn은 뭐 우리가 늘상 보아 온 그대로이고... Hammel은 커리어 내내 BABIP와 LOB% 관리에 어려움을 겪으며 ERA가 FIP에 비해 항상 높았는데, 올 시즌은 4.04 FIP에 2.08 ERA로 정반대의 양상을 보이고 있다. 물론 이것은 94.1%의 LOB%와 0.138의 어처구니없는 BABIP가 만들어낸 완벽한 뽀록이다. 아무래도 미 전역에 폭죽쇼가 중계되는 모습을 보게 될 것 같다. 앞의 두 경기를 무조건 잡고, 3차전의 불꽃놀이를 편안한 마음으로 감상할 수 있기를 바란다.



Statistics




스탯은 Fangraphs를 참고하였으며, 순위는 NL 15팀 중에서의 순위를 표기하였다.


스탯으로 봐도 타선이 1주일 전보다는 좀 살아난 모습인데, 물론 아직도 기대치에는 한참 부족하다. 투수진은 여전히 GB 따위는 개나 줘 버리고 탈삼진에 의존한 피칭을 하고 있어서 상당히 흥미로운데, 모로 가도 서울만 가면 되는 법. 어떻게든 점수만 안 주면 그만이다.


Cubs의 팀 스탯은 보시다시피 팀 성적만큼이나 허접한 상태이다. 이 팀은 아주 좋은 팜을 가지고 있어 2-3년 뒤엔 강력한 라이벌로 부상할 가능성이 있지만, 아직 메이저리그 팀은 리그 최저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런 팀에게 시리즈를 내주는 따위의 불상사가 일어나지 않기를 바란다.



Player to Watch


Matt Adams: 321/339/477의 일견 그럴싸해 보이는 슬래쉬 라인에 속지 말자. 이 타율은 .398의 BABIP에 힘입은 것이며, BB:K 비율이 1:8에 불과할 만큼 볼넷이 거의 없고 삼진이 많은 상태이다. 게다가 좌완 상대로는 136/174/136, -14 wRC+를 기록할 만큼 형편없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개인적으로는 다소 타율이 낮고 삼진을 많이 당하더라도 홈런을 뻥뻥 날려주길 기대했는데, 작년 Craig을 보는 것 같은 라인드라이브 히팅을 하면서 한 달 동안 고작 2홈런에 그친 것도 실망스러웠다. 지금의 타율은 어차피 유지가 불가능해 보이는데, 선구안을 개선하고 공을 좀 더 띄우지 않으면 죽도 밥도 아닌 그저그런 플래툰 타자로 전락할까 우려된다. 우리가 바라는 돼지의 모습은 이런 것은 아니지 않았던가...


Cubs의 타선은 Anthony Rizzo(283/407/457, 141 wRC+)와 Starlin Castro(308/339/471, 121 wRC+)가 이끌고 있으며, 올해 커리어 최고의 뽀록 시즌을 보내고 있는 Emilio Bonifacio(337/385/406, 10 SB)도 경계 대상이다. 또한 Welington Castillo(276/329/474, 4 HR, 122 wRC+)의 뜬금포도 주의해야 할 것이다. 전반적으로 Cubs 타자들은 컨택이 약하고 삼진에 취약한 편(팀 K%가 24.3%으로 리그 꼴찌이다)이므로, 요즘 절정의 탈삼진 능력을 자랑하고 있는 Cards 투수진에게는 아주 적절한 상대라고 본다.


Go Cardinals...!!!

Posted by FreeRedbird
:

by 주인장.


Mets Series Recap

4/21 Mets 2, Cardinals 0

4/22 Cardinals 3, Mets 0

4/23 Mets 3, Cardinals 2

4/24 Mets 4, Cardinals 1


"왠지 만만하게 느껴지는" Mets와의 4연전은 4경기 동안 고작 6점을 득점하는 빈공 속에 결국 1승 3패의 저조한 성적으로 끝났다. 아무리 그래도 스플릿은 했어야지 Mets에게 1승 3패라니... 4월 11일부터 14일째 쉬지않고 계속 경기를 치러 왔으니 어느 정도는 심신이 지치는 것도 이해가 가지만, 타선의 무기력한 모습은 정도가 지나친 것 같다.


4/18부터 4/24까지 최근 1주일간, Cards 타선은 220/276/272, 58 wRC+를 기록중이며, 7경기에서 13득점에 그쳤다. 이렇게 야구를 해 가지고는 투수들이 매일 완봉을 하지 않는 이상 이길 수가 없을 것이다. 이 기간동안 다른 스탯들을 보면 .293 BABIP로 특별히 운이 없었던 것 같지도 않으며, Batted Ball Data를 봐도 LD가 23%, GB가 43.1%로 역시 특별할 것 없는 모습이었다. Contact%도 81%로 정상적인 모습이다. 그런데... 자세히 보니 Zone%가 45.4%로 리그 꼴찌다. 그리고 O-Swing%이 34.5%로 리그에서 세 번째로 높은 편이었다. (리그 평균 O-Swing%는 29% 수준이며, Cards의 올시즌 평균 O-Swing%도 그정도 된다.) 이것은 바꿔 말하면 상대 투수들이 스트라이크존을 벗어나는 공을 유난히 많이 던졌으며, 우리 타자들은 그런 얼척없는 공에 마구 스윙을 해서 나쁜 타구를 양산했다는 이야기이다. 물론 Rockies와 같이 우리보다 O-Swing%이 더 많은 팀도 있지만, 그분들은 아무거나 막 쳐도 장타가 잘 나오는 좋은 환경(?)에서 타격을 하고 있지 않은가... (실제로 Rockies는 지난 1주일 동안 홈경기를 치렀다) 타석에서의 조급증을 버리고, 나쁜공은 치지 않는다는 가장 간결한 마음가짐으로 돌아갈 필요가 있겠다.



Series Preview: Cardinals vs Pirates (시즌전적 1승 2패)

팀 성적

Cardinals 12승 11패 .522 (NL Central 2위, 4.5게임차)  Run Diff. +8

Pirates 9승 14패 .391 (NL Central 4위)  Run Diff. -5


이번 시리즈는 해적떼와의 홈 3연전이다. 해적떼는 최근 14경기가 Brewers 및 Reds와 원정/홈을 오가는 시리즈였는데, 그 14경기에서 3승 11패에 그치는 최악의 부진으로 인해 초반에 벌어놓은 것을 다 까먹고 4할 밑으로 승률이 내려간 상태이다. 분위기가 처져 있는 것은 저쪽도 만만치 않으니, 이 시리즈를 반드시 이겨서 다시 치고 올라갈 수 있는 발판으로 삼아야 할 것이다.



Probable Starters

Game 1: Shelby Miller vs Gerrit Cole                      4/25 20:15 EDT (4/26 9:15 KST)

Game 2: Tyler Lyons vs Francisco Liriano               4/26 16:05 EDT (4/27 5:05 KST)

Game 3: Adam Wainwright vs Edinson Volquez         4/27 14:15 EDT (4/28 3:15 KST)


그렇게 치고 올라갈 발판을 만들어야 하는데... 첫 게임 매치업을 보면 벌써 가슴 속이 답답해진다. 이건 Cole이 좋은 투수여서라기보다도 Miller라는 이름이 주는 답답함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시즌 세 번째 등판에서 94-95마일의 포심을 펑펑 꽂으며 작년 시즌 초반같은 모습을 보여줬던 Miller는 지난번 Nats 전에서 사사구를 6개나 남발하며 6이닝도 못 채우고 강판되었다. 구속은 이제 충분히 미드시즌 모드로 올라왔으나, 단조로운 구종과 불안한 제구력, pitchability의 부족의 조합은 결국 발암 피칭인 것이다... 이 경기는 안보는 게 정신건강에 좋을 것 같은데, 토요일 아침이니 아마도 보게 될 것이고, 또 그렇게 가슴을 치게 될 것 같다. -_-;;;


2차전은 페라리 땜빵 Lyons가 Liriano와 맞대결을 벌인다. Lyons는 Nats 전에서 6이닝 2R 7K 4BB의 괜찮은 모습을 보였는데, 우리만큼이나 타선이 슬럼프에 빠진 해적떼이니 6이닝 3실점 이내에서 막아주지 않을까 기대해 본다. Liriano는 매 경기 꾸준히 3-4점씩 실점하고 있는데, 올 시즌 들어 뜬금포에 계속 무너지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우리 이제는 홈런 하나 정도 칠 때가 되지 않았을까?


