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블로그에 글이 올라온지도 어느새 4달이 넘었다. 이는 Cards가 NLWC에서 광탈하고 시즌종료 글이 올라온게 4달이 넘었다는 뜻이다. 그렇다는건 이제 새 시즌이 눈앞에 다가왔다는 뜻이기도 하다.

 

 이미 선수들은 Jupiter에서 시즌 준비를 위한 구슬땀을 흘리고 있다. 거기다 현지시각으로 25일이 되면 시범경기가 시작된다. 지금으로부터 일주일도 채 남지 않은 기간이다.

 

 다소 늦었지만 23시즌 데뷔가 예상되는 유망주들을 살펴보며 블로그의 새해, 새시즌을 위한 불판을 갈아보려 한다.

 

 # 올 한해도 잘 부탁드립니다. 미흡한 실력과 부실한 시각으로 휘갈긴 글이니 많은 지적과 피드백 부탁드립니다.


Freddy Pacheco

우투우타/ 5'11"/ 203lb/ 24세

불펜투수 / 팀 22위 유망주

​FB 65 / SL 55 / Ctr 40 / Ovr 40

 21시즌이 끝나고 40인 로스터에 깜짝 발탁된 Pacheco(룰5드랲 피하려고 그랬던가? 기억이 가물가물). 당시에 A+에서 무난하게 던지다가 시즌 후반에 AA와 AAA를 찍먹하며 인상적인 활약을 펼쳤었다. 그러고 맞이한 22시즌 스프링트레이닝에서 그닥 눈에 띄는 모습을 보여주진 못해서 얘를 40인 로스터에 올릴 정도였나 의문이었는데... 22시즌을 완벽하게 보내며 그 의문을 깔끔하게 지워버렸다. 시즌 시작을 AA에서 하고 후반에 AAA로 승격됐는데, 오히려 AA에서보다 AAA에서 더 좋은 모습을 보여준 점이 플러스 요인이다. 참고로 올해 25세 시즌을 앞두고 있다.

 

Pacheco의 장점은 속구에 있다. 95-98마일 수준의 속구는 제구도 나쁘지 않아 타자들을 압도한다. 이를 뒷받침하는 슬라이더도 완성형은 아니지만 위력적이라고 한다. 이 슬라이더를 자신의 것으로 만들기만 한다면 충분히 빅리그에서 통하는 선수가 될 것이다. 다만 아쉬운건 써드피치의 부재다. 사실상 속구-슬라이더 투피치인 그는 좌타자 상대로 피장타율(.378)이 우타자 상대(.193)보다 현저히 높다. 반쪽짜리 선수로 남지 않으려면 좌타자를 요리할 써드피치의 존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일단 40인 로스터에 들었기 때문에 올시즌 데뷔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고 볼 수 있다. 더군다나 빅리그 Cards 불펜 자원들 대부분이 제구나 구위, 그리고 건강에 심각한 물음표가 달려있기 때문에 Pacheco가 파고들 틈은 충분하다고 본다. 이미 데뷔한 Walsh는 내구성 문제가 꾸준히 있어와서 비슷한 수준의 투망주 중에선 Pacheco가 제일 앞선다.

Freddy Pacheco 2022 주요스탯

AA

K/9 13.02(K% 34.7)

BB/9 5.08(BB% 13.6)

HR/9 1.27

AAA

K/9 11.50(K% 32.6)

BB/9 3.21(BB% 9.1)

HR/9 0.53


Connor Thomas

좌투좌타/ 5'11" / 183lb/ 24세

선발투수 / 팀 24위 유망주

FB 45 / SL 60 / CU 55 / Ctr 55 / Ovr 40

 지난 시즌 종료 후 40인 로스터에 안착한 Thomas. 공교롭게도 앞서 소개한 Pacheco와 동갑(98년생)으로 25세 시즌을 치룰 예정이다. 거기다 키(5'11")도 판박이...(근데 구속은 딴판) 일단 선발 자원으로 키우긴 했지만, 언더사이즈인데다 이닝 소화력이 대단한 것도 아니어서 빅리그에선 불펜으로 활용될 것 같다. Cards에게 부족한 좌완 자원이라는 장점을 가졌는데, 여기다 최근 성장세도 좋아 구단의 호평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Thomas 하면 떠오르는 구종은 체인지업이다. 전체적인 구사율은 모르겠지만, 전에 한번 지켜봤던 경기에선 속구의 구사율보다 체인지업의 구사율이 더 높았을 정도였다. 다만 이는 속구의 가치가 높지 않아서이기도한데, 90마일 수준의 속구는 그를 향한 평가에 발목을 잡는 존재기도 했다. 하지만 최근 이를 극복하기 위해 커터를 숙련했다고. 이러한 구종들을 바탕으로 땅볼유도능력을 선보인 Thomas는 어쩌면 내야 수비에서 강점을 보이는 Cards에게 딱 맞는 퍼즐이라 할 수 있겠다.

 Pacheco와 마찬가지로 이미 40인 로스터에 들어있는 점이 데뷔 가능성을 높혀준다. 게다가 앞에서도 말했듯이 Cards에게 부족한 좌완 자원이다. 확실하게 자신의 구종이 있기 때문에 Cabrera나 Romero같은 제구레기들보단 앞서지 않을까. 물론 Thompson이나 Libby같은 이름값 높은 유망주들과의 경쟁을 해야겠지만, 개인적으론 지금 당장 Cards에게 도움이 될만한건 Thomas가 아닐까 싶다.

Connor Thomas 2022 주요스탯

AAA

K/9 7.33(K% 17.9)

BB/9 2.67(BB% 6.5)

HR/9 1.07

ERA 5.47 / FIP 4.53

Connor Thomas 커리어 땅볼 비율

A- 48.9% (19)

A 64.2% (19)

AA 57.9% (21)

AAA 61.0% (21)

AAA 51.0% (22)

* 괄호 안은 시즌


Ryan Loutos

우투우타/ 6'5"/ 215lb/ 23세

불펜투수 / 팀 26순위 유망주

FB 60 / SL 50 / Ctr 50 / Ovr 40

 Busch Stadium 앞마당에 위치한 Washington University in St. Louis 출신이라는 로컬 스토리를 가진 Loutos는 논드래프티로 Cards에 합류한 후 2년만에 AAA에 도달했다. 그는 드래프트에서 지명되지 못한 후 소프트웨어 엔지니어가 될 예정이었지만 Cards의 계약을 받아들었고, 1년차엔 로우싱글a에서 꽤 흥미로운 세부스탯을 기록하더니 2년차인 지난해 3개 레벨을 돌파하며 돌풍을 일으켰다. 사연 없는 사람이 어디있겠느냐만은, 그의 신데렐라 스토리는 사람들의 이목을 집중시키기에 충분했다.

 

 대학시절에도 제구가 좋다고 평가받던 Loutos는 대학시절부터 체중을 늘리며 이제는 90마일 중반대에서 98마일까지 던질 수 있는 강속구 투수가 되었다. 여기에 준수한 슬라이더까지 추가해 꽤나 효과적인 구종 두 개를 장착하고 있다. 여기에 전에 그가 애용했던 체인지업까지 다듬을 수 있다면 빅리그에서 좌우 가리지 않고 상대할 수 있는 좋은 투수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성급한 콜업은 지양해야할 것이다. Cards는 이미 한 시즌만에 마이너 레벨을 빠르게 돌파한 불펜 유망주가 빅리그에 자리잡는데 실패한 사례가 두 차례나 있다(JuFe, Whitley). 물론 Whitley는 아직 성패 여부를 가리기엔 이르지만, 특이한 딜리버리에서 나오는 불안감을 해소시키지 못한 상태다.

 Loutos는 일단 멤피스에서 성과를 보여야한다. 지난해 멤피스까지 올라오긴 했으나 성적이 좋진 않았다. 팀 입장에서도 복권 긁다시피 한 자원이기 때문에 그에게 꼭 기회를 줄 필요도 없는 상황이다. 결국 Loutos는 빅리그 데뷔를 위해선 스스로 증명을 해내야한다. 한때 다른 일자리를 찾아보기까지 했던 그가 자신의 야구 스토리를 해피엔딩으로 이어나갈 수 있을까? 올시즌 지켜볼만한 이야기거리임에는 분명하다.

 

Ryan Loutos 2022 주요스탯

A+

K/9 10.67 (K% 30.9%)

BB/9 1.88 (BB% 5.5%)

HR/9 0.63

ERA 3.14 / FIP 2.86 (xFIP 3.69)

AA

K/9 10.48 (K% 28.6%)

BB/9 4.03 (BB% 11%)

HR/9 0.00

ERA 1.61 / FIP 2.91 (xFIP 3.92)

AAA

K/9 9.67 (K% 22.1%)

BB/9 4.00 (BB% 9.2%)

HR/9 1.33

ERA 6.33 / FIP 4.73 (xFIP 3.91)


Gordon Graceffo

우투우타/ 6'4"/ 210lb/ 22세

선발투수 / 팀 3순위 유망주

FB 60 / CV 50 / SL 55 / CU 55 / Ctr 55 / Ovr 55

 작년에 마이너리그를 자주 보셨다면 익숙한 이름일 것이다. Gordon Graceffo. 무슨 말이 더 필요할까? 지난해 카즈 팜의 최고 타자가 Walker라면, 최고 투수는 Graceffo였다. 실제로 그는 지난해 Cardinals Minor League Pitcher Of The Year를 수상했다. 이렇듯 그는 드래프트 후 첫 시즌(21)을 A에서 완벽하게 보낸 후 지난해 두 레벨(A+, AA)에 걸쳐 좋은 모습을 보여주며 큰 시련 없이 정석적인 루트를 거치고 있다. 대학출신 드래프티니만큼 팀에서도 그의 빠른 성장을 바라고 있을 것이다.

 

 프로 입단 후 구속이 급상승하면서 파이어볼러 선발투수로 자리잡은 Graceffo는 선발투수로서 손색없는 모습을 보여줬다. 22시즌 전반기엔 5이닝을 채우지 못하고 내려온게 단 한 차례(2.2이닝 6실점 4자책) 뿐이었고, AA에선 A+때보단 고전했다해도 18차례 등판 중 7번의 QS를 달성하며 수준높은 경기력을 보여줬다. 좋은 구위의 포심과 이미 대부분 55점을 받은 변화구들을 앞세워 경기를 풀어나가는 능력이 상당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레벨 승격 후 스탯 하락을 피하진 못했다. A+에서 11.04에 달했던 K/9는 AA에서 7.98개까지 수직하락했고, 0.20개에 불과했던 HR/9도 1.54개까지 치솟는 등 어려움을 많이 겪었다. BABIP는 오히려 더 낮아진 점(.255 > .237)을 감안한다면 운은 오히려 더 좋았다고 볼 수 있다. 그럼에도 여전히 수준급 성적임은 부정할수 없다. 5라운더가 1라운더급 폼을 보여준다는게 이미 기대를 넘어선 것이다. 게다가 9월 세 경기에 도합 16.2이닝 5피안타 4사사구 22탈삼진을 기록하며 시즌을 마무리한 점도 앞으로를 기대케하는 부분이다. 결국 갈수록 높아지는 레벨차를 얼마나 빠르게 극복해나갈지가 관건일듯 하다.