3차전은 믿음직한 Waino의 등판이긴 한데, 상대가 지난번에 완벽하게 우리를 틀어막았던 Volquez라서 상당히 찝찝하다. Volquez는 올 시즌 들어 갑자기 칼같은 제구력을 선보이며 훌륭한 피칭을 하고 있는데, 아직 속단은 금물이나 Burnett과 Liriano에 이은 Pittsburgh산 재활용 투수 히트작 3탄이 될 것 같은 느낌이다. 매우 답답한 저득점 경기가 예상된다.


1차전을 지고, 2차전을 가져온 다음, 3차전에서 상호 빈공 끝에 간신히 이기는 정도의 시나리오를 전망해 본다. 2차전은 분명 네임밸류 상으로 적수가 안되는 매치업인데도, 뭔가 이길 것 같은 근거없는 느낌이 계속 들고 있다. 이 다음 시리즈가 지구 1위 Brewers와의 대결인 만큼, 여기서는 반드시 위닝시리즈를 만들고 분위기를 바꿔 놓도록 하자.



Statistics



스탯은 Fangraphs를 참고하였으며, 순위는 NL 15팀 중에서의 순위를 표기하였다.


시즌 초반이어서 그렇다고 할 수도 있겠지만, 현재의 팀 스탯은 상당히 어색하게 느껴진다. 장타율이 15팀 중 13위에 불과한 것이라든지, 투수진의 좋은 성적이 거의 탈삼진에 힘입은 것이라든지... 그런데 그 와중에도 참 한결같은 분야가 있으니, 주루와 수비에서 당당히 리그 꼴찌를 차지하고 있다는 점이다. -_-;;



Player to Watch


Jhonny Peralta: 약랄타(약형이라고 부르지 못하는 게 안타깝다. 과거에 벅만형 트란형 있을 때가 좋았는데 ㅠㅠ)는 애초에 수비를 기대하고 데려온 선수는 아니었다. 코사마라는 화분 대신 뭔가 야구선수같은 사람을 타석에 세우고 싶었을 뿐이다. 약랄타는 커리어 통산 101 wRC+의 선수였고, ZiPS나 Steamer 등의 프로젝션 시스템들도 대략 100 wRC+ 전후의 예측을 해 주었기에, 그정도는 쳐주지 않을까 기대했었다. 약간 아쉬운 수비에 이정도 타격의 유격수라면 풀타임 기준 3 WAR 가 가능한 수준이니, 작년 1년 내내 주전으로 뛰며 -0.1 WAR라는 멋진 결과를 남긴 코사마에 비하면 엄청난 업글이 아니겠는가....?  라고 기대를 했는데 말이다. 실상은 초반에 뜬금포를 몇 개 친 것 외에는 거의 아무런 기여를 해주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사실 눈으로 보기에는 타구질이 타율 .151을 찍을만큼 형편없는 것 같지는 않고, 실제로 시즌 BABIP도 .130에 불과하므로, 그냥 계속 기용하다 보면 결국 올라갈 것 같긴 하다만, 과연 그게 이번 시리즈가 될 지는 지켜봐야 할 듯.


현재 시즌 슬래쉬라인은 151/244/356이고, wRC+는 71이다. 이렇게 형편없는데도 작년 코사마의 50 wRC+보다는 무려 40%나 좋은 성적이다. 도대체 코사마는 얼마나 쓰레기같은 타자였던 것일까? 바닥 밑에는 지하가 있다는 것을 다시 한 번 실감하게 된다. 참고로 코사마는 Ellis의 복귀 때 강등된 후, PCL에서 28타석에 나와 185/214/333, 34 wRC+를 기록 중이다. 아무리 약랄타가 실망스럽고 보기 싫어도, 절대로 코사마를 그리워하지는 말자.



해적떼의 타선은 이제는 수퍼스타로 확고히 자리잡은 McCutchen(4 HR, 173 wRC+)이 이끌고 있으며, 나란히 6홈런을 기록 중인 Neil Walker(261/313/478, 125 wRC+)와 Alvarez(176/286/412, 97 wRC+)의 장타력도 무섭다. 여기에 또 한 공갈포 하는 Ike Davis까지 합류하였으므로, 뜬금포를 특히 주의해야 할 것이다. 주전포수 Russell Martin은 컨디션이 좋지 않아 3경기 모두 출장하지는 않을 듯하다.



Go Cardinals...!!!

Posted by FreeRedbird
:

by 주인장.


Cubs Series Recap

4/11 Cubs 6, Cardinals 3 (연장 11회)

4/12 Cardinals 10, Cubs 4

4/13 Cardinals 6, Cubs 4


이 시리즈는 위닝으로 끝나긴 했지만, 1차전에 대해서는 역시 짚고 넘어가지 않을 수 없다. 11회에 Rosie에게 타격을 시킨 것이 특히 논란의 대상이 되었는데, 주자를 2명이나 두고 투수를 그냥 타석에 내보냈다는 것은 "대타를 써봐야 점수가 날 리가 없다"는 것과 "여기서 투수를 바꾸면 진다"라는 두 가지의 판단을 했다는 의미가 되기 때문이다. 연장에서의 찬스라는 것은 쉽게 오는 것이 아니므로 반드시 잡아야 하는 것인데, 2사 1, 2루에서 투수를 그냥 타격시킬 만큼 팀에 도움이 안되는 코사마, 고대병기, Maness, Butler(4/4 이후 10일째 안나옴) 이런 녀석들은 도대체 왜 로스터에 놔두는 것인지 알 수가 없다. 나름 이번 시즌에 벤치가 업글이 되었다고 생각했었는데, Mark Ellis가 부상으로 계속 합류하지 못하다보니 결국 작년과 별로 다를 바가 없다. 좌타 대타가 Adams에서 Jay로 바뀐 것은 오히려 다운그레이드에 가깝다.


현재까지의 경기를 보면 선발진과 CMart/Sieg/Neshek/Choate/Rosie의 5인조 불펜, 그리고 1-5번 타순의 타자들만 가지고 야구를 하는 느낌인데, 그러고도 5할을 넘기고 있다는 게 대단하다. 하위타선의 식물들 중에서는 그나마 Bourjos가 감을 찾아가고 있는 것 같은데, 그간 주루는 거의 포기한 분위기였던 이 팀에서, 특히 이녀석의 빠른 발은 확실히 신선한 느낌을 준다.



Series Preview: Cardinals at Brewers (시즌 첫 맞대결)

팀 성적

Cardinals 7승 5패 .583 (NL Central 2위, 3게임차)  Run Diff. 0

Brewers 10승 2패 .833 (NL Central 1위)  Run Diff. +28


이번 시리즈는 지구 1위 Brewers와의 원정 3연전이다. Brewers는 현재 9연승을 기록 중인데, Red Sox, Phillies에 이어 해적떼까지 스윕하는 무시무시한 기세로 MLB 전체 승률 1위, 득실차 1위에 올라 있다. 물론 8할대의 승률은 뽀록이고, 조만간 내려올 것이라고 생각되나, 어쨌든 아직도 여러 주전들의 경기력이 올라오지 않은 상태에서 현재 최고의 기세를 자랑하는 이 팀과 원정 시리즈를 치르게 된 것은 상당히 부담스럽다.



Probable Starters

Game 1: Lance Lynn at Matt Garza                      4/14 20:10 EDT (4/15 9:10 KST)

Game 2: Shelby Miller at Marco Estrada               4/15 20:10 EDT (4/16 9:10 KST)

Game 3: Joe Kelly at Wily Peralta                         4/16 13:10 EDT (4/17 2:10 KST)


언제나 그렇듯이 1차전은 시리즈의 향방을 좌우하는 매우 중요한 게임이다. 우리 선발은 Lynn인데, Reds를 상대로 한 지난 두 번의 등판에서 11이닝 8실점으로 좋지 못한 모습을 보였다. 구속도 평소처럼 나왔고, 11이닝에서 11 K, 1 BB로 제구는 괜찮았기 때문에, 6점대의 ERA만큼 나쁜 상태는 아닌 것 같다. Reds의 좌타라인을 의식해서인지 거의 패스트볼 일변도의 투구를 했는데, Brewers 라인업은 우타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므로 브레이킹볼의 구사가 많을 것으로 보인다. 제구를 낮게 가져가서 장타를 안맞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상대 선발은 Garza로, 앞선 두 번의 선발 등판에서 2.57 ERA, 3.18 FIP로 좋은 모습을 보였다. Garza는 패스트볼/슬라이더의 투 피치 투수인데, 그런 투수치고는 좌/우 스플릿이 별로 없다는 것이 강점이나, 한편으로는 커리어 내내 높은 피홈런 비율에 시달려 왔다. 현재 타선의 컨디션으로는 쉽지 않은 상대가 될 것으로 보이는데, 이 경기는 아마도 뜬금포에 의해 승부가 갈릴 것 같다.