 문제는 데뷔 시점이다. 이제 막 AA레벨 적응 단계를 마친 그가 봄부터 이렇게 데뷔 예상 유망주로 언급되는 것은 지금 Cards가 특수한 상황에 놓여있기 때문이다. 불펜 퀄리티 문제와 WBC 이슈가 그것이다. 불펜 퀄리티 문제야 여러번 언급했으니 그 심각성을 다들 아실테고, WBC에 Cards 출신(마이너 포함) 선수들이 가장 많이 출전(19명)한다는건 MLB 팬들이라면 익히 아실거다. 빅리그 선수들만 따져도 30개 구단 중 상위권에 달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선수들의 체력 안배와 뎁스 문제는 시즌내내 Marmol 감독의 머리를 아프게 할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언론에서도 Graceffo 불펜 카드를 꺼내들고 있다. 선발로도 이미 좋은 구위를 보여준 그가 불펜으로 나선다면 또 어떤 모습을 보여줄진 지켜봐야겠지만, 충분히 매력적인 카드임은 분명하다. 과연 Graceffo가 올시즌 더 성장한 모습을 보여줄지, 그리고 이미 빅리그 캠프에 합류해 훈련을 진행중인 그가 진짜 빅리거로 거듭날 날은 언제가 될지 지켜보도록 하자.

 

Gordon Graceffo 2022 주요스탯

A+

K/9 11.04 (K% 33.9%)

BB/9 0.79 (BB% 2.4%)

HR/9 0.20

ERA 0.99 / FIP 1.71 (xFIP 2.63)

AA

K/9 7.98 (K% 21.9%)

BB/9 2.31 (BB% 6.3%)

HR/9 1.54

ERA 3.94 / FIP 5.07 (xFIP 4.63)


https://blog.naver.com/wany0127/222990389187

 

23시즌 데뷔 예상 유망주 [프레디 파체코]

프레디 파체코 Freddy Pacheco 우투우타/ 5'11"/ 203lb/ 24세(23.01.21 기준) 팀 22위 유망주 ...

blog.naver.com

https://blog.naver.com/wany0127/222992547134

 

23시즌 데뷔 예상 유망주 [코너 토마스]

코너 토마스 Connor Thomas 좌투좌타/ 5'11" / 183lb/ 24세(23.01.24 기준) 팀 24위 유망주 지...

blog.naver.com

https://blog.naver.com/wany0127/223000239362

 

23시즌 데뷔 예상 유망주 [라이언 루토스]

라이언 루토스 Ryan Loutos 우투우타/ 6'5"/ 215lb/ 23세(23.01.28 기준) 불펜투수 / 팀 26순...

blog.naver.com

https://blog.naver.com/wany0127/223021845013

 

23시즌 데뷔 예상 유망주 [고든 그라세포]

고든 그라세포 Gordon Graceffo 우투우타/ 6'4"/ 210lb/ 22세(23.02.20 기준) 선발투수 / 팀 3...

blog.naver.com

 

Posted by 떠돌관조
:

2021년입니다.


코로나에서 해방되는 새해가 되기를!

그리고 쓸 거리 많이 생기는 카즈를 기원합니다... 병갑아 일 좀 해라!!


건강하시고, 다들 대박나세요.

Posted by FreeRedbird
:

1. 2018 Cardinals vs 2019 Cardinals


 

2018

2019

AVG

.249

9

.245

11

BB%

8.5

9

9.1

6

K%

22.3

10

23.0

10

HR

205

4

210

12

ISO

.160

7

.170

12

GDP

95

15

110

12

wRC+

98

5

95

7

LD%

22.3

4

22.2

4

FB%

34.8

5

36.5

3

Pull%

41.6

2

41.0

5

Hard%

39.1

2

40.2

4

BABIP

.294

10

.292

12

Zone%

43.2

12

42.0

4

O-Swing%

29.9

11

31.0

12

O-Contact%

61.4

12

64.0

6

Z-Swing%

65.6

12

67.4

11

Z-Contact%

86.0

2

84.8

7

SwStr%

10.5

10

10.8

12

SB

63

14

116

공동 1

BsR

12.9

1

14.4

2

E

133

1

66

15(최소)

Def

48.3

5

61.4

4


- Jdzinn님 표의 형식을 차용했습니다. 감사합니다!


2018 개막전: Fowler Pham MCarp Ozuna Jmart Molina Dejong Wong Cmart

2019 개막전: MCarp Goldy Dejong Ozuna Molina Fowler Wong Bader Mikolas


(1) PhamBader로 바뀌고, JmartGoldy로 바뀌었다. CarpEdman이 대체한 것 빼고는, 시즌 내내 큰 틀에서 비슷했다.

(2) 크게 눈에 띄는 점은 Goldy라는 S급 타자 (물론 결론적으로 아니었지만) 추가되었음에도 팀의 전반적인 타격 지표가 하락했다는 점이다. 특히 장타 부분에서. (HR 4위 -> 12위, ISO 7위 -> 12위)

(3) 수비는 여전히 견고했다. 특히 포수를 제외한 센터라인은 (2루수 Wong, 유격수 Dejong, 중견수 Bader) 세 포지션 모두에서 Fangraphs 수비 수치 1위이다. 발은 빨랐지만 도루는 거의 마지막이었던 18시즌과는 다르게 올해는 도루까지 1위를 기록했다. 

(4) 2020 시즌에도 Molina는 여전히 주전일 것이며, Goldy - Wong - Dejong - Carp의 내야도 그대로일 것이며 (Carp는 2년 39M이 남아있기 때문에 초반에는 주전으로 쓸 것이다.) Ozuna가 빠진 외야는 우선 Edman - Bader - Fowler로 시작할 것이다. Wong, Dejong, Edman에게 더 잘하길 기대하기는 힘들고, Bader가 예전만큼 쳐봐야 평균 정도의 타자일 뿐. 결국 이 팀 타선이 살아나려면 Goldy - Carp - Fowler(?) 세 베테랑의 반등이 절실하다. 



2. 2019 Season Recap


(1) Catcher



1) Yadier Molina (C)

- 20M을 받은 포수가 1.2WAR? (bWAR 1.3) 아무리 Yadi라지만 B 이상을 주기는 힘든 성적이다. 두 차례 부상으로 빠지며 05시즌 이래로 거의 최소 경기인 113경기만을 뛰었다. 

- 2020시즌 과제: 37세 시즌을 앞둔 포수에게 '작년보다 더 잘할 것'을 요구하기는 쉽지 않다. 올해처럼 + 부상 없이 뛰며, Knizner에게 경험치를 전수해 줄 수 있다면 더할 나위 없겠다. 

 

2) Matt Wieters (B-)

2018 (Francisco Pena) 142PA, fWAR 0.9, bWAR 0.7

2019 (Wieters) 183PA, fWAR 0.3, bWAR 0.5

- 객관적으로 뛰어난 성적이라 보기는 힘들지만 턱걸이로나마 B를 준 이유는 다음과 같다. 1) Yadi가 부상으로 두 차례 빠지는 도중에 주전포수로서 역할을 나름 훌륭히 수행해주었고, 2) WietersYadi 데뷔 이래 Cards 백업 포수중 최고였기 때문이다. (몇 년간 자리를 지켰던 Tony Cruz가 기억이 나는가?) Cards와의 인연은 여기까지지만, 플래툰 또는 백업 포수로 여전히 수요가 있을테니 좋은 자리 찾아가길 바란다.



(2) First Baseman


1) Paul Goldschmidt (B-)

- 2018시즌이 끝난 후 Cardinals에게 가장 시급했던 부분은 3루와 Carp와 시너지를 낼 우타 빅뱃 보강이었다. Machado같은 거물은 기대도 안 했고, Donaldson 영입을 기대했으나 MoCarp를 다시 3루로 보내고 Goldy를 영입했다. 6년 연속 올스타인 S급 타자가 Cardinals에 오다니! 심지어 대가도 중복자원들 위주였기 때문에 비싸보이지 않았다. 물론 나이가 조금 걸리긴 했지만, 하락세가 크게 보이지 않았기에 2~3년정도는 S급의 면모를 보여 줄 것이라 생각했으나.. 

- 홈런도 34개나 때렸고, wRC+ 116에 WAR 3정도면 사실 아주 나쁜 건 아니다. (맞나?) 만약 Jmart가 이 성적을 냈다면 아마 A-나 B+을 주었을 것이다다만, 이 타자는 커리어 통산 wRC+가 140이 넘으며 망해도 130이었고, Kelly, Weaver가 그의 대가였으며,앞으로 32~36살을 커버하는 계약에 130m이나 되는 돈을 줘야 한다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최소한 희망을 보려면 이번 시즌에는 어느 정도의 반등을 해야한다. 만약 반등하지 못한다면? 졸스는 피했지만 졸디는 못 피한 게 되는거지 뭐..


2) LG 트윈스 팬들이 사랑하는 남자. Ravelo.. 이 글을 쓰는 도중에도 LG팬들을 들었다 놨다 하던데 솔직히 이 팀에는 전혀 자리가 없어보인다. 어서 도망쳐라..



(3) Second Baseman 



1) Kolten Wong (A-) GG

Kolten Wong이라는 선수가 다시 살아오지 않는 한, 보여줄 수 있는 최고의 모습을 보여준 시즌인 듯 하다. 이전 시즌들과 비교해 (거의) 최다출장, (거의) 최고의 빠따, (거의) 최고의 글러브. , 발 하나만큼은 이번 시즌이 최고. 이전 시즌에 아쉽게 받지 못했던 GG도 이번에는 받아왔다. 이제 이 팀에서 남은 건 올스타 선정 정도인 듯



(4) Third Baseman


1) Tommy ‘현수’ Edman (A-)

- 19시즌 카디널스 최고의 귀염둥이. 팀 사정 상 2/3/우익수 등 여러 포지션 오가며 약 90경기만에 4WAR에 달하는 생산력을 보여주었다. 마이너에서도 꾸준히 높은 babip을 기록했지만 .346은 운이 좀 따랐다고 보고, bb%와 iso를 맞교환하면서 (18시즌 AAA BB% 10.5, ISO .076 / 19시즌 AAA BB% 6.9, ISO .196) 타율이 떨어지는 만큼 출루율도 떨어진다 생각하면 올해같은 타격은 아마 어려울 것이다. 다만 수비, 주루, 장타 뭘 봐도 떨어지는 부분이 없으니 생산력 자체는 크게 떨어지지 않을 것이라 생각한다. 


2) Matt Carpenter (D)

- Goldy는 클래스에 비해 망했고, Carp는 그냥 망했다. 33세 시즌이고 이제 꺾일 나이는 맞지만, 올스타 브레이크때 까지도 사실 이렇게까지 망할 줄 몰랐다. 18시즌, 처음 한 달 최악의 부진을 겪고 mvp 컨텐딩을 하던 모습이 아직 생생해서 이번엔 반등한다! 이번엔 반등한다! 했는데 정말 어림도 없었다. 전형적인 노쇠화 증상, 15시즌 이후 본인의 장점이었던 장타와 눈이 대 홈런볼의 시대 끼고도 죽어버렸으니.. 남은 2/39 계약이 있기 때문에 Edman을 외야로 보내고 3루 주전으로 시작하겠지만, 별 기대가 되지 않는 건 사실이다. 저 돈 주고 내야 백업으로 썩히는 건 원치 않으니, 어떻게든 버텨주면 좋겠다. 


3) Yairo Munoz (C)

- 더 잘 쳐주면 좋겠지만 내야 백업으로 이정도면 더 바랄 것이 없다. 옵션도 한 번 남았으니 최소한 2년정도는 더 보지 않을까 싶다

 


(5) Shortstop



1) Paul DeJong (A) AS

- 2016년으로 돌아가보자. 다음 중 Paul Dejong의 미래는? 1) wRC+ 120~130, 평균 정도 수비의 3루수 2) 공격은 평균, 상급 수비의 유격수. 이 질문에 2번이라고 답했을 사람이 몇이나 있을까. 물론 유망주 때의 평가가 얼마든 바뀔 수 있다지만  신기한 일이다. 