2차전은 Miller와 Estrada의 매치업인데, 현재 로테이션에서 가장 불안한 모습을 보이는 투수가 Miller이다. Estrada 역시 삼진은 잘 잡으나 플라이볼 성향으로 장타가 많이 나오는 투수여서, 타격전을 예상해 본다. Miller가 정신을 차려 주지 않으면 이 경기는 힘들 듯하다.


3차전은 조육삼 페라리 선생과 Wily Peralta가 각각 선발로 예정되어 있다. 페라리는 지난 두 번의 등판에서 단 1점씩만을 실점하여 조육일로 진화하는 듯한 모습을 보였는데, 탈삼진이나 볼넷 비율, xFIP, SIERA, 구속 등을 들여다보면 작년과 완전히 똑같은 모습이다. 차이가 있다면 올해는 홈런을 아직 하나도 맞지 않았다는 것이다. Miller Park에서의 경기인 만큼, 시즌 첫 피홈런을 기록할 가능성이 높으며, 대략 조육삼 본연의 모습인 6이닝 3실점 정도를 전망해 본다. Peralta는 구종으로 볼 때는 Garza와 비슷한 패스트볼/슬라이더 유형의 투수인데, 패스트볼 평속이 95마일로 구속이 빠르고 구위가 좋은 편이며, 그라운드볼 성향이 강하여(그럼에도 불구하고 홈런은 또 잘 맞는 편이긴 하다) 꽤 까다로운 상대이다. 스탯상으로는 탈삼진 능력을 9이닝당 두 개 정도 업그레이드시킨 Joe Kelly에 가깝다.


Brewers의 기세가 워낙 좋은데다가 우리의 원투펀치인 Waino/Wacha를 쓰지 못하는 등 선발 매치업도 썩 매력적이지 않다. 특히 이 시리즈의 키 포인트는 홈런이라고 생각하는데, Miller Park가 홈런이 많은 구장이기도 하고, 상대 선발들이 모두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구위는 좋으나 피홈런에 취약하다"는 공통점을 지닌 투수들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재 우리 타선에서 홈런을 쳐 줄 만한 타자가 그다지 눈에 띄지 않는다는 게 함정. 이런 이유들로 인해 1승 2패의 다소 비관적인 전망을 해 본다.



Statistics



스탯은 Fangraphs를 참고하였으며, 순위는 NL 15팀 중에서의 순위를 표기하였다.


Brewers의 스탯이 압도적으로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이것이 승률 1위, 득실차 1위 팀의 위엄이다. -_-;;

타격은 그렇다 치더라도 특히 투수쪽 스탯이 매우 인상적인데, 선발 불펜 할 것 없이 고루 잘 던지고 있다. 특히 Brewers의 불펜은 0.82 ERA, 1.65 FIP, 2.02 xFIP, 11.73 K/9, 2.18 BB/9의 엄청난 성적을 기록 중이다.



Player to Watch


Shelby Miller: 타석에서는 Craig의 부진이 계속되고 있는데, 최악의 경우 AAA의 외야 뎁스가 땜빵을 해 줄 것으로 생각되므로, 시즌을 좌우할 치명적인 약점은 아니라고 본다. 하지만, 로테이션은 이야기가 좀 다르다. 지난 2-3년간 워낙 많은 선수들을 콜업해서 써 왔기 때문에, 이제 하이 마이너에 유사시 불러올릴 만한 카드가 별로 남아있지 않은 상태이다. 작년과 마찬가지로 올해도 팀을 이끌어가는 것은 결국 선발 로테이션이라고 보기 때문에, Miller의 부진은 상당히 우려스럽다. 그 부진이 작년 9월부터 계속되고 있다는 점은 더더욱 우려스럽다. 특히 올해들어 SwStr%은 4.8%에 불과할 만큼, 타자들의 그의 공에 전혀 어려움을 느끼고 있지 않다. 올 시즌 K:BB 비율도 7:6으로 거의 1:1에 가까우며, 11.1이닝에서 피홈런도 무려 4개나 된다. 과연 이 부진은 일시적인 현상일까? 아니면 뭔가 심각한 문제가 있는 것일까?




이것은 Miller의 패스트볼 구속인데, 13년 5월 무렵부터 지금까지 완만한 하향세를 그리고 있으나, 큰 차이는 없어 보인다. 작년의 패스트볼 평속은 93.7마일이고, 올해의 패스트볼 평속은 92.9마일로 나타나고 있는데, 0.8마일이 작은 차이는 아니지만 그렇다고 부상을 숨기고 있거나, 다른 특별한 문제가 있는 증거로 보이지도 않는다.


이렇게 부진한 가운데 하필 Miller Park에서 Brewers를 상대하게 되었는데, 뭐 어쩌겠는가. 입맛대로 상대를 고를 수도 없는 노릇이고... 날씨가 따뜻해지면서 점점 컨디션이 나아지기를 빌어야 할 것 같다. 일단은 몇 경기 더 지켜보도록 하자. Miller가 믿을 만한 3선발로 자리를 잡아 주지 못하면 정규시즌 운영에 어려움이 아주 많을 것이다.



Brewers의 타선은 현재 Carlos Gomez(197 wRC+), Lucroy(171 wRC+), Aramis Ramirez(139 wRC+), Ryan Braun(135 wRC+), Mark Reynolds(145 wRC+) 등이 절정의 타격감을 과시하고 있다. 그러나 Gomez와 Lucroy, Ramirez가 모두 4할대의 BABIP를 기록하고 있고, Reynolds도 어차피 Reynolds 본연의 모습으로 돌아갈 것이며, Braun은 여전히 엄지손가락 부상에 시달리고 있으므로, 조만간 집단으로 DTD를 시전할 것으로 보인다. 그게 이번 시리즈가 되기를 바랄 뿐이다.



Miscellany


Kyle Lohse가 투수들끼리 항상 뭉쳐다니며 친하게 지내던 세인트루이스의 문화를 밀워키에 전파시키고 있다고 한다. 서로의 불펜 세션을 지켜보며 토론도 하고, 각자의 퍼포먼스에 대해 선의의 경쟁도 하고 있다고...



Go Cardinals...!!!

Posted by FreeRedbird
:

by 주인장.


Reds Series Recap

3/31 Cardinals 1, Reds 0

4/2 Reds 1, Cardinals 0

4/3 Cardinals 7, Reds 6


시리즈 중간에 쉬는 날이 하루 껴있으니 뭔가 맥빠지는 느낌이었는데, 시리즈 내용도 좀 그랬다. 2승 1패로 위닝시리즈를 가져오기는 했는데, 좀 억지로 이긴듯한 찝찝한 승리였다. 그나마 죽쑤던 타선이 3차전에서 살아난 것이 다행이다. Lynn은 지난 2년간은 시즌 초에 꽤 잘 던지다가 시즌이 진행되면서 급속도로 맛이 가는 모습을 보여줬는데, 올해는 어째 시작부터 불안하다.


Reds 타선은 확실히 작년에 비해 약해진 느낌이다. Votto와 Bruce가 건재하긴 하나 Phillips는 타석에서 노쇠화의 느낌이 묻어나고 있으며, Frazier는 역시 작은 샘플사이즈에 의한 뽀록 같다. Cozart는 여전히 못치고, Hamilton은 잠재력은 있겠지만 아직은 메이저리그 리드오프 감이 전혀 아니라고 본다. 출루를 해야 도루를 하든지 말든지 할텐데, 이녀석 출루율이 3할이 넘으면 기적일 것 같다.



Series Preview: Cardinals at Pirates (시즌 첫 맞대결)

팀 성적

Cardinals 2승 1패 .667 (NL Central 공동 1위)  Run Diff. +1

Pirates 2승 1패 .667 (NL Central 공동 1위)  Run Diff. +1


다음 시리즈는 해적떼 소굴에서의 주말 원정 3연전이 되겠다. 우리가 시즌 첫 6게임을 모두 원정으로 치르는 것과 반대로, Pirates는 첫 두 시리즈가 모두 홈이다. 앞의 상대는 Cubs였는데, 이긴 두 경기도 모두 연장(1차전 10회, 2차전 16회)까지 가고 3차전에서는 Jason Hammel에 틀어막혀 패하는 등 상당히 고전을 했다.


해적떼는 작년과 마찬가지로 올해에도 가장 강력한 지구 라이벌이 될 것으로 보인다. 비록 오프시즌 동안 1루 보강이 되지 않아 1루를 Gaby Sanchez와 Travis Ishikawa의 플래툰(!)에 맡기고 있고, 선발 로테이션도 A.J. Burnett이 Edinson Volquez로 다운그레이드 되어(그나마도 Volquez의 폭망시 유력한 대체 후보였던 유망주 Jameson Taillon이 팔꿈치 이상으로 TJS가 유력한 상태이다) 오프시즌 전력보강은 완전히 실패한 모습이지만, 그래도 기본적으로 코어가 젊고 우수하여 이들의 지속적인 기량 향상이 예상되고, 여기에 훌륭한 팜 시스템을 가지고 있어 하이 마이너에 좋은 유망주가 여럿 대기하고 있기 때문에, 85승 이상은 충분히 가능한 컨텐더라고 본다.



Probable Starters

Game 1: Shelby Miller at Gerrit Cole                      4/4 19:05 EDT (4/5 8:05 KST)

Game 2: Joe Kelly vs Francisco Liriano                  4/5 19:05 EDT (4/6 8:05 KST)

Game 3: Adam Wainwright vs Edinson Volquez        4/6 13:45 EDT (4/7 2:45 KST)


해적떼는 Liriano, Cole, Wandy Rodriguez, Charlie Morton, Volquez의 로테이션으로 시즌을 시작했는데, 이번 시리즈에서는 원투펀치인 Liriano, Cole과 5선발 Volquez를 상대하게 되겠다.


1차전은 빅리그 2년차 영건들의 대결로 무척 흥미로운 게임이 될 것 같다. 또한 이 시리즈의 키를 쥐고 있는 중요한 게임이기도 한데, 뒤의 매치업을 보면 쉽게 수긍이 되실 것이다. 페라리를 선발로 내고 Liriano를 이기기는 쉽지 않을 것이고, 우리가 Waino를 선발로 내고 Volquez에게 지는 것도 상상이 잘 안되기 때문이다. Volquez가 마지막으로 좋은 메이저리그 선발투수였던 것은 무려 6년 전인 2008년의 일이다...!!


그러니 1차전을 승리하는 팀이 2승 1패로 시리즈를 가져갈 것 같은데, Cards는 마지막 경기에서 타선이 살아난 반면 해적떼는 앞선 3경기 내내 허접한 공격력을 보였으므로, 타자들의 컨디션을 믿고 Cards의 2승 1패를 예상해 본다.



Statistics



스탯은 Fangraphs를 참고하였으며, 순위는 NL 15팀 중에서의 순위를 표기하였다.

너무 시즌 극초반이어서 그런지 UZR은 아직 데이터가 제공되지 않고 있다.


아직 3경기밖에 치르지 않았으니 이 스탯은 거의 의미가 없다. 그냥 재미로 보시기 바란다.



Player to Watch


Allen Craig: 아직 시즌 초반이니 다들 경기를 계속 치르다보면 타격감은 올라올 것이라고 생각하는데, 요즘 타격하는 모습을 봐서는 Craig의 파워가 올라올 날이 있을지 상당히 의문스럽다. 앞으로 풀시즌을 뛰어도 20홈런을 치는 일은 아마도 없지 않을까 하는 느낌이다. 라인드라이브를 양산하며 싱글과 더블을 필드에 뿌리는 것도 좋긴 하나, 그래도 명색이 4번인데 조금 더 파워가 있었으면 하는 아쉬움이 있다.


해적떼의 타선은 현재 좋은 타격감을 보이는 주전이 단 한명도 없는 상태이다. 하지만 McCutchen과 Marte는 언제든 폭발이 가능한 훌륭한 타자들이고, 여기에 똥파워를 가진 Alvarez와 실력에 비해 저평가를 받고 있는 Neil Walker도 요주의 대상이다.



Go Cardinals...!!!

Posted by FreeRedbird
:

by 주인장.


World Series

St. Louis Cardinals  97승 65패(NL Central 1위) Run Diff. +187

Boston Red Sox  97승 65패(AL East 1위) Run Diff. +197


Game 1: Red Sox 8, Cardinals 1

Game 2: Cardinals 4, Red Sox 2

Game 3: Cardinals 5, Red Sox 4

Game 4: Red Sox 4, Cardinals 2

Series Tied, 2-2


3차전에서 진루방해 끝내기라는 굉장히 개성적인 방법으로 승리를 얻더니, 4차전에서는 견제사를 당하며 패배하는 또다른 신선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번에는 뭐가 나올까... 9회말 동점 상황에서 스트라이크아웃 낫아웃으로 출루한 주자가 견제 에러로 3루까지 간 다음 보크로 득점하면서 이기는 시나리오라면 좀 재미있으려나?


이런 어이없는 상상이나 하면서 일부러 재미를 찾아야 할 만큼, 이 시리즈는 재미가 없다. 1차전 프리뷰 때 "최고의 명승부가 될 것"이라고 기대했으나, 현실은 전혀 다른 방향으로 흘러가고 있다. 양 팀 감독은 경쟁적으로 돌탱이 짓을 하고 있으며, 선수들도 어딘가 나사가 빠진 느낌이다. 둘 중 어느 팀의 팬도 아닌 회사 동료가 4차전이 끝난 뒤 "요즘 월드시리즈가 재밌다"는 말을 했다. 어쩌면, 남들이 보기엔 이것도 재미있는 시리즈일지도 모르겠다. 댓글에 있었던 것처럼, 단지 NLCS에서 우리가 너무 진이 빠져버린 탓에 뭘 해도 재미가 없는 상태일지도 모르겠다. 아니면 우리가 이 팀에 너무 비현실적으로 높은 기대를 가지고 있었던 탓일 지도 모르겠다. 아니, 이렇게까지 저 식물같은 녀석들에게 쉴드를 쳐 줄 이유는 없지 않은가. 인정할 것은 인정하자. 우리 선수들은 지금 너무 경기력이 저하되어 있다. 대타로 나와 연일 맹타를 휘두르는 Craig이 정상적인 컨디션이었으면 얼마나 좋을까 싶기도 하지만, 선수 한 명이 빠졌다고 아무 것도 할 수 없다면 그것은 팀도 아니다.


외형상으로는 저득점의 투수전이 계속되는 듯한 모습이지만, 실상은 투수들이 잘던지는 게 아니라 타자들이 못 치고 있는 것일 뿐이다. 3차전의 Peavy나 4차전 Buchholz의 공은 전혀 위력적이지 않았고, 대량득점을 하는 것이 오히려 당연할 정도의 허접한 모습이었지만, Cards 타선은 그저 계속 무기력한 모습을 보였다. 심지어 2차전에 95개의 공을 던진 Lackey가 이틀 쉬고 릴리버로 등판하는 황당한 상황을 맞이해서도, 타선은 점수를 내지 못했다. 경기에 따라, 그리고 매 순간에 따라 up and down이라는 게 있게 마련이겠지만, 정규시즌 그리고 포스트시즌에 이르기까지 연중무휴로 down되어 있기만 한 후리세나 복사기 같은 녀석들은 정말 보고 있기가 괴롭다. 그렇다고 DD와 Sugar를 대신 내보내 봐야 별로 달라질 것도 없어서, 남은 시리즈 내내 결국 얘네들을 볼 거라는 현실이 더욱 우울하다.


이번 플옵 들어 특히 Cards의 선수 육성에 대해 집중적인 조명이 이루어졌다. 마이너때부터 다같이 뛰어 왔기 때문에 brotherhood 같은 걸 느낀다나 뭐라나... 끈끈한 형제애와 우정이 있으면 뭘 하겠는가, 야구를 못 하는데. 니들은 보이스카웃이 아니고 메이저리그 선수들이란 말이다...! 이 시리즈의 결과와 상관없이, 오프시즌에는 로스터 재정비가 반드시 있어야 할 것이다. 야구장에 어울리지 않는 식물들은 식물원으로 보내길 바란다.



Upcoming Pitching Matchups

Game 5: Adam Wainwright vs Jon Lester

Game 6: Michael Wacha at John Lackey

Game 7: Joe Kelly at Jake Peavy (if necessary)


이렇게 해서 시리즈는 적어도 6차전까지는 무조건 가게 되었다. 재미없는 시리즈지만 그래도 이왕이면 이기는 병x이 되어야 하지 않겠는가? 5차전을 이겨서 3승 2패를 만들면 여전히 우승 확률은 높아 보인다. 상대도 그렇게 훌륭한 모습을 보이고 있는 것은 아니기에, 서로 열심히 삽질을 하다 보면 나머지 두 게임 중 하나는 이길 것 같기 때문이다.