- 팀에서 대신 나갈 선수가 없기도 했지만, 이제는 올스타 유격수. 워낙 공격도 수비도 잘하는 유격수가 많은 시대라 평균정도 수준에 그친 빠따가 아쉽긴 하지만, 무려 158경기를 소화하느라 하반기에 비율스탯이 낮아진 것도 이해한다. 평균을 깎아먹던 좌상바 기질이 조금 나아졌는데, 20시즌엔 여러 부분에서 보완해서 wRC+ 110 이상, WAR 5 이상을 기대해 본다


(6) OutFielder



0) 간밤에 트레이드가 있었다. 


The St. Louis Cardinals are trading OF Jose Martinez, OF Randy Arozarena and a Compensation A pick (after 1st round) to the Tampa Bay Rays for LHP prospect Matt Liberatore, a low-level catching prospect and Compensation B pick (post-2nd), sources familiar with the deal tell ESPN.


픽이 좀 아깝긴 하지만 굉장히 좋은 무브인듯.. '나는 외야수다'를 할 정도로 확고한 주전은 없고 고만고만한 자원들만 많았는데, 교통정리를 잘 한 것 같다. JMart는 드디어 AL에 가니 기분이 좋을 듯. 수비하느라 스트레스 많이 받았을텐데, 가서 잘하길. Liberatore는 업데이트가 되진 않았지만 mlb.com 기준으로 Cards 유망주 3위이며, 아마 Top 50급으로 많은 기관에서 평가받을것이다.


이제는 (Edman), Bader, Fowler가 주전에 좌익수로 Thomas, O'Neill이 경쟁하는 모양인데 시즌 중반쯤 Carlson이 올라올 것이지만 컨텐더 팀 외야 치고는 불안해 보이는 건 사실이다. 설마 Ozuna를 잡을지??


1) Marcell Ozuna (B-)

- 옆집 맥주네 YelichMVP도 먹고 잘 나가는데, 우리집 Ozuna2년간 좌익수 자리를 채워주기만 하다가 나가게 되었다. 딱히 링크가 뜨는 것도 없으니 가격이 아주 떨어지지 않으면 이 팀에 남을 일은 없을 것 같고, 기대치에 비해 못했다 뿐이지 젊고 어느정도 생산력은 상수라, 나름 괜찮은 계약 받고 떠날 것이다. ‘그 수비장면은 잊지 않겠다. 나가서는 더 잘하길.. 


2) Harrison Bader (C)

- 여전히 수비는 최고. 평균정도의 빠따로 회귀할 수 있다면 올스타도 가능? 컨택에 문제가 생긴 것 같지는 않고, 베이스러닝 수치가 크게 떨어졌지만 스피드가 느려질 나이는 아닌데 babip에서 커리어 로우. 타율이 멘도사급이지만 다른 스탯에 큰 문제는 없어보인다는 것은, 반대로 말하면 타율이 다시 오르면 이정도 생산력은 아닐 것..? 그 타율이 오를 반등의 여지는 충분하다. 20시즌에는 WAR 4+ 나올 것에 소심하게 500원쯤 걸어본다.. 


3) Dexter Fowler (D) 

- 이 팀에 연봉 잡아먹는 적폐가 한 둘이 아니지만 제일 나쁜 건 로스터 먹는 적폐다. 이미지에 비해서 성적이 괜찮아 보일 지경.. 이제는 한국인이 사랑하는 팀 Cardinals에서 가장 욕 먹을 선수 1순위. 내년에는 꼭 400타석 밑으로 보자. 


4) Jose Martinez (C)

- 뭐라 썼었는데 다 지웠다. 애초에 NL은 맞지 않는 곳이었고 코너외야와 1루가 가능한 지타자원이라면 AL가면 지금보다는 훨씬 많은 기회를 받을 것이다. 가서는 잘 하길!!


5) Tyler O'Neill (D)

- 개인적으로는 Fowler에게 많은 기회를 뺏겼다고 생각하지만 그를 제칠만한 활약을 보여주지 못한 것도 사실이다. 




3. 2020 Cardinals?



1) 예상 개막 라인업: Carpenter - Fowler - Goldy - Dejong - Edman - Molina - Wong - Bader - Mikolas

타순은 달라질 수 있겠지만 대충 이정도로 본다. 아아..


2) 26인으로 확대되는 로스터에 맞춰 13인 타자 - 13인 투수라고 치면

C: Molina, Knizner

IF: Goldschmidt, Wong, Dejong, Carpenter, Munoz, Sosa

OF: Thomas, O'Neill, Fowler, Edman, Bader

이렇게 예상해본다. 


3) Ozuna가 빠지니까 타선이 더 휑해보인다. 믿을 건 Carlson 뿐이다..!




이렇게 2019 시즌 Recap이 끝이 났습니다. 아마 블로그 역대 최고 지각이 아닐까 싶은데요.. 시간이 있을 줄 알고 대타를 뛰겠다고 말씀드렸는데, 이렇게 늦어져 다른 필진분들과 블로그를 찾아주시는 분들께 죄송한 마음 뿐입니다.. 어서 수험 생활을 청산하고 야구에 집중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지고 싶습니다. 조금 늦은 감이 있지만, 다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Posted by EconBird
:

2020년 새해가 밝았습니다.

새해엔 다들 건강하시고 원하시는 것 모두 이루시길 기원합니다.

Go Cardinals!!

Posted by FreeRedbird
:

2019년 새해가 밝았습니다.


여기 들러 주시는 분들 모두 건강하시고, 좋은 일이 병풍처럼 가득 펼쳐지는 한 해가 되시길 기원합니다.


Go Cardinals..!!!




블로그 글은 곧 올해의 드립 및 유망주 리스트로 찾아 뵙겠습니다. ㅎㅎ

Posted by FreeRedbird
:

이렇게 해서, 블로그 역사상 아홉 번째 유망주 리스트를 모두 공개하였다.

아래의 각 유망주를 누르면 코멘트 페이지로 넘어간다.


2018 Redbirds Nest in Korea TOP 20 Prospects List


1. Alex Reyes

2. Jack Flaherty

3. Carson Kelly

4. Tyler O'Neill

5. Ryan Helsley


6. Harrison Bader

7. Dakota Hudson

8. Jordan Hicks

9. Andrew Knizner

10. Max Schrock


11. Jose Adolis Garcia

12. Yairo Munoz

13. Randy Aronzarena

14. Austin Gomber

15. Oscar Mercado


16. Dylan Carlson

17. Evan Mendoza

18. Elehuris Montero

19. Delvin Perez

20. Scott Hurst


Honorable Mentions: Machado, Jones, Ynfante, Seijas, Sosa


쩌리모듬



TOP 20 유망주들이 어떤 경로로 구단에 입단하였는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최근의 상위라운드 픽들이 주류를 이루는 가운데, 트레이드 출신이 3명이나 들어 있는 것이 흥미롭다.

반면, 작년-재작년 사이의 돈질에도 불구하고 NDFA 쪽은 오히려 작년 리스트보다 비중이 줄었다.



다음은 TOP 20 유망주들의 포지션별 분포이다.



투수의 비중이 많이 줄어들고, 대신 야수가 늘어났다.

또한, 투수와 센터라인에 집중되어 있었던 작년 리스트와 달리, 3루와 코너 외야수가 늘어나면서 좀 더 고른 분포를 보이고 있다.


오프시즌 동안의 여러 트레이드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하이 마이너에 외야수가 많다. 아직도 로스터 정리가 필요한 것이다.



다음은, Ozuna 트레이드로 유출된 유망주 네 명을 포함시켰을 때의 순위이다.


1. Alex Reyes

2. Jack Flaherty

3. Carson Kelly

4. Tyler O'Neill

5. Ryan Helsley

6. Harrison Bader

7. Magneuris Sierra

8. Dakota Hudson

9. Jordan Hicks

10. Andrew Knizner

11. Sandy Alcantara

12. Zac Gallen

13. Max Schrock

14. Yairo Munoz

15. Randy Aronzarena

16. Jose Adolis Garcia

17. Austin Gomber

18. Oscar Mercado

19. Dylan Carlson

20. Elehuris Montero

21. Evan Mendoza

22. Scott Hurst

23. Jonathan Machado

24. Delvin Perez

25. Wadye Ynfante


Castano는 순위권에 들지 못했다.


중하위권의 순서가 위의 TOP 20과 조금 다른데, 이것은 각 평가자의 상위 25명만을 반영하는 집계방식에 기인한 것이다.


Sierra, Alcantara, Gallen, Castano를 포함한 각 평가자의 개별 랭킹은 아래를 참고하시기 바란다.




마지막으로, 댓글로 gicaesar님께서 건의해 주신, 크보 꿈나무 유망주를 투표에 붙여 보려고 한다.


물론 Memphis 로스터를 뒤져 보면 더 답없는 녀석들이 있지만, 이 투표는 어디까지나 유망주 리스트 시리즈의 일환이므로, HM 및 쩌리모듬에서 언급된 선수들 중에서만 후보군을 엄선해 보았다.


누가 누군지 잘 기억이 안 나신다면, 이 글 맨 위의 링크에서 HM이나 쩌리모듬 포스팅을 다시 참고하시면 될 것이다.



다음중 KBO에 올 가능성이 가장 높은 쩌리는?
 
pollcode.com free polls



그럼, 유망주 리스트는 다음 오프시즌에 다시 찾아 뵙는 것으로... ^^



p.s.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 남은 연휴도 즐겁게 보내시기 바랍니다..!

Posted by FreeRedbird
:

올해도 유망주 리스트와 함께 새해를 시작하게 되었다.

본격적으로 리스트를 소개하기에 앞서, 작년 HM와 쩌리모듬에서 슬리퍼를 찍은 결과를 리뷰해 보고, 올해의 드립 투표를 하려고 한다.


작년 유망주 리스트의 Honorable Mentions 포스팅에서는 Jordan Hicks, Jake Woodford, Ronnie Williams, John Gant, Edmundo Sosa가 소개되었다. 댓글 투표 결과를 보면...


주인장, jdzinn, skip - Hicks

lecter - Sosa

yuhars - Woodford

gicaesar, Grady Frew - Williams


후보들이 좀 후져서 약간은 재미없는 투표였던 것 같다. ㅎㅎ

얘네들 중 올해 랭킹에서, Hicks만 랭킹이 대폭 상승하였다.



이번엔 작년 쩌리모듬 중 슬리퍼 투표 결과이다.


주인장 - Jose Godoy, Dennis Ortega, Randy Arozarena

gicaesar - Arozarena, Tommy Edman

jdzinn - Darren Seferina, Bryce Denton, Nick Plummer

khar - Godoy, Edman

zola - Arozarena

yuhars - Carlos Soto


얘들 중에서 올해 가장 높은 순위에 랭크된 유망주는 Arozarena이다. 이넘 한 명만을 딱 찍어주신 zola님이 승자인 듯. ^^ 축하드립니다~~!!!



다음은 "올해의 드립" 투표이다. 일 년 동안 블로그에 올라온 명 드립을 모아 보았다.


1. NL Central과 한국 대선 (jdzinn님 4/28 프리뷰)


Series Preview: Cardinals vs Reds
  Cardinals - 11승 11패 .500 (NL Central 3위, 1.5 GB), Diff.-8 
  Reds       - 10승 12패 .455 (NL Central 4위, 2.5 GB), Diff.-2


문재인/ 안철수, 홍준표/ 심상정, 유승민의 1강 2중 2약 구도가 무색하게 1위부터 5위까지 3게임차로 딱 붙어 있다. 월시 우승을 차지한 문재인이 아직 어수선하고 안철수, 홍준표가 기대에 못 미친 탓도 있지만 Thames를 앞세운 유승민의 화력이 만만치 않은 게 크다. 한 번의 시리즈로 1위와 꼴찌가 바뀔 수 있는 상황. 다만, 심상정의 경우 추세가 좋지 않다. 시즌 초반 안철수, 홍준표를 패며 적립한 승수를 유승민(1승 6패)에게 고스란히 헌납한 것. 최근 13경기 3승 10패로 빠르게 원래 자리를 찾아가고 있다. 뻥야구를 앞세워 고추가루를 뿌릴 뿐 추세를 반전시키진 못할 것. 이번 시리즈는 똥경기력 마타도어로 샤이 승수를 결집 중인 홍준표의 우세가 유력하다. 

2. 우리도 마차도 샀잖아요 (jdzinn님)


EconBird 2017.07.13 10:41 신고 Address Modify/Delete Reply

외야 교통정리가 어떻게 될지 감이 안 잡히네요. 장기계약된 Piscotty와 Fowler, Grichuk과 Pham. AAA의 Bader, AA의 Sierra. 암만 유망주는 포지션 상관 없이 그냥 센 놈들 쌓아놓는 게 장땡이라지만 그게 메이저 레벨에선 아닌데요.. MO의 의도가 궁금하네요. 정말 payroll muscle로 마차도급 빅-뱃 하나 지르려나요. 물론 꿈이란걸 저도 알고, 우리 블로그 분들도 알고, MO도 알겠지요..


3. 데드라인 직후 팬들의 심정 (skip님)


저와 여러분이 아침에 일어나 데드라인 소식을 확인한 후의 기분이 이렇지 않을까 싶다



4. Leake 트레이드에 대한 바람직한 반응 (skip님)


Skip 2017.08.31 00:54 신고 Address Modify/Delete Reply

말 없이 디포토를 꼬옥 안아주셔야지 프런트가 리크를 팔아 넘겼어!로 해석하시면 또 불행해 질 것입니다 여러분...



5. 이것이! 주님이! 원하는 것! (skip님)


skip55 2017.09.05 23:26 신고 Address Modify/Delete Reply

“I’d be lying if I said it hadn’t bothered me for most of the year,” Carpenter said. “It’s been something I’ve been able to manage. It’s at a point where I don’t know if it’s wear and tear at the end of the season … It might not look good. That’s kind of where we’re at. I don’t think there is a move that is going to make it better or worse. It’s just going to need the offseason to get right ... Carpenter described the sensation as a “sharp pain pretty much every throw,” and then also on “most swings.”

어느 시점부터 어깨 통증을 안고 있었군요. 손목이나 허리 보다야 낫겠지만 만성적 어깨 통증을 안고 자기 스윙이 될리 없겠죠. Carp도 생각해보니 곧 32입니다. 노력의 양은 Yadi와 함께 감히 평가할 수 없을만큼 어마어마하겠으나 어느 정도 철강왕 기질을 타고 난듯 보이는 Yadi와 달리 Carp는 나이 먹으며 어찌 될지 모르는 타입이라 관리가 좀 필요하겠죠.

명민한 감독의 필요성은 여기서도 다시 드러납니다. Carp뿐 아니라, 말도 안되는 시즌을 보내고 있다지만 유리도 이런 유리가 없는 Pham, 2009년부터 150경기, 아니 140경기 이상 출전이 단 2 시즌에 그치고 있는 Fowler, 내년이면 36, 한국 나이로 37일 Yadi, 아직도 이해가 안가지만 뜬금없이 피로를 호소하고 추락한 Gyorko... 너희들도! 나처럼! 공에 이빨을 강타당해도! 피를 뱉으며! 터프하게! 근성! 이것이! 주님이! 원하는 것! 정신 주입이 아니라 자존심 강한 선수들을 설득하고 최상의 몸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전략적으로 머리를 굴릴 줄 아는 감독이 절실한데 말이죠...



6. 오프시즌 계획의 유병재식 해석 (ㅇㅇㅇ님)


ㅇㅇㅇ 2017.10.14 16:32 신고 Address Modify/Delete Reply

유병재식 해석을 빌려보면

Those are the hard questions that you have and we’ll make every effort to improve our club offensively…
우린 늘 그랬듯이 아무것도 안할 기분으로 아무것도 하기 싫다

I don’t think we have a lot to do there to be honest. 
우린 늘 그랬듯이 아무것도 안할 기분으로 아무것도 하기 싫다

We’d love to have an impact bat. We’re going to try to get one, but if you go around the lineup…We’re pretty solid at most positions.”
우린 늘 그랬듯이 아무것도 안할 기분으로 아무것도 하기 싫다

웨이니 내년 끝으로 풀리고 야디 2년남았고 돈이 지금도 쌓이고 앞으로도 계속 쌓일건데 안쓰고 무슨 옆동네 로리아마냥 착복이라도 하려고?

느낌상 FA지나고 '무스는 수비와 주루가 점점 헬인 공갈포 기운이나니 져코와 가르시아를 3루로 돌리면서 돈을 아낄수있다. 우리는 아직 건재함 땅땅땅' 이럴거같은 기분 껄껄껄


7. Yang Archer (skip/gicaesar님)


gicaesar 2017.12.16 18:58 신고 Address Modify/Delete Reply

나흘 전에 딸이 태어나서 그깟 공놀이...하려고 했는데 답잖게 뭔가를 많이 하네요 ㅎ 아직 신생아인데다 조리원에 있다보니 애기랑 엄마랑 잘 때 오히려 조금씩 짬이 나서 요즘 루머들 들여다보는데, 글쎄요. 진짜 A 플랜대로 제대로 밀어붙이기만 하면, 가을쯤 다시 야구란걸 들여다볼 때에도 경기를 하고 있으려나요?

저는 왠지 마차도 데려와봤자 헤이워드 넘버투 되는거 아닌가 싶어서 끌리지 않고, 차라리 레이스랑 규모 큰 딜을 했으면 싶네요. 이제는 카즈뽕이니 위닝 멘탈리티 따위 가지고 선수들 오지 않는다는건 차고 넘치게 증명됐으니 복지부동을 탈피해서 적극성을 어필해야지 않을까 싶습니다. 이거 때문에 안돼, 저것 때문에 안돼가 몇 년이 지나다보니 아무 것도 안하는 이미지가 너무 굳어졌어요. 어차피 일이년간은 중부지구 확실한 리더로 올라가긴 힘들테니, 좀 긴 호흡으로 팀컬러 좀 바꿔봤으면 합니다.

어차피 전 이제 당분간 야구든 농구든 축구든 공놀이는 못보겠지만...ㅎㅎ

  • Skip 2017.12.17 11:38 신고 Address Modify/Delete

    축하드립니다! 빅딜을 기원하는 뜻에서 따님 이름을 아처...는 아니고, 세상에서 가장 예쁘고 똑똑한 딸이 되기를 기원하겠습니다 


  • (중략)


  • gicaesar 2017.12.17 12:08 신고 Address Modify/Delete

    축하해주신 분들 모두 감사합니다! 딸래미도 카즈 팬으로 키워야 하나, 정확히 말하면 공놀이를 알려줘야 하나 심각하게 고민중인데, 그렇게 되겠지요 ㅎ

    그리고 skip님, 제 성씨가 양가라서 그 이름은 차마...ㅋㅋㅋ


자 이제 투표의 시간입니다..!!



다음 중 2017년 최고의 드립은?
 
pollcode.com free polls


Posted by FreeRedbird
:

주인장님께서 많이 바쁘신지라 제가 대신 올립니다.


블로그 오시는 분들 모두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하시는 일마다 모두 대박 나시고, 무엇보다 건강/무탈한 한 해가 되었으면 합니다.


아울러 주인장님께서 2016년 새해 인사에 언급하셨던 것 그대로, 안 그래도 험하고 힘든 세상, 이 거지 같은 공놀이에 너무 흥분하지 않고 야구, 메이저리그, 카디널스, 이 블로그 모두 우리 삶을 즐겁게 만드는 요소가 되었으면 합니다.


한 해 동안 함께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출처: http://birdsnest.tistory.com/search/새해 [Redbirds Nest in K


함께 해주신 분들께 다시 한번 감사 말씀 드립니다 :)

Posted by skip55
:
어느새 2016년의 마지막 날이 되었습니다.
올해는 정말 여러가지 일이 많았던 것 같습니다... 어떻게 시간이 갔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여기 오시는 분들 모두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2017년 새해가 되면 유망주 리스트로 곧 찾아 뵙겠습니다.

항상 감사합니다. ^^



Posted by FreeRedbird
:

안녕하세요. 어느새 2015년 마지막 날이 되었네요.


갑자기 바빠지는 바람에 요즘 좀 뜸했습니다. 유망주 리스트도 아직 포스팅을 못 하고 있습니다. 기다리는 분들께는 죄송하다는 말씀 드립니다. 1월 초부터는 정상적으로 글이 올라올 것입니다.


어느새 이 블로그가 생긴 지도 일곱 시즌이 지났습니다.

함께 웃기도 하고 욕하기도 하며 같은 팀을 응원해 왔습니다.


이건 저부터도 잘 안되는 것이긴 합니다만, 그깟 공놀이(?)에 너무 흥분하지 마시고... 야구, 메이저리그, 카즈, 이 블로그 모두 삶을 즐겁게 만드는 요소가 되었으면 합니다. 내년엔 어쩌면 올해보다도 더 욕 많이 나올지도 모릅니다만... 그래도, 같이 즐겨 봅시다. ^^


한 해 동안 함께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블로그 주인장 드림



p.s. 백혈병으로 안타깝게 세상을 떠난 Joe Strauss의 명복을 빕니다. 그동안 참 고마웠습니다.

Posted by FreeRedbird
:

포스팅까지 하기엔 영 허접스럽지만, 이래저래 소식 잡혔던 놈들만 간단히 정리해 봅니다. 사실 윈터미팅때 접했던 소식이지만 이때 풀려고 안고 있던 것들도 몇 있네요.


Stephen Piscotty: Winter Warm Up 정리글에서 학위 마치고 살짝 스윙 교정을 했다고 전해드렸습니다. 긴 팔을 이용해서 extension을 좀 더 뽑아낼 수 있는 작업이었다던데 스캠서 면밀히 확인해볼 수 있겠지요. AAA 코치와 시즌 막판 교정 작업을 진행한 걸 이어받아 이를 마무리한 스탠퍼드대 코치 Brock Ungricht씨는 이번 수정으로 당사자가 다음 시즌 보다 나은 power number를 기록할 수 있을거라 확신한다 밝혔습니다.

Rob Kaminsky: 올해도 혹독한 체력훈련 등을 소화했고, Marco Gonzales에게 달라붙어 changeup 연습 삼매경에 빠져있었다고 합니다.

Marco Gonzales: 마침 PD에 기사가 실렸네요. 요가 등을 통해 유연성을 기르는데 중점을 뒀다는데요. 투구 관련된 부분으로는 지난 시즌 막바지 웨이노의 도움으로 가다듬기 시작한 two-seam과 cutter를 손보는데 주력했다고 합니다. 무슨 말만 나오면 다 waino 아니면 yadi인데 투수코치 양반은 참 날로 먹어도 이리 날로 먹을수가 없습니다.


Tim Cooney: VEB에 인터뷰가 실렸고, lector님이 나오자마자 댓글로 소개시켜 주셨죠.

Luke Weaver: 죽었는지 살았는지 모르겠습니다, 2-3년 뉴스를 뒤지다보니 1라운더 정도면 보통 겨울에 기사 하나는 뜨던데 이렇게 쥐죽은듯 조용한 놈은 또 처음이네요.