Game 5

Busch Stadium, 10/28 20:07 ET (10/29 9:07 KST)


Probable Starters

Adam Wainwright(R) 241.2 IP, 8.16 K/9, 1.30 BB/9, 49.1 GB%, 2.94 ERA, 2.55 FIP, 2.80 xFIP, 6.2 fWAR

Jon Lester(L) 213.1 IP, 7.47 K/9, 2.83 BB/9, 45.0 GB%, 3.75 ERA, 3.59 FIP, 3.90 xFIP, 4.3 fWAR


이 경기도 점수가 많이 날 것이라는 기대는 별로 되지 않아서, 2점 이상 실점해서는 어려운 경기가 될 것 같다. Waino의 어깨가 무겁다. 그래도 여긴 홈이니까, 훌륭한 투구를 해 줄 것이라고 기대해 본다.



푸념을 좀 하자면, 주인장은 현재 지방 출장 중이다. 오전 내내 미팅이 있어서 5차전도 아마 경기시간엔 못 볼 것 같고 나중에 다시보기로 볼 것 같은데... 이 식물 녀석들아, 밤에 잠도 안 자고 모텔방에서 노트북으로 프리뷰를 쓰고 있는 팬의 마음도 좀 헤아려 주란 말이다!



Go Cardinals...!!!

Posted by FreeRedbird
:

by 주인장.


World Series

St. Louis Cardinals  97승 65패(NL Central 1위) Run Diff. +187

Boston Red Sox  97승 65패(AL East 1위) Run Diff. +197


Game 1: Red Sox 8, Cardinals 1

Game 2: Cardinals 4, Red Sox 2


Fenway에서 월드시리즈를 시작하는 일정은 루키들이 큰 비중을 차지하는 이 팀에게는 상당한 부담이 되었을 것 같고, 그 부담은 1차전의 저질적인 플레이로 여실히 드러났다. 그런데, 이렇게 저질 경기로 자멸하며 사기를 스스로 추락시키는 것도 종특이지만, 다음날은 또 아무렇지도 않게 툭툭 털고 경기에 임하는 것 또한 이 팀의 종특이다. 2차전에서는 전날 삽질의 영향을 거의 느낄 수 없었고, 오히려 2-2 카운트에서 대담한 더블스틸을 감행하여 상대의 허를 찌르는 여유를 보였다. 4-2로 리드를 잡은 뒤의 3이닝은 CMart - Rosie가 1안타 6탈삼진 무실점으로 틀어막았는데, 여지껏 이 팀 팬질을 하면서 이렇게 강력한 셋업맨과 클로저는 본 적이 없었던 것 같다. 이 둘은 과거 2006년 우승팀의 Kinney - Wainwright 루키 필승조보다도 더 강한 느낌이다.



Upcoming Pitching Matchups

Game 3: Joe Kelly vs Jake Peavy 

Game 4: Lance Lynn vs Clay Buchholz

Game 5: Adam Wainwright vs Jon Lester

Game 6: Michael Wacha at John Lackey (if necessary)

Game 7: Joe Kelly at Jake Peavy (if necessary)


Red Sox는 결국 계속 불편함을 호소하고 있는 Buchholz 대신 Peavy를 3차전에 내기로 하였다. Red Sox는 약점이 거의 없는 강팀이지만, 바로 여기가 그들의 아킬레스건이다. 정규시즌 초중반에 매우 믿을만한 선발 투수였던 Buchholz는 DL에 다녀온 뒤로 9월에 계속 부진한 모습을 보였고, 그 부진이 포스트시즌까지도 이어지는 모습이다. Peavy가 ALCS 4차전에서 Tigers에게 3이닝 7실점으로 난타당했음에도 불구하고 그를 3차전에 낼 만큼 Buchhloz의 상태는 좋지 않은 것이다.


이 3, 4차전이 시리즈의 모멘텀을 확실하게 가져올 수 있는 기회이다. 비록 우리 쪽 선발들도 아주 믿음직스럽진 않지만, 상대보다는 나은 것 같다. 최소한 몸들은 멀쩡하지 않은가? 게다가 상대는 아마도 Napoli를 벤치로 돌리고 Ortiz에게 1루를 맡길 모양이다. 1루 수비는 아마도 구멍이 될 것이니, 타석에서 적극적으로 1루쪽을 노리도록 하자. 특히 좌타자들은 작정하고 1루선상 쪽으로 잡아당겨 보면 재미있는 결과가 있을 것이다. 또한, 내야땅볼 때는 무조건 전력 질주하여 1루에서의 실책을 유도해 보자.



Game 3

Busch Stadium, 10/26 20:07 ET (10/27 9:07 KST)


Probable Starters

Joe Kelly(R) 124 IP, 5.73 K/9, 3.19 BB/9, 51.1 GB%, 2.69 ERA, 4.01 FIP, 4.19 xFIP, 0.4 fWAR

Jake Peavy(R) 144.2 IP, 7.53 K/9, 2.24 BB/9, 32.7 GB%, 4.17 ERA, 3.96 FIP, 4.03 xFIP, 2.4 fWAR


우리의 선발은 페라리이다. 자주 그래왔듯이, 대략 5-6이닝에 2실점 정도 해주지 않을까 기대된다. 그정도면 충분하다. 불펜이 나머지 이닝을 잘 막아 줄 것이다.


Red Sox는 Peavy를 선발로 내세운다. Peavy는 커리어 내내 플라이볼 투수였는데, 이번 시즌에는 더욱더 극단적인 플라이볼 성향을 보이고 있다. 과거 Padres의 에이스였던 시절, 2005년과 2006년 NLDS에서 Cardinals를 상대로 모두 1차전 선발로 나왔고, Cards 타선은 2년 연속으로 그를 아주 먼지나게 털어 주었다. (2005 NLDS 1차전 4.1이닝 8안타 8실점, 2006 NLDS 1차전 5.1이닝 11안타 5실점) 이제는 그때보다 구속도 1마일 정도 줄었고, 탈삼진도 이닝당 2개 정도 줄어들었다. 이번에도 털지 못할 이유는 없어 보인다.



Craig이 어제 부상에서 돌아온 뒤 처음으로 수비 훈련에 참가했다고는 하나, 당장 선발 1루수로 출장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기껏해야 경기 후반에 대타로 나온 뒤 더블스위치로 들어가서 1-2이닝 정도 수비를 하는 정도가 고작일 것이며, 그나마도 꼭 필요한 경우가 아니면 수비는 시키지 않을 것이다. 그래도 Wong이나 DD 대신 Craig을 대타로 쓸 수 있다는 것 자체가 상당한 업그레이드이다.



화끈하게 Peavy를 털어 버리고 시리즈 리드를 잡기를 바란다. 돼지가 이제 한 방 날려줄 때가 되지 않았을까 싶은데...



Go Cardinals...!!!

Posted by FreeRedbird
:

by 주인장.


NLCS Recap


Game 1: Cardinals 3, Dodgers 2

Game 2: Cardinals 1, Dodgers 0

Game 3: Dodgers 3, Cardinals 0

Game 4: Cardinals 4, Dodgers 2

Game 5: Dodgers 6, Cardinals 4

Game 6: Cardinals 9, Dodgers 0


국내 팬들의 열렬한 응원을 등에 업은 Dodgers와의 대결은 우리에게 엄청난 스트레스를 안겨 주었다. 개인적으로 여지껏 야구를 보면서 이렇게 정신적으로 피폐해지는 플옵 시리즈는 처음이었다. 어쨌든 바다 건너에서의 공놀이는 국내에서의 욕설과 저주, 폭언과 상관없이 정상적으로 진행되었고, 결국 시리즈를 이겨 월드시리즈에 진출할 수 있었다. 특히 Cards에 강한 면모를 보이는 류현진이 최상의 컨디션으로 7차전 등판을 기다리고 있는 상황에서, 6차전에서 Kershaw를 털어서 시리즈를 끝낸 것은 다행이었다고 본다.