Jacob Wilson: 오프시즌 좀 더(조금O, 많이X) 파워를 뽑아내기 위해 노력중이라던데 뭔가 하고 있는거 같습니다. 꼭 메커닉 수정을 의미하진 않겠죠. 벌크업일수도 있고. 상세한 뉴스나 경기 동영상을 기다려봐야겠네요.

Sam Tuivailala: AFL 연장선상에서 curve와 changeup을 가다듬고, 빅리그 로스터 불펜 한자리를 목표로 땀흘리고 있다는군요.


Aledmys Diaz: 여전히 100%가 아닙니다. 마이너 개막전 맞춰 100% 복귀 목표로 훈련 중입니다. Goold는 건강할 경우 강력한 미드시즌 승격 후보로 꼽고 있습니다.

Carson Kelly: 수비야 처음부터 기대 이상에 구르는 만큼 느는거고, instructional league서 타격 메커닉에 역시 몇가지 수정을 가했다는데 실전에서 보여줄 수 있길(응용하기를) 기대한다네요.

Rowan Wick: 가장 오프시즌 인터뷰가 기대됬던 선수인데 아쉽게도 이름값의 한계인지 구글링의 한계인지 찾을수가 없네요.

Mason Katz: 알려진대로 캐칭 훈련을 계속하고 있다 합니다. STEP 프로그램서도 포수로 기용될 예정이고, Carson Kelly가 빅리그 선수들(Yadi)과 쭉 연락을 주고 받고 있는데 Kelly를 통해 그들의 노하우를 간접적으로 계속 흡수할 수 있길 기대한다는군요. 타석에선 잦은 오버스윙 자제를 통해 좀 더 높은 타율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하구요.


Chris Perry: 8월 말부터 어깨가 좀 안좋았고, AFL 중반쯤 셧다운 됬죠. 때문에 쭉 쉬다 1월 말부터 던지기 시작했고, 오래 안던져서 어깨에 약간 통증이 느껴지지만 별 문제 없이 컨디션 슬슬 끌어올리는 중이라 합니다. 오프시즌 트레이닝은 무엇보다 arm strength 되찾는데 초점을 맞췄다네요.

Mitch Harris: 팀이 전화로 스캠 결과에 따라 빅리그 로스터에 들어갈 수 있는 찬스가 열려 있으니 준비하고 오라 했다더군요. 자기 생각에도 대학시절 구속이 확실히 돌아왔다 보고, 많은 나이 생각 안하고 꿈을 위해 정진하고 있고, 또 앞으로도 쭉 하겠다고.

Nick Petree: 역시 첫 풀타임 선발 소화 후 육체적, 정신적으로 긴 시즌을 소화하는데 철저한 준비가 필요함을 깨달아 이쪽에 포커스를 두고 훈련했다네요.

Zach Petrick: 겨울 소식은 아닙니다만, 지난 시즌 막판 불펜투수로 뛰기 시작했는데, 아예 불편으로 전향하는 건지 어떤건지 주목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Jimmy Reed: 집이 가까운(텍사스) Lackey가 뜬금 연락해와서 몇번 같이 훈련했다는군요. 올 한해 보다 꾸준하고 공격적인 투수로 발돋움하고 싶댑니다.


John Gast: PD 기사에 따르면 확실히 몸이 돌아왔다고 합니다. 선발등판시 최고 92-3mph 깔짝 찍어대던 Gast의 구속은 최고 88mph 수준까지 3-4mph 뚝 떨어졌었죠. 재작년 빅리그 데뷔 시점에 이미 어깨 맛이 가 있던 상태였구요. 정상적이라면 Lyons와 비슷한 레벨이고, changeup과 pickoff(?)라는 확실한 무기가 있는지라 한번 지켜볼만 합니다.

Seth Blair: 불펜 투수로 잠깐 뛰어봤는데, 확실히 적응하기 위해 특히 마인드 부분에 신경써서 훈련했다고. 선발서 불펜 전향한 투수들의 뻔한 말 그대로 복붙했습니다. 올해가 아마도 마지막 기회일텐데요.
Jordan Swagerty: 살아 있습니다. 마운드 위에서 공도 던지고 있습니다. 올해는 정상적으로 던지긴 하려나 봅니다, 얼마나 회복이 가능할진 몰라도.

Nick Greenwood: 간혹 좌타자 상대 직구 구사할 때 팔각도가 내려가는 걸 캐치하고, 이참에 아예 변화구 구사 시에도 더 낮은 각도로 던지게 딜리버리를 변경했다고 합니다. 올해 결혼한 많은 선수들 중 하나기도 하죠.

Dean Anna: 2013년 AAA 타격왕 먹고, 지난시즌 최악의 한해를 보낸 극과 극 속에서 많이 배웠으며, 그에 따라 오프시즌 육체적, 정신적으로 단단히 준비하고 있다 밝혔습니다.


끝으로 블로그를 찾아주시는 모든 분들 새해 복 많이 받으시길 기원합니다. 좋은 일만 가득하시길!

Posted by skip55
:

진격의 유망주 리스트, 드디어 10위부터 6위까지 올라간다.


10. Sam Tuivailala (RHRP)

DOB: 1992/10/19, Bats: R, Throws: R

Became a Cardinal: 2012년 드래프트 1-서플라운드 지명(전체 86위), 계약금 $1.6M

2014 Teams: Palm Beach(A+), Springfield(AA), Memphis(AAA), St. Louis(MLB)

Individual Rankings: jdzinn 9위, lecter 12위, skip 12위, yuhars 13위, 주인장 9위

Pre-2014 Ranking: NR



(사진: USA Today)


Comments

(lecter)

- Overall 26 = Proximity 4*2 + Potential 1*3 + Production 4*3 + Position 1*2 + Pick 2*1


- (+): 야잘잘/잘놈잘. 투수 전향 2년 만에 이 정도로 빨리 성장할 줄은 몰랐다. 마이너 상대 타자들에게 100마일의 패스트볼과 각이 좋은 브레이킹 볼은 큰 벽이었다. Tui는 자신이 상대한 타자의 37.9%를 삼진으로 돌려 세웠으며, 제막질 수준의 컨트롤을 봐줄 만한 정도의 컨트롤로 잡은 듯 하다. 비록 1이닝이지만 메이저에 데뷔하는 기쁨도 누렸다.


- (-): 패스트볼은 빠르긴 하지만 작대기다. 메이저에서는 조금만 잘못 던져도 분명히 담장 밖으로 넘어간다. Springfield에서 FIP(1.69)가 환상적으로 보이긴 하지만, 홈런을 하나도 맞지 않아서 어느 정도 운도 작용한 수치이다. 커맨드도 많이 좋아지긴 했지만, 더 개선이 필요하다. 비슷하게 100마일 작대기 패스트볼을 가진 Motte도 볼질하고 홈런 맞던 2009년에는 사람 구실을 못 했고, 이후에 제구 잡은 이후에야 강력한 구원 투수가 될 수 있었다. 사실 모든 게 구력이 짧은 데에서 기인한 것일 수 있는데, 결국은 시간이 해결해야 할 문제들이다.


- (&): 2010년으로 돌아가서 Zach Cox, Seth Blair, Tyrell Jenkins, Jordan Swagerty, Sam Tuivailala 중에 성공할 확률이 가장 높은 선수를 뽑으라고 했을 때, Tui를 뽑은 사람이 몇 %나 될까? Jenkins가 아직 남아 있으나 다른 팀 선수일 뿐이고, 뒤에 Stanley, Garcia는 좋은 선수지만, 팀에 큰 impact를 주긴 어렵다. Tui가 승자라니...


- Projection:  Memphis에서 시작하겠지만 우완 구원 투수가 부족한 팀 사정상, 얼굴을 여러 번 볼 수 있을 것이다. 마침 아주 비슷한 유형의 투수가 입단했다. comparison은 Jordan Walden.



(skip)

100mph. Rosenthal과 CMART에 이어 triple digit 찍어줄 투수가 다시 하나 나타났다. 딜리버리 안정화가 잘 진행되면서 제구도 사람 구실은 하게 되었고, 자연스레 first-pitch strike 집어넣는 방법도 통달, 보기좋게 올해의 깜짝 스타로 거듭난 것. 광속구와 함께 누구는 slider네 누구는 curve네 말이 많지만, 본인 입으로 ‘curve’를 던진다고. 감은 있으나 구력 짧은 모든 투수들이 그렇듯 각도는 괜찮지만 커맨드가 문제. 발전 과정에 대해 대체로 낙관정인 평들이 많으나 까봐야 아는 것이다. 사실 마이너 시즌 초반 curve대신 changeup을 세컨피치로 내세웠다는 뉴스가 있었는데, 잘 안된건지 아니면 던지다 보니 curve가 훨씬 나아보여 다시 플랜을 바꾼건지 모르겠다.

눈 앞에 놓인 가장 큰 문제는 역시 투수 전향 2년차의 메커닉 문제. 많이 나아졌다지만 아직 release point 놓는게 들쑥날쑥 한데, 막대기 직구화에 ??? 같은 커브는 다 이 때문인듯, 특히 커브. 확인해보진 않았으나 뻔할 뻔자다. 그래도 하체 중심 이동시 밸런스는 흔들림 없어 보인다. 결국 Arm action과 arm slot 고정에 달려 있을 듯.


Cutter와 뭐시기를 익혀서 어쩌고 하며 AFL간 Harris나, 역시 1루 포지션 소화에 확실한 스프레이 히터로 거듭나겠다 어쩌고 하며 AFL 간 Jacob Wilson과 달리 팀은 Tui에겐 “이런저런 생각하지 말고 그냥 가서 AA, AAA 타자들 상대로 신나게 던져보고 와라”로 일관했다 전해지는데, 이 와중에도 Tui는 off-speed pitches 테스트를, 같이 있던 Simontacchi는 앞서 말한 release point 교정 작업을 도왔다고 한다. 성과가 있었는진 모르겠다.


Goold 말에 의하면 다음시즌 어느 시점에 모습을 드러낼 것은 확실하다고. 그만큼 발전속도에 대한 기대가 크긴 큰 모양이다. Curve와 control, command가 꼭 크게 좋아지지 않고 평균 정도만 되더라도 7회 정도 막아줄 릴리버론 충분할 것이다, 물론 우리의 기대는 그것보다 훨씬 크지만.


아시는 분들은 아시겠으나 인간적으로도 멋진 선수다. 훈련하는거, 아니 땀흘리는 과정 자체를 좋아하고, 여러가지 봉사활동도 많이 하고, 팬 서비스도 좋다 알려져 있는데다, 무엇보다 언제 어떤 동영상을 봐도 항상 웃고있는 그런 꼬마. 마곤, 로지와 함께 아주 불펜서 순둥순둥함이 넘쳐 흐르게 만들어 줄 듯. 본인 코멘트의 막줄은 대부분 마인드에 대한 내용이므로 지겨우신 분들은 그냥 넘기셔도 좋다. 어짜피 다 좋은놈들이다. 우린 나쁜놈은 당대의 재능이라도 절대 안뽑는다. 혹 아직 모르시는 분들 계실까봐.


(yuhars)

- 배경: 타자로 드랩이 되었지만 실패하고 투수로 전향한 Tuivailala는 투수로 전향한지 2년차인 2013년에 투수로서 조금씩 두각을 드러내기 시작하였고, 3년차인 올해 무려 3개의 마이너 레벨을 경험하면서 메이저리그까지 데뷔하는 등 개인으로서 최고의 한 해를 보내었다. 


- 장점: 비록 투수로 전향한지 오래되지 않았지만 Tuivailala가 가지는 최고의 장점은 기본 90마일 후반에서 100마일까지 찍어내는 빠른 볼이다. Tuivailala는 이 빠른 볼을 주무기로 하여 마이너 리그 3시즌 통산 K/9 14.1이라는 높은 수치를 기록하였고, 이 수치는 단순히 볼이 빠르기만 한 것이 아니라 그만큼 위력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얼마 되지 않은 투구 경험에도 불구하고 3년 동안 BB/9을 9.0 -> 5.1 -> 4.0로 발전시켜 왔으며, Whip도 1.9 -> 1.4 -> 1.2로 꾸준하게 발전시켜 왔다. 이러한 수치는 Tuivailala가 투수로서 좋은 감각을 가졌다는 것을 의미함과 동시에 투수로 전향한 이후 얼마나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는지를 보여준다고 하겠다. 또한 세컨드 피치인 파워 커브도 플러스 피치의 움직임을 보인다고 한다.


- 단점: 투수로 전향한지 얼마 되지 않은 선수답게 역시 컨트롤이 문제다. 이건 투수로 전향한지 3년밖에 안 되는 선수에겐 당연한 약점이다. 매년 BB/9이 발전해 오긴 했지만, 올해 메이저에서 보여준 모습으로는 여전히 메이저에서 통할 정도의 제구력을 갖추지 못했음을 겨우 1이닝의 투구만으로도 명확하게 보여주었다. 뿐만 아니라 Tuivailala의 최고의 무기인 빠른 볼도 꾸준하게 구위를 유지하지 못하고 간간히 볼만 빠른 작대기 직구의 모습을 보여준다는 것도 Tuivailala가 가진 약점이다. 최고의 무기인 빠른 볼도 제구가 잘 안되면서 구위가 왔다갔다 거리는데 세컨드 피치는 오죽하겠는가? 결국 이러한 약점들은 Tuivailala가 매년 꾸준하게 발전하여 왔지만 아직은 투수로서 일정하게 던지지 못함을 나타내며, 이 약점을 얼마나 잘 극복하느냐에 따라 Tuivailala가 메이저에 안착할 수 있을지 아니면 잠깐 반짝한 선수로 남을 건지를 결정해 줄 것이다. 


- 잠재력: 잘 풀리면 평균 이상의 마무리 또는 필승조, 현실적으로는 마이너와 메이저를 왔다 갔다 거리는 불펜


- 종합: 좋은 체격조건, 100마일을 넘나드는 강력한 구위, 그리고 높은 삼진율을 가진 Tuivailala는 분명히 매력적인 투수이다. 하지만 아직은 메이저에서 활약할만한 선수가 되기에는 부족하다는 것 또한 사실이다. 그렇기 때문에 Tuivailala는 지금껏 그래왔듯이 내년에도 발전된 모습을 보일 필요가 있다. 아마 2015년은 AAA에서 시작할 것이며, 만약 매년 그랬듯이 계속 발전하는 모습을 보인다면 우리는 불펜에 큰돈 들이지 않고도 좋은 불펜 한명을 얻게 될 것이다.



9. Jacob Wilson (2B/3B)

DOB: 1990/07/29, Bats: R, Throws: R

Became a Cardinal: 2012년 드래프트 10라운드 지명, 계약금 $20K

2014 Teams: Palm Beach(A+), Springfield(AA)

Individual Rankings: jdzinn 15, lecter 6, skip 11, yuhars 10, 주인장 10위

Pre-2014 Ranking: 18위



(사진: MiLB.com)


Comments

(lecter)

- Overall 30 = Proximity 4*2 + Potential 2*3 + Production 4*3 + Position 3*2 + Pick 1*1


- (+): Springfield에서 한창 잘 치고 있을 때 당한 부상이 너무나도 안타깝다. 어느 정도 regression은 피할 수 없었겠지만, wRC+ 153은 그래도 인상적이다. 어프로치를 바꿔 작년에 지적 받았던 낮은 LD%와 극단적인 플라이볼 성향을 어느 정도 개선했고(LD% 17.1%), 홈런이 줄은 것처럼 보여도 플라이볼 자체가 줄어서 그렇지 실제 플라이볼 대비 또는 컨택 대비 홈런 비율은 지난 해와 별 차이가 없다. 2/3루 수비가 안정적이라고 알려져 있는데, AFL에서는 1루 알바까지 뛰었다. 팀 사정상 그랬던 것인지 자신이 자청했는지는 모를 일이지만.


- (-): 배트가 잘 맞아서 뻥뻥 휘둘렀나? 나쁘지 않았던 출루 능력은 오히려 후퇴했다. 또한, 어프로치를 컴팩트하게 바꾸었음에도 삼진은 조금 더 증가했는데, 이건 상위 레벨로 올라가면서 자연스럽게 보정된 결과로 보인다. 다만, 작년 성적만 보고서 컨택 능력을 Piscotty 바로 밑의 60 정도로 과신했는데, 확실히 그 정도 수준은 아니다. 55 정도가 적당하다. 높아진 LD와 BABIP가 한 해 fluke은 아니었는지도 좀 더 검증이 필요하다.


- (&): 2012 리스트에서 혼자 Ryan Jackson을 6위에(다른 분들은 11/10/11/10), 작년 2014 리스트에서 또 혼자 Greg Garcia를 7위에(다른 분들은 13/15/12/14) 올렸는데, 이번에 또 “10위권 미들 인필더 5위권에 놓기”를 시전하고 나니, 이게 뭔가 싶다. 한 놈은 선수 생명이 거의 끝난 것 같고, 또 한 놈도 이 팀에서의 가능성이 점점 희박해지고 있는데, Wilson은 두 놈의 전철을 밟지 않기를 바란다. 


- Projection: VEB의 red baron은 Wilson을 무려 Allen Craig 2.0에 비교했으나, 암만 2014년 Springfield 성적이 Craig 냄새를 나게 해도 그 정도 클래스는 아니다. 이 팀에서는 내야 백업의 운명이지만, 우타자이고 운동 능력이 있으므로 쓰임새가 작지 않을 것이다. 이 팀이 아니라면 하위 팀 주전을 차지할 average player는 충분히 될 수 있다. comparison은 Daniel Murphy, Gordon Bechkam.


(주인장)

여기까지 보셨으면, 순위는 차치하더라도 남은 상위권 8명이 대충 짐작되실 것이다. 주인장은 특히 하이 마이너에서 스탯으로 자신을 증명해 보이는 유망주를 좋아하는데(누가 안 좋아하겠느냐마는, 주인장은 낮은 레벨의 덩어리들에 비해 이런 선수를 특히 선호한다), 팜에서 몇 년 동안 줄기차게 뽑아 쓴 결과 그런 선수는 거의 씨가 말랐다. AA 이상 레벨에 남은 선수는 재미없는 선수들이 대부분이고, 좀 더 임팩트의 가능성이 있는 유망주는 모두 한참 멀리 있다. 이런 상황에서, AA까지 올라와서 멋진 스탯을 찍어준 Jacob Wilson의 존재는 참 반가웠다.


그동안 우리는 외부에서 별 주목을 받지 못하던, 히팅 원툴 유망주들이 이 팀에서 지속적으로 성공하는 모습을 보아 왔다. Allen Craig이 그랬고, Matt Carpenter가 그랬으며, Matt Adams가 뒤를 이었다. 이들은 마이너리그에서 매 레벨 좋은 타격 성적을 찍었고, 메이저에서도 성공을 이어갔다. 굳이 설명할 필요도 없이, 이 구단은 이런 류의 “저평가된” 선수들을 발굴하고 키워내는 데 탁월한 능력이 있다. 마침 Wilson은 2루, 3루를 모두 볼 수 있다는 장점까지 있으니(심지어 AFL에서는 1루까지 봤고, 유격수 수비 훈련도 했다고 한다), 앞의 선수들이 그러했듯이 벤치에서 시작하여 주전으로서의 가능성을 평가받게 될 것이다.


내야 멀티로서, Ty Kelly와 Aledmys Diaz가 메이저 로스터 진입의 주요 경쟁자가 될 것이다. Kelly에게는 경험에서 뒤지고, Diaz는 메이저 계약을 가지고 있으므로, 부상이 무더기로 발생하지 않는 이상 아마 이 둘을 먼저 써보고 나서 2016년쯤 Wilson을 올리지 않을까 싶다. 2015년은 Springfield와 Memphis에서 보내게 될 듯.


(skip)

Piscotty와 함께 Mcarp 이후 끊겨버린 카디널다운 타자 계보를 이을 유력한 후보. 출신 학교부터 포지션, 데뷔 후 비슷한 스탯까지 Dan Uggla의 길을 착실히 걸어가던 Wilson은 올 한해 스타일이 꽤나 바뀌었다. 지난 글서 주인장님의 반복된 언급으로 이미 짐작들 하시는 그런 스타일로.


찬찬히 보자. 낮은 타율과 10%가 넘는 BB%, 20개 남짓한 대포를 뿜었던 작년과 달리 이번시즌 283타석서 고작 5개의 홈런에 그쳤으나 반대로 2루타 갯수를 2배 가까이 늘리며 스프레이 히터로 발돋움했다. A+와 AA 양쪽 모두서 FB%가 크게 감소했고, LD%는 5%, GB%는 10% 가까이 상승한 것이 이를 증명한다. 다분히 의도된 변화인데, 본인 스스로 올시즌 가장 큰 수확은 2스트라잌 상황서 빠따를 짧게 잡아 밀어쳐 안타를 만들어내는 과정을 확실히 몸에 익힌 것이라 말하고(실제로 볼카운트 몰리면 여지없이 혼수상태에 빠지는 여러 툴가이들과 달리 Wilson은 Piscotty와 마찬가지로 리그에서도, AFL에서도 behind in count 상황서 대단히 훌륭한 성적을 찍었다) 또 필드 전체를 활용하는 타자로 거듭나고 싶다 목에 힘줘 말한 것이 그 증거. 실제로 잡아당긴 타구가 작년에 비해 확 줄었으며 단순한 스윙빈도 자체도 줄었다. 마지막으로 작년과 간단히 비교해보면 무게중심이 살짝 더 앞으로 쏠린 걸 볼 수 있으며, 스트라이드도 조금 더 좁힌 것을 확인해볼 수 있다.


대학시절 주 포지션이 3루였으나 주니어 무렵 장차 살아남기 위해 2루로 전향했는데, 어느덧 2루 수비는 꽤 호평 받고 있다. 스탶들은 Wilson의 수비가 팜내 다른 어떤 2루수와 견주어도 떨어지지 않는다 말하고 있고, 가장 큰 특징은 안정성인듯. 빠른발에 따른 넓은 레인지나 눈에 띄는 본능적인 화려함은 없지만, 강한 어깨와 기본기 잘 잡힌 풋워크, 손동작을 바탕으로 실수 없이 견실하게 막아줄 건 다 막아주는 스타일. 또한 수비진의 리더로서 Mejia와 함께 계속되는 쉬프트 상황(다른팀들과 마찬가지로 카디널스도 마이너 수비 쉬프트 사용 빈도를 매년마다 늘리고 있다)을 필드서 적절히 지휘하며 리더쉽과 영리함을 뽐냈다고 한다.


팀도 자신도 쏠쏠할 유틸리티 플레이어로서의 가치를 잘 알고 있다. 그러기에 AFL서 야구 시작한 이래 처음으로 1루수로 투입된 것이고, 아직 실전 투입된 적은 없다지만 work out서 유격수 훈련까지 종종 소화한 것. 누가 알겠나, 고산지대로 떠난 누구처럼 뜬금없이 유격수로 투입되어 그대로 굳어질지. 좋은 2루 수비와 봐줄만한 1,3루 수비, gap power, 그리고 무엇보다 어느 상황에서든 단순한 인플레이 타구가 아닌(누굴 까는게 아니다 절대) 확실한 hard hit을 만들어 낼 수 있는 야수. Wilson은 높은 확률로 빅리그에 모습을 드러낼 수 있을 것이다. 혹시 아는가, Mcarp와 Craig처럼 쓸만한 빠따질 갖춘 유틸리티가 다시 한번 올스타로 성장하는 모습을 보게 될지. 특히 Wong이 부풀어진 기대감을 충족시켜주지 못할 시 반드시 눈여겨 볼 만한 내부 대체제로 꼽히게 될 것이다.