용호상박의 두 팀이 대결한 이 시리즈는 결국 게임플랜과 집중력이 승부를 갈랐다고 보는데, 특히 6차전에서 Matt Carpenter가 Kershaw를 상대로 무한 커트를 시전한 끝에 11구째의 낮은 슬라이더를 통타하여 2루타를 날린 장면이 백미였다. 이 타석을 보면서 "이런 경기는 절대로 질 수 없겠다"는 생각이 들었는데, 결국 이 이닝에서 Kershaw를 상대로 무려 4점을 득점하여 사실상 승패가 갈렸다. 이날 평생 먹을 욕을 한국에서 다 먹은 불쌍한 주심을 위해 한 마디 하자면, 3회 Matt Adams 타석에서의 그 애매한 공들은 모두 실제로 스트라이크존을 벗어난 볼이었다. (이 BrooksBaseball의 pitch F/X 데이터를 보면 4구째와 6구째는 모두 볼임을 알 수 있다) 단지 볼을 볼이라고 판정했을 뿐인데 그렇게 욕을 하고, 더 나아가 경기 패배를 순전히 심판 탓으로 돌리는 일부 팬들의 태도는 이해하기 어렵다.


경기 외적으로는 마치 old school vs new school 처럼 이미지가 형성되어, Cards가 고리타분한 꼰대 집단으로 매도되기도 했는데, 이런 모습은 지난 2011년 NLCS를 떠올리게 했다. 그때도 Brewers 선수들이 시리즈가 시작되기도 전에 신나게 입을 털었고, 필드에서는 별 시덥잖은 beast mode를 들고 나와서 설쳤다. 결과도 그때와 똑같이 4승 2패 승리이다. 마지막 6차전에서 타선이 폭발하며 압승한 것까지 똑같다. (2011년 6차전 12-6 승) 오히려 진지하게 조용히 게임에 임했던 2012년 Giants에게 NLCS에서 패해서 월드시리즈 진출이 좌절되었음을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World Series

St. Louis Cardinals  97승 65패(NL Central 1위) Run Diff. +187

Boston Red Sox  97승 65패(AL East 1위) Run Diff. +197


21세기 들어 네 번째의 정상 도전이다. 2004년에는 실패했고 2006년과 2011년에는 우승을 차지했는데, 이번 상대는 바로 그 2004년에 우리를 스윕했던 Red Sox이다. 솔직히 그때는 너무 허무하게 무너지지 않았는가? 당시 한참 취업준비를 하던 주인장은 1차전이 있던 날 토익(-_-)을 봤는데, 집에 와서 TV를 켰다가 7-9로 지고 있는 스코어를 보고 황당해 했던 기억이 난다. 이 경기는 9-9 동점을 만드는 데까지는 성공했지만 결국 Bellhorn에게 투런홈런을 맞고 9-11로 졌다. 그리고 다시는 기회를 잡지 못하고 일방적으로 밀려서 스윕당하고 말았다... 그때의 설욕을 되갚아 줄 기회가 온 것이다. 


한편, 이 두 팀의 대결은 양 리그 최고승률, 최고득실차 팀의 대결로도 관심을 모으고 있다. AL 최고승률 팀과 NL 최고승률 팀이 월드시리즈에서 만난 것은 지난 1999년의 Yankees - Braves 시리즈 이후 처음이라고 한다.


Pitching Matchup

Game 1: Adam Wainwright at Jon Lester

Game 2: Michael Wacha at John Lackey

Game 3: Joe Kelly vs Clay Buchholz

Game 4: Lance Lynn vs Jake Peavy

Game 5: Adam Wainwright vs Jon Lester (if necessary)

Game 6: Michael Wacha at John Lackey (if necessary)

Game 7: Joe Kelly at Clay Buchholz (if necessary)


선발투수는 양 팀 모두 아직 1, 2차전만 발표된 상태이다. Mo가 Miller를 로테이션에 넣는 일이 없을 것이라고 했고, Lynn은 여전히 그다지 미덥지 못하므로, 아마 Kelly가 3차전에 나올 것이다. Red Sox 쪽은 Buchholz의 구속 저하와 부진 때문에 고민인 모양인데, 그렇다고 해서 ALCS 4차전에서 3이닝 7실점으로 극도의 부진을 보였던 Peavy와 순서를 바꿀 것 같지는 않다.



Game 1

Fenway Park, 10/23 20:07 ET (10/24 9:07 KST)


Probable Starters

Adam Wainwright(R) 241.2 IP, 8.16 K/9, 1.30 BB/9, 49.1 GB%, 2.94 ERA, 2.55 FIP, 2.80 xFIP, 6.2 fWAR

Jon Lester(L) 213.1 IP, 7.47 K/9, 2.83 BB/9, 45.0 GB%, 3.75 ERA, 3.59 FIP, 3.90 xFIP, 4.3 fWAR


NLCS가 6차전에서 끝난 덕분에, Waino를 1차전 선발로 낼 수 있게 되었다. 두말할 나위 없이 월드시리즈의 원정 1차전에 낼 수 있는 최고의 카드이다.


Lester는 패스트볼 외에도 커터, 슬라이더, 체인지업, 커브 등 다양한 구종을 골고루 섞어 던지는 투수이다. Cards가 전반적으로 좌완에게 약한 모습을 보이기는 했으나, NLCS에서 보았듯이 위력적인 체인지업을 많이 던지는 류현진보다는 패스트볼 - 슬라이더 위주로 승부하는 Kershaw가 더 상대할만 했었기 때문에, 체인지업의 비중이 적고 패스트볼과 브레이킹 볼을 많이 던지는 Lester는 충분히 해볼 만한 상대라고 본다.



Probable Lineup & Bench in Game 1


Slash Stat은 AVG/OBP/SLG를 나타낸다.

검은색은 정규시즌, 빨간색은 포스트시즌에서의 타격 성적이다.


Cardinals

Lineup

Carpenter 2B    .318/.392/.481, 147 wRC+   .167/.250/.262

Beltran RF        .296/.339/.491, 132 wRC+   .256/.383/.538

Holliday LF       .300/.389/.490, 148 wRC+   .244/.261/.444

Craig DH          .315/.373/.457, 135 wRC+   없음

Molina C         .319/.359/.477, 134 wRC+   .256/.356/.359

Adams 1B        .284/.335/.503, 136 wRC+   .268/.333/.390

Freese 3B        .262/.340/.381, 106 wRC+   .189/.250/.297

Jay CF            .276/.351/.370, 104 wRC+   .206/.282/.206

Kozma SS        .217/.275/.273, 50 wRC+    .200/.333/.240


Bench: Tony Cruz(C), Kolten Wong(2B), Daniel Descalso(2B/3B/SS), Shane Robinson(OF)

Bullpen: Trevor Rosenthal, Edward Mujica, Kevin Siegrist(L), Randy Choate(L), Seth Maness, John Axford, Carlos Martinez, Shelby Miller


원정경기에서는 Craig이 DH로 기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것은 엄청난 업그레이드인데, 만약 Craig이 안나올 경우 Holliday를 DH로 옮기고 Sugar를 선발 출장시키는 정도가 고작이기 때문이다. 다만 40일 넘게 실전을 뛰지 않은 Craig이 어떤 모습을 보일 지가 문제인데, Craig의 컨디션은 시리즈 내내 가장 큰 변수가 될 전망이다.


상대 선발이 좌완이니 CF 자리에는 Sugar가 대신 기용될 가능성도 있으나, 일단은 1차전이니 Jay를 예상해 본다. 다만, Jay가 계속 부진한 모습을 보인다면, 3차전쯤부터는 아예 Sugar가 붙박이 선발 출장을 하게 될 것이다. 후리세는 DD로 바꿔도 솔직히 거기서 거기여서... 3루는 그냥 답이 없는 것 같다. 유격수는 코사마를 계속 기용하여 수비라도 강화하는 쪽이 나을 듯.


안그래도 허접한 벤치에서 Chambers를 빼면서 더욱 벤치가 약해졌다. Wong을 남기고 Chambers를 뺐다는 것은 여차하면 보배를 코너 외야로 옮길 의사가 있다는 의미로 생각된다. 홈에서의 게임 시에는 Adams가 1루에 선발 출장하고 Craig은 벤치에서 대타의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보이지만, 더블스위치 등을 통해 일부라도 글러브를 끼고 필드에 나갈 가능성 역시 배제할 수 없다. 선발 보험용인 Miller는 그렇다 치더라도, 거의 쓰지 않는 Mujica를 빼고 Chambers를 벤치에 두는 쪽이 낫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이 있다.