8. Luke Weaver (RHSP)

DOB: 1993/08/21, Bats: R, Throws: R

Became a Cardinal: 2014년 드래프트 1라운드 지명(전체 27위), 계약금 $2M

2014 Teams: GCL(R), Palm Beach(A+)

Individual Rankings: jdzinn 14, lecter 10, skip 9, yuhars 7, 주인장 8위

Pre-2014 Ranking: NR



(사진: USA Today)

Comments

(주인장)

나는 랭킹을 만들고 코멘트를 쓰기 위해 Weaver의 투구 영상과 사진을 꽤 열심히 들여다보았고, 솔직히 말하자면, 실망스러웠다. 전형적인 inverted W 투구폼, 그런 폼에서 mid-90의 구속을 이끌어내려면 당연히 뒤따르는 “무리하게 빠른” arm action, 역시 inverted W에서 흔한,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hip/shoulder separation 등등… 이 녀석 투구폼은 정말로 마음에 들지 않는다. 매 투구마다 일정하게 반복은 잘 하고, 덕분에 릴리스 포인트도 잘 유지한다는 것이 장점이긴 하다만.


아마도 구단은 제구가 되는 90마일대 초중반의 패스트볼과 쓸만한 체인지업 콤보를 보고 뽑은 것 같다. 그리고 바로 뒤에 Jack Flaherty를 뽑으면서, 나름대로 high floor와 high risk/reward의 조합이라고 생각했을 것이다. 저 두 개의 구질이 제대로 먹히면 브레이킹 볼이 후져도 4-5선발이나 셋업맨 정도는 될 테니 그럭저럭 high floor라고 할 수는 있겠다. 그러나 지금의 커브인지 슬라이더인지 잘 모르겠는 브레이킹 볼은 너무 후져 보이고, 앞으로 얼마나 발전할지도 미지수이다. 무엇보다도 내구성이 의심스럽다. 게다가 벌써 구속이 감소했다는 이야기까지 있으니 더욱 우려된다.


Weaver를 개인 랭킹 8위에 올린 것은, 상당부분 구단의 1라운드 첫 픽에 대한 신뢰에 기반한 것이다. 그동안의 성공사례가 많다보니 이제는 “에이 뭔가 믿는 구석이 있겠지”라는 생각이 드는 것이다. 개인 순위에서 바로 앞이 Tui와 Wilson인데, Tui는 이미 릴리버 확정이고, Wilson은 매력적이었으나 1라운더를 앞설 만큼은 아직 안 된다고 느꼈다. 일단은 풀시즌 마이너에서 1년 내내 보여주는 모습을 볼 때까지 이 정도에서 판단을 유보하고자 한다. 내년에 선발로 굴려보고 영 아니다 싶으면 차라리 재빨리 릴리버로 키워서 메이저에서 빨리 써먹는 것도 방법일 듯. 물론 그렇게 될 경우 순위는 한참 밑으로 내려가게 될 것이다.


그리고 투구폼에 대한 우려도, Sale이나 Burnett이 증명하듯이 어디에나 예외라는 것이 존재한다. 사람에 따라서는 무리한 투구폼을 견딜 수 있는 축복받은 신체를 지닌 경우도 있는 것이다. 어차피 투수가 10년 20년 건강하기를 기대하는 것은 무리다. 그냥 FA 되기 전까지만 버텨주길 바란다.


(jdzinn)

-Outlook : FSU 출신의 1라운드 27픽. 난민을 연상케 하는 6-2/170의 프레임에 태생적인 어좁이. 소포모어 시즌에 주가를 높였지만 구속 저하와 세부 스탯 하락을 겪으며 평범한 주니어 시즌을 보냈다. GCL을 간단히 섭렵하고 Palm Beach로 이동했으나 처참하게 쳐맞은 뒤 이닝 제한으로 셧다운. 근래 보기 드문 정통파 inverted-W의 보유자다. 


-Fastball : 소포모어 시즌에 평균 91-94, 최고 97마일을 찍다가 올봄 89-92로 감소, 다시 드랩 전후로 반등했다는 소식. 정확한 구속은 내년 시즌에 알 수 있겠으나 low 90을 평균치로 잡는 게 합리적 추정이다. 주로 우타자 바깥쪽을 공략하는 커맨드가 쏠쏠하다는 평가인데, 상습적으로 한복판 높은 코스에 승부구를 던지는 걸로 봐선 그냥 컨트롤만 좋은 것 같다. 공 자체는 의외로 힘이 있으나 상위 레벨에서 그런 식으로 던졌다간 골로 가기 십상이다. 


-2nd Pitch : future 60으로 평가받는 체인지업. 현재는 solid average 수준으로 Wacha나 Gonzales처럼 확실한 플러스 피치가 아니다. 무브먼트 자체보단 빠른 arm speed에서 파생된 디셉션에 강점이 있다. 


-3rd Pitch : high 70에서 형성되는 슬러브. 평균 이하의 구질이며 감 자체가 없어 향후 발전도 요원하다.


-Overall : ‘딱히 뽑을 놈도 없지 않았느냐’는 핑계는 접어두자. 저질 사이즈, 위험한 arm action, 별로 인상적이지 않은 2-pitch 조합까지. ‘믿거나 말거나 카즈에 뽑히길 바랐다’는 이 유쾌한 청년의 픽은 아무리 좋게 보려고 해도 긍정적인 면을 찾기 힘들다. 특히, 정석적인 inverted-W에 지나치게 호쾌한 arm action 조합이 압권. 딜리버리 자체는 repeatable하고 안정적이지만 보고 있으면 힘이 든다. mock draft에서 강하게 링크됐으나 건강 문제로 거른 듯한 Luis Ortiz와 비교해도 이쪽이 먼저 뻗을 것 같다. 


스탯 상으로 딱 한 가지 눈에 띄는 부분은 구속 감소에도 불구하고 K%를 제외한 세부 스탯이 거의 손상을 입지 않았다는 것. 투수로서의 성숙함은 어느 정도 갖췄다는 뜻이다. 허나 선발로 던지려면 우선 벌크업부터 하고 싱커, 커터와 같은 제 3의 구질을 장착해야 한다. 외관이나 BB%만 보고 Tim Hudson, Bret Saberhagen에 비교하는 건 가당치도 않다. 현재로선 최대 구속으로 짧은 이닝을 책임지는 late inning reliever로 프로젝션하는 게 냉정한 평가다. 


-Projection : Seth Blair, Joaquin Benoit, Tyler Clippard



7. Tim Cooney (LHSP)

DOB: 1990/12/19, Bats: L, Throws: L

Became a Cardinal: 2012년 드래프트 3라운드 지명, 계약금 $404K

2014 Teams: Memphis(AAA)

Individual Rankings: jdzinn 6, lecter 8, skip 7, yuhars 8, 주인장 7위

Pre-2014 Ranking: 6위



Tim Cooney

(사진: USA Today)


Comments

(jdzinn)

-Outlook : 적절한 사이즈, 적절한 구속, 고전적인 4-pitch 레퍼토리, 깔끔한 딜리버리, 깨끗한 메디컬 리포트까지 좌완 선발의 클리셰라고 불러도 좋은 프로필의 소유자. Memphis의 단일 시즌 최다승 기록을 세우며 PCL 다승 1위, 방어율 4위에 올랐다. 그러나 BB/K, HR/9 등의 세부 스탯이 모두 하락했고, 매 경기 극과 극의 기복을 보였다는 점에서 보이는 것만큼 좋은 시즌은 아니었다. 


-Fastball : 89-93에서 형성되며 다소 flat하다. 비슷한 레인지라도 Marco Gonzales보다는 류현진에 가까운 구속. 제구가 되는 날엔 좌우 플레이트를 자유자재로 활용하며, 유리한 카운트에 높은 존으로 던져 헛스윙을 유도할 힘도 있다. 하지만 컨디션이 안 좋을 때는 플라이볼 성향과 어우러져 장타를 몰아 맞는 경향이 있다. 특유의 빠른 템포와 공격적인 어프로치가 이런 날 독이 된다. 


-2nd Pitch : 모든 리포트가 체인지업을 지목하고 있는데 구속은 high 70~low 80으로 엇갈린다. 간혹 패스트볼 구속이 떨어진 경기에서 동반 하락한 경우가 아닌가 싶다. 스캠에서 보여준 퀄리티는 다른 보조구질과 대동소이. 진정한 세컨피치라기 보다는 구단의 정책에 발맞춰 구사율을 높이고 있는 것으로 추정한다. 


-3rd Pitch : 어떤 날은 상대를 꼼짝없이 얼려버렸다가, 또 어떤 날은 느리고 lazy하게 떨어지는 커브볼. consistency만 확보되면 최고의 아웃피치인데 정작 활용도가 높지 않다. 우타자의 몸쪽, 좌타자의 바깥쪽으로 spot이 거의 정해져 있다. 커터/슬라이더 역시 존 안팎에서 어떤 용도로든 사용 가능한 구질. 한때 집중적으로 연마했다는 소식 이후 이상하게도 리포트가 뚝 끊겼다. 보수적으로 접근하더라도 두 구질 모두 future 55는 된다. 


-Overall : 스카우팅 리포트엔 사각이 존재한다. 스카우터들은 모든 경기, 모든 유망주를 일일이 관찰할 수 없으며, 애널리스트들은 한정된 정보를 취합해 너무나도 방대한 커버리지를 다룬다. 때문에 변동성이 적고 흥미가 떨어진다고 분류되는 프로필, 소위 ‘무난한 프로필’은 우선순위에서 밀려난다. 자연스럽게 이들의 리포트는 제대로 된 정보가 아닌 정치적 수사, ‘copy and paste’ 해놓은 것 같은 동의어들로 채워진다. 효율성의 측면에서 보면 타당한 방식이나 일부의 ‘정보 누락’이라고 하는 collateral damage가 발생한다. 이를테면 Albert Pujols의 재능, Matt Carpeter의 게임에 기여하는 방식, Kolten Wong의 raw power 같은 것들 말이다. 이들은 각각 하위 라운더, 파워 없는 코너 야수, 스몰 사이즈란 low profile 전용 캐비닛에서 누락된 killer factor들이었다. 그리고 여기 Tim Cooney도 마찬가지. 


Cooney의 게임로그엔 4IP 12H 6ER(5/23)의 난조와 8.2이닝 노히터(5/29)의 도미넌스가 반복 교차한다. 정말로 무난한 타입이라면(Marco Gonzales) 이런 식의 퍼포먼스를 하지 않는다. 컨디션 좋은 날의 Cooney는 놀라울 정도로 도미넌트하다. 그러니까 애당초 4개의 solid average 구질 조합부터가 이미 유니크한 것이었다. 커맨드와 mix & match가 뒷받침 되면 ‘nasty’로 변하는 대신, 그렇지 못하면 ‘무장점’으로 전락하는 마법의 조합이기 때문. Cooney의 기복은 컨디션에 따라 널뛰는 커맨드, 그럼에도 일관되게 공격적인 어프로치, 마지막으로 낭비되고 있는 써드피치에 원인이 있다. 즉, pitchability가 부족하단 뜻이다. 다소 미신 같은 말이지만 이런 타입에게 필요한 브레이크아웃은 ‘피칭의 도’를 깨닫는 것. 다음 스캠에서 인마의 피칭을 한 번 보시고, 그 다음으로 Cliff Lee의 프로필과 비교해보시라. 적어도 필자가 카즈 유망주 트랙킹을 시작한 이래 이와 같은 프로필의 보유자는 단 한 명도 없었다. 혹시 아는가? 유능한 포수(!)나 투코(?)의 손길이 닿으면 단숨에 성장할 수 있을지... 