Red Sox

Lineup

Ellsbury CF       .298/.355/.426, 113 wRC+   .400/.467/.525

Victorino RF      .294/.351/.451, 119 wRC+    .237/.341/.342

Pedroia 2B        .301/.371/.415, 115 wRC+   .256/.311/.308

Ortiz DH            .309/.395/.564, 152 wRC+   .200/.349/.486

Napoli 1B          .259/.360/.482, 129 wRC+   .242/.342/.515

Gomez LF         .247/.344/.426, 109 wRC+   .200/.259/.280

Drew SS           .253/.333/.423, 109 wRC+   .086/.111/.143 

Bogaerts 3B      .250/.320/.364, 86 wRC+     .500/.727/1.000

Ross C             .216/.298/.382, 86 wRC+    .333/.400/.556


Bench: Jarrod Saltalamacchia(C), Daniel Nava(LF/RF), Mike Carp(1B/LF), Quinton Berry(OF), Will Middlebrooks(3B)

Bullpen: Koji Uehara, Junichi Tazawa, Craig Breslow(L), Ryan Dempster, Felix Doubront(L), Franklin Morales(L), Brandon Workman


Red Sox는 ALDS때부터 계속 투수 11명, 야수 14명의 로스터를 가져가고 있다. 주전포수는 원래 Salty인데, 플옵 들어서 Lester가 등판하는 날에는 Ross가 선발 출장하고 있으므로 이번에도 Ross의 1차전 선발 출장을 예상해 본다. 2차전부터는 다시 Salty가 복귀할 것이고, 이에 따라 타선이 더욱 견고해질 것이다. LF 자리에 공수 모두 더 우수한 Nava 대신 Gomez가 자꾸 선발 출장하는 이유는 잘 모르겠는데, 어쨌든 우리에게는 좋은 일이다. 한편, 플옵 초반에는 Middlebrooks가 3루에 선발 출장하다가 ALCS 후반부터 Bogaerts로 바뀌었는데, Bogaerts가 슬슬 각성을 시작하는 것 같아서 우려된다. 11타석에서 볼넷을 5개나 골라낼 정도로 투수들을 괴롭히고 있는데, 아주 성가신 상대가 될 것이다. 전체적으로 상대 투수의 투구수를 빼먹는 데 뛰어난 능력을 발휘하는 타자들이 다수 포진해 있으며, 스피드와 파워가 적절하게 조화되어 있는 까다로운 타선이다. 수비력이 우수하다는 것도 장점이다.


변수는 Busch Stadium에서 열리는 3-5차전이다. Red Sox의 화력이 DH와 1루에 집중되어 있으므로, Ortiz와 Napoli 중 한 명은 벤치로 가게 되어 타선이 상당히 약화될 것이다. 올해 1년 내내 한 번도 홈플레이트 뒤에 앉은 적이 없는 Napoli를 포수로 쓰는 것은 무리라고 본다.


Carp와 Middlebrooks는 언제든 홈런을 날릴 수 있는 장타력을 보유하고 있는 위협적인 대타이며, Berry는 매우 뛰어난 대주자이다. 스타팅 멤버들의 수비력이 LF 빼곤 모두 우수하기 때문에 대수비는 별로 필요가 없다. 벤치의 depth에서는 Red Sox가 확실히 한 수 위이다.


올 시즌 중반부터 클로저로 맹활약을 해 온 Uehara는 12.2 K/9, 1.61 FIP, 2.08 xFIP의 엄청난 성적을 기록했으며, 그의 3.3 fWAR은 불펜투수 중 1위이다. 셋업을 맡고 있는 Tazawa와 Breslow도 매우 좋은 릴리버들이다. 다만 나머지 투수들은 대체로 볼질이 많고 기복이 있는 투수들로, 안정감이 다소 떨어지는 편이다. 이들을 끌어낼 수 있느냐가 또 중요한 포인트일 것 같은데, 상대가 선발 - Breslow - Tazawa - Uehara로만 이어던지게 만들면 점수를 많이 내기가 매우 어렵기 때문이다. 선발을 최대한 빨리 내리고 볼질이 많은 투수들이 6-7회에 나올 수밖에 없도록 만들어야 할 것이다.



종합해 보면, 투수진은 선발과 불펜 모두 Cardinals의 우위라고 생각되나, 야수쪽은 타석에서의 성적이 애매한 가운데 주루와 수비에서는 좀 많이 떨어지는 느낌이며, 벤치의 depth까지 고려하면 Red Sox쪽이 더 좋은 것 같다. 진부한 표현을 빌리자면, 창과 방패의 대결인 셈이다.



Team Statistics



스탯은 Fangraphs를 참고하였으며, 순위는 MLB 30팀 중에서의 순위이다.


팀 스탯을 보면 역시 투수력이 우수한 Cards와 공격력이 우수한 Red Sox가 명확하게 대조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좀 더 자세히 보면, Cards의 타선이 컨택에 중점을 두고 있는 반면, Red Sox는 출루와 장타에 좀 더 무게가 실려 있다. 투수쪽도 상당히 다른 면모를 보이는데, Red Sox 투수진이 삼진을 더 잘 잡는 반면에, Cards의 투수들은 볼넷을 적게 주고 그라운드볼을 유도하는 쪽으로 더 특화되어 있다.



Prediction: Cardinals in 6


Cards in 6 이나 Red Sox in 7이 될 가능성이 높아 보이는데, 팬심을 담아 이쪽으로 예상해 본다. Fenway 원정 7차전에 Kelly나 Lynn이 나와서 이기기는 쉽지 않을 것이므로, 어떻게든 Wacha가 나오는 6차전에서 끝내야 할 것이다. 첫 원정 두 경기에서 1승 1패를 거두고, 홈 어드밴티지에다 상대 중심타선이 한 명 빠지는 3-5차전에서 2승 1패를 한 뒤, 다시 적지로 가서 6차전에서 Wacha의 호투를 등에 업고 시리즈를 마무리하는 것이 현실성 있는 최상의 시나리오가 아닐까?


정말 기대되는 시리즈이다. 04 NLCS, 06 NLCS, 11 WS의 뒤를 잇는 최고의 명승부가 될 것이다.


Go Cardinals...!!!

Posted by FreeRedbird
:

by 주인장.


NL Championship Series

St. Louis Cardinals  97승 65패(NL Central 1위) Run Diff. +187

Los Angeles Dodgers  92승 70패(NL West 1위) Run Diff. +67


Game 1: Cardinals 3, Dodgers 2

Game 2: Cardinals 1, Dodgers 0


NLCS의 첫 두 경기는 1승 1패도 괜찮다 싶을 정도의 어려운 매치업이었으나, 모두 짜릿한 1점자 승리를 거두고 2승으로 유리한 고지를 점하게 되었다. 숨막히는 투수전이 이어지는 가운데 찬스를 누가 더 잘 살리느냐의 차이로 승패가 갈렸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25세 이하의 루키들이 주축인 투수진이 고비 때마다 병살 내지 삼진을 이끌어내고 있는 모습은 매우 인상적이었는데, 이 꼬꼬마들을 그때그때 마운드에 올라가서 다독여가며 투수와 수비를 지휘하고 있는 Yadi는 정말 포수가 경기를 지배한다는 것이 어떤 것인지를 보여주고 있는 것 같다.


Upcoming Pitching Matchups

Game 3: Adam Wainwright at 류현진

Game 4: Lance Lynn at Ricky Nolasco

Game 5: Joe Kelly at Zack Greinke

Game 6: Michael Wacha vs Clayton Kershaw

Game 7: Adam Wainwright vs 류현진


궁지에 몰린 Mattingly가 Greinke와 Kershaw를 한 경기씩 땡겨 쓰지 않을까 싶었는데, 그냥 순서대로 4차전에 Nolasco를 내보내기로 한 모양이다. 우리는 4차전에 Lynn을 내세우기로 했는데, Miller보다 Lynn이 정말 나은 옵션인지는 모르겠다. MM에 의하면 9월에 Miller의 구위가 많이 죽은 것이 주 이유인 것 같은데, Lynn도 NLDS때 던지던 모습을 생각하면 그닥 나을 것은 없었던 것 같다. 1차전 때 2이닝 무실점을 기록한 것을 가지고 Lynn이 낫다고 판단한 것일까? (아니길 빈다...) 어차피 둘 다 불안하기는 마찬가지이므로, 이들 둘은 나오는 순서만 다를 뿐 그냥 1+1로 생각하는 것이 맞을 듯.


Game 3

Dodger Stadium, 10/14 20:07 ET (10/15 9:07 KST)


Probable Starters

Adam Wainwright(R) 241.2 IP, 8/16 K/9, 1.30 BB/9, 49.1 GB%, 2.94 ERA, 2.55 FIP, 2.80 xFIP, 6.2 fWAR

류현진(L) 192.0 IP, 7.22 K/9, 2.30 BB/9, 50.6 GB%, 3.00 ERA, 3.24 FIP, 3.46 xFIP, 3.1 fWAR


3차전은 잘 알려진 대로 Waino와 류현진이 선발로 등판한다. 비록 국내 언론이 지나치게 류현진 위주의 시각으로 시즌 내내 편파적인 보도를 하면서 다른 팀 팬들에게 반감도 많이 샀지만, 위의 스탯을 냉정하게 바라본다면, 류현진은 무척 훌륭한 메이저리그 데뷔 시즌을 보냈다고 할 수 있다. 류현진의 성공 비결은 Waino와 똑같다. 즉, 삼진 많이 잡고, 볼넷 적게 내주고, 그라운드볼을 많이 유도하는 것이다. 단지 Waino보다 삼진을 좀 덜 잡고, 볼넷을 좀 더 내주다보니, ERA나 FIP가 좀 떨어지지만, 저 정도면 충분히 우수한 스탯이다. 특히나 올시즌 내내 좌완에게 고전해 온 Cards 타선이고, 그나마 좌완에 강한 Craig마저 없는 것을 감안하면, 방심은 절대 금물이다.


다행인 것은 우리가 불펜에서 상대에 비해 우위를 점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서, 벤치가 다소 약하다는 약점이 불펜의 강함으로 상쇄되고 있다는 점이다. 심지어 벤치도 Mattingly가 계속 중요한 순간에 Michael Young을 투입하고 실패하는 패턴이 반복되고 있어서 그닥 차이가 없어 보인다. 3차전 역시 저득점의 투수전이 예상되는데, 공을 많이 봐서 류현진을 최대한 빨리 끌어내리고 불펜/벤치 대결로 유도하면 아마도 Mattingly가 또 자멸할 것이다. 오죽하면 ESPN의 시리즈 프리뷰(insider only)에서 Dodgers의 X-Factor로 Mattingly를 꼽았겠는가? 현역시절의 Mattingly는 정말 훌륭한 선수였지만... 그동안 우리가 많이 보아 왔듯이, 좋은 선수가 좋은 감독이 된다는 보장은 없는 것 같다.


5, 6차전에서 Greinke와 Kershaw를 또 만날 경우, 시리즈의 향방은 알 수 없다. 상대가 앞으로도 계속 고비마다 병살타나 치고 삼진만 먹을 것이라고 기대하는 것은 무리이다. 주자가 자꾸 나가면 결국은 점수가 나게 마련인 것이다. 2승으로 유리한 고지를 점한 지금, 아예 LA에서 시리즈를 끝낸다는 각오로 3, 4차전에 임해야 할 것이다.



Go Cardinals...!!!

Posted by FreeRedbird
:

by 주인장.


NL Divisional Series

St. Louis Cardinals  97승 65패(NL Central 1위) Run Diff. +187

Pittsburgh Pirates  94승 68패(NL Wild Card 1위) Run Diff. +57


Game 1: Cardinals 9, Pirates 1

Game 2: Pirates 7, Cardinals 1

Game 3: Pirates 5, Cardinals 3


1차전을 이길 때만 해도 분위기가 좋았는데, 이후 두 게임을 내리 빼앗기면서 탈락 위기에 몰리고 말았다.


3차전은 코사마의 상큼한 송구 에러로 시작하여, 좌우를 넓게 잡아주는 주심의 존과 잘 맞은 타구들이 상대 수비에 계속 걸리는 불운 속에서 고생하다가, 결국 불펜이 박빙의 상황에서 Alvarez와 Martin을 막지 못하면서 졌다. Maness가 병살을 유도하지 못하고 SF를 허용하여 점수를 내준 부분이나 Siegrist가 Alvarez에게 적시타를 허용한 장면은 물론 아쉬웠고, 불펜 기용 순서를 좀 바꿨으면 어땠을까 싶기도 하지만, 결국은 다 지나고 나서 하는 말인 것 같다. 이날 MM의 투수기용은 비교적 상식적으로 이루어졌고, 그들은 정규시즌에 대체로 자기 임무를 잘 수행해 왔던 선수들이었다.


하지만 모든 것을 심판이나 불운 탓으로 돌릴 수는 없을 것이다. 특히 Beltran의 동점 홈런 이후 Yadi의 안타로 만들어진 1사 1루의 도망갈 찬스에서 후리세가 병살타를 친 장면은 무척 뼈아픈 것이었다. 후리세 이넘은 오늘 4타수 무안타로 NLDS 슬래쉬 스탯이 200/273/200이 되었는데... 벤치가 너무 허접하다 보니 마땅한 대체 주전감도 없는 것이 더 안타깝다. 후리세를 빼려면 코사마와 DD를 모두 선발 출장시켜야 되는데, DD는 현재 NLDS에서 아예 무안타 행진 중이다. -_-;;;



Game 4

PNC Park, 10/7 15:07 ET (10/8 4:07 KST)


Probable Starters

Michael Wacha(R) 64.2 IP, 9.05 K/9, 2.64 BB/9, 44.3 GB%, 2.78 ERA, 2.92 FIP, 3.36 xFIP, 1.1 fWAR

Charlie Morton(R) 116.0 IP, 6.59 K/9, 2.79 BB/9, 62.9 GB%, 3.26 ERA, 3.60 FIP, 3.69 xFIP, 1.3 fWAR


4차전의 선발은 이미 알려진 대로 Wacha가 낙점을 받았다. 시즌의 운명이 걸린 부담감 만땅의 경기이고 특히 시꺼먼 옷을 입은 해적 팬들이 가득 들어차 있는 적지임을 감안하면, 역시 5이닝 투구수 100개의 laboring을 종종 보여주는 Miller보다는 빠른 호흡으로 타자와 신속하게 승부를 가져가는 Wacha 쪽이 나은 선택인 것 같다. 참고로 Wacha의 선발등판시 투구 인터벌(Pace)은 평균 19.5초로 매우 빠른 편이다.


상대 선발은 작년에 TJ 수술을 받은 후 시즌 중반에 복귀한 Charlie Morton이다. 2차전 때에도 언급했다시피, 올해의 해적떼 투수진은 몰래 Dave Duncan의 가르침이라도 받은 것처럼 다들 그라운드볼 유도와 볼넷 억제에 치중하고 있는데, 특히 Morton은 이러한 Duncan 투구 철학의 수제자라고 할 만하다. 탈삼진 능력은 평균에 다소 못 미치지만 62.9%의 압도적인 그라운드볼 비율과 2.79 BB/9의 좋은 제구로 안정감 있는 피칭을 해 왔다. 62.9%의 그라운드볼 비율은 올 시즌 50이닝 이상 던진 선발투수들 중 2위에 해당하는 것이다. (1위는 63.0%의 Jaime Garcia이다. -_-;;)


올 시즌 우리는 Morton과 세 번 맞대결을 했다. 그 결과는...

 - 8/1(PNC) 6 IP, 10 H, 5 R, 1 BB, 5 K

 - 8/13(Busch) 6 IP, 7 H, 2 R, 2 BB, 3 K

 - 9/8(Busch) 1.2 IP, 6 H, 5 R, 2 BB, 0 K


세 번 중 두 번은 우리 타선이 잘 털었으며, 특히 마지막 대결에서는 2이닝도 못 채우고 강판되었다. 사실 우리 타선은 예전부터 유난히 그라운드볼 안타를 잘 만드는 것으로 주목을 받아 왔기에(링크 참조), 이런 투수와의 상성은 괜찮은 편이다. Fangraphs의 스플릿 데이터를 보면 우리 팀 타선의 타구 종류 별 성적 및 NL에서의 순위는 다음과 같다.


 - 라인드라이브 350 wRC+, NL 7위

 - 플라이볼 114 wRC+, NL 10위

 - 그라운드볼 35 wRC+, NL 3위


그라운드볼은 원래 생산력이 낮을 수밖에 없지만, 타 팀에 비해서는 확실히 그라운드볼에서 좋은 결과를 많이 얻는 편이다.



그리고... 지금까지의 경기 결과는 거의 선발 매치업의 우열대로 흘러온 듯한 느낌이다. 응원하는 팀을 잠시 접어두고 다음 매치업에서 이길 것 같은 투수를 골라 보시기 바란다.

- Wainwright vs Burnett

- Lynn vs Cole

- Kelly vs Liriano

- Wacha vs Morton


당연히 Waino, Cole, Liriano, Wacha라고 본다. 그리고 앞의 세 경기는 실제로 그렇게 되었다.

그러니 4차전은 우리가 이기지 않을까? ㅎㅎ


반드시 홈으로 돌아가서 승부를 마무리할 수 있기를...


Go Cardinals...!!!

Posted by FreeRedbir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