-Projection : Tyler Lyons, 류현진, poor man’s Cliff Lee


(lecter)

- Overall 28 = Proximity 4*2 + Potential 2*3 + Production 3*3 + Position 3*2 + Pick 2*1


- (+): 작년 활약에 따른 기대치에 비하면 실망스럽긴 하나, 드래프트 된지 2년도 되지 않아 AAA 레벨에 도착해서 한 시즌 건강하게 던진 것을 긍정적으로 평가한다. 신한테 잘 빌어서 ERA는 3점대로 유지했다(BABIP .292, LOB% 79.9%). 홈런이 좀 비정상적으로 많아지지만 않았어도, 더 좋은 성적이 가능했다. 문제가 되는 널뛰기 피칭을 바람직하다고는 할 수 없으나, 일관적으로 평균적인 투수와 널뛰기 피칭을 하는 투수의 생산성이 크지 않다는 글을 언젠가 본 기억이 있어서, 크게 신경 쓰지 않는다.


- (-): 삼진이 줄어들 것은 모두가 예상했던 바이다(23.1%->18%). 그러나 2년간 깨끗하게 유지하던 커맨드가 흔들린 것은 쉽게 지나칠 수 없다 (BB% 3.4%->7.1%). Cooney의 포심, 커브, 체인지업, 슬라이더(또는 커터)는 모두 평균 정도의 구위를 가지는데, 커맨드가 최소 60~65는 되어야 한다. Gonzales는 70의 체인지업을 앞세워 선발로 안 풀릴 경우 좋은 불펜 투수라도 될 수 있지만, Cooney는 선발투수가 되지 못한다면 그냥 좀 더 나은 Lyons가 될 뿐이다. 빠르게 승격되는 과정에서 일시적으로 오는 현상일 수도 있어서, 2015년에 보여지는 모습이 중요하다.


- (&): 작년에 리스트를 작성할 때에는 Cooney가 Gonzales보다 성적도 좋았고 ceiling도 약간이나마 더 높다고 느껴졌다. 오직 1라운더 빨에 밀렸을 뿐. 1년이 지나고 보니 차이가 좀 보인다. Gonzales가 floor가 유의미하게 높고, ceiling도 거의 차이가 없다.


- Projection: 그럼에도 여전히 Gonzales와 비슷하게 최대 3선발 정도까지는 프로젝션 할 수 있다. 한 해 절었지만 스타일을 생각할 때 2015년에는 Memphis를 폭격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한다. 어차피 선발진에 자리가 없어서 Memphis에서 재수를 해야 하며, 시즌 중에 땜빵으로 데뷔전은 치를 것이다. 그때까지 절치부심하고 있자. comparison은 Tom Milone, Wei-Yin Chen.



6. Randal Grichuk (OF)

DOB: 1991/08/13, Bats: R, Throws: R

Became a Cardinal: David Freese/Peter Bourjos 트레이드로 Angels에서 이적(2013/11/22)

2014 Teams: Memphis(AAA), St. Louis(MLB)

Individual Rankings: jdzinn 8, lecter 5, skip 6, yuhars 6, 주인장 6위

Pre-2014 Ranking: 11위



(Kershaw에게 홈런을 친 직후. 사진: USA Today)


Comments

(lecter)

- Overall 31 = Proximity 5*2 + Potential 2*3 + Production 3*3 + Position 2*2 + Pick 4*1


- (+): 작년에 유망주 랭킹을 만들 때 “어린 나이 치고는 상당히 완성된”이라는 표현을 썼는데, 메이저에서의 첫 인상 또한 그랬다. 운동 능력을 바탕으로 한 외야 수비가 확실히 인상적이었고, 선구안은 개나 줄지언정 파워도 들은 바 그대로였다. 가장 고무적인 점은 Memphis에서 여름 내내 해롱대다가 9월에 다시 콜업 되어 상당히 잘 친 것(wRC+ 145). 어쨌든 주어진 능력 하에서 팀에서 요구하는 role은 나름 잘 수행한 것으로 보인다.


- (-): 운동 능력을 바탕으로 한 생각보다 세련된 “선수”인 건 맞지만, 세련된 “타자”는 아니다. 선구안은 절대 개나 줘서는 안 되는데, 꾸준히 발전하던 선구안이 Memphis에서 오히려 나빠졌다(BB% 5.6%, K% 23.6%). 구린 컨택의 문제도 있지만 pitch recognition의 문제가 더 큰데, 특히 브레이킹 볼은 in-zone과 out-zone을 거의 구분하지 못하는 수준이다. 좌투수 상대로는 초구부터 적극적으로 타격하여 어쨌든 결과를 만들 수 있지만, 우투수 상대로는 카운트가 몰리면 바로 바깥쪽 낮은 슬라이더/커브에 속수무책이다. 9월에 잘 맞을 때에도 BABIP와 파워가 캐리한 거지, 선구안/출루는 별볼일 없었다. 


- (&): 작년에도 얘기했었지만, Grichuk은 지나치게 빠른 rush 때문에 제대로 성장하지 못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잘 커왔다고 말할 수밖에 없지만, Angels에서도, 트레이드 된 후에 Cardinals에서도 진득하게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잃어버렸다. 팀 사정상 일찍 콜업 되었지만, 확실히 무리는 무리였다. 4월 콜업 당시 OT가 정상 컨디션이어서, Grichuk 대신 콜업 되었으면 어땠을까? 나비 효과에 의해 운명이 뒤바뀌지는 않았을까?


- Projection: Grichuk은 운동 능력과 파워만으로도 앞으로 3~4년 간 average player될 수 있지만, 선구안을 극복하고 그 이상으로 터지기는 어려울 것이다. 그렇게 생각했다면 이 랭킹에서 Piscotty와 Grichuk이 공동 1위였을 것이다. 최저연봉을 받을 3년 간 최소 4~5번째 OF로 외야진의 상수가 될 것이다. comparison은 Marlon Byrd, Jeff Francouer, Nate Schierholtz.


(yuhars)

- 배경: Freese의 유산인 Grichuk은 드랩 당시부터 좋은 파워로 인정받아 왔으며 1년 동안 AAA레벨에서 25개 메이저리그에서 3개 포스트 시즌에서 2개 총 30개의 홈런을 치면서 자신의 파워를 증명하였다.


- 장점: Grichuk은 비록 40개 홈런을 기록할만한 파워를 가지고 있지는 않지만 풀타임을 뛴다면 25개 이상의 홈런을 충분히 기대해볼만한 파워가 있으며, 이는 Grichuk이 가진 가장 큰 장점이다. 그리고 Grichuk이 가진 파워는 당대 최강의 투수인 Clayton Kershaw에게도 통한다는 것을 포스트 시즌에서 증명해 보였으며, 백전노장인 Hudson에게도 홈런을 뽑아내면서 좌우 가리지 않고 파워를 발휘 할 수 있다는 걸 보여 주었다. 특히나 파워 툴이 금값이 된 지금 시대를 감안하여 본다면 Grichuk이 가지고 있는 파워는 아주 귀중한 자원임에는 틀림이 없다. 그리고 컨택 능력도 기복이 심하긴 하지만 기본적으로 .250이상을 칠 능력이 있기 때문에 평균은 된다고 할 수 있다. 가끔 컨디션이 좋은 시기에는 Jay처럼 투수와 구질을 가리지 않고 쳐내는데 이것은 AAA에서 시즌 초반 4,5월 두 달 동안 광분한 것에서 증명이 되며, 이는 기본적으로 Grichuk이 컨택 능력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가능한 현상이기도 하다. 즉 아직 타격에서 더 발전할 여지가 남아있는 선수라는 말이다. 수비에서도 어깨가 좋아서 우익수로 충분하며, 발도 평균 이상은 되기 때문에 빅 리그에서 중견수 알바도 간간히 볼 수 있을 정도의 수비력을 갖추고 있기도 하다. 


- 단점: Grichuk의 가장 큰 약점은 떨어지는 볼에 약하다는 것이다. 처음 메이저리그에 콜업 되었을 때도 떨어지는 볼에 당하면서 손도 못쓰고 당해서 다시 마이너로 내려갔고, 이후 큰 슬럼프를 겪으면서 AAA에서 첫 두 달 동안 벌어놓은 성적을 다 까먹기도 하였다. 뿐만 아니라 어느 정도 메이저에 적응한 모습을 보이면서 타격감을 높이던 9월 이후 포스트 시즌에서도 첫 타석에서 Kershaw에게 홈런을 치면서 화려하게 포스트시즌 데뷔를 했지만, 시리즈 내내 빈타에 허덕이는 모습을 보이면서 여전히 떨어지는 변화구에 약하다는 것을 보여 주었으며, 이러한 약점은 Grichuk의 높은 삼진율(메이저기준 26.7%)에서도 나타난다. 의외로 좋은 컨택 능력을 가진 Grichuk이 평균 이상의 타율을 기록하지 못하는 이유도 결국 이 약점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약점의 가장 큰 문제는 완벽하게 해결할 방법이 없다는 것이다. 결국 타고나지 않으면 이 약점을 해결 할 방법은 없다. 하지만 완화 시킬 수는 있다. 당장 비슷한 문제를 가지고 있는 Matt Adams만 봐도 작년보다 올해 K%를 5K%나 떨어트리면서 조금은 나아지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즉 Grichuk도 Adams처럼 노력한다면 완치는 못하더라도 완화 시킬 수는 있다는 말이다. 이 약점을 어느 정도까지 완화 시키느냐에 따라 Grichuk이 메이저리그에서의 위치가 결정된다고 볼 수 있으므로, 이 약점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커리어 내내 부단하게 노력해야 해야만 할 것이다. 또한 수비에서도 NLCS 4차전에서의 실책처럼 간간히 집중력에서 문제가 생기는 걸 볼 수 있는데, Grichuk이 메이저에서 좋은 선수가 되기 위해서는 이것 또한 반드시 해결해야 할 문제이다.


- 잠재력: 모든 것이 잘 풀린다면 .270에 30HR+를 때리는 외야수이지만 현실적으로 본다면 파워 좋은 우타 백업 외야수


- 종합: Grichuk은 분명 고치기 어려운 약점을 가지고 있는 건 사실이다. 하지만 그에 비례하여 아주 매력적인 파워를 가진 것 또한 사실이다. 그리고 Grichuk은 여전히 91년생으로 아직은 젊은 선수이기도 하다. 즉 약점을 고치진 못하더라도 개선해 나갈 수 있는 시간이 충분한 나이는 된다는 말이며, 올해 4,5월에 보여준 모습을 생각해 본다면 기대 이상의 개선도 기대해볼만 하다고 본다. 물론 쉽지는 않겠지만 약점을 크게 개선하지 못하더라도 가지고 있는 파워만으로 우타 백업 외야수로 뛸 능력은 충분하며, 만약에 2015년에 지적된 약점을 개선하여 좋은 모습을 보인다면 2016년 주전 우익수 자리는 Grichuk이 차지한다고 해도 이상하지 않을 것이다.


(jdzinn)

-Outlook : Grichuk은 Memphis 외야 3인방 중 가장 후순위로 여겨졌다. 재능에선 Taveras에 밀리고, 성숙함에서 Piscotty에 밀렸기 때문. 정작 1순위로 승격됐을 때도 우선 쩌리부터 쓰고 본다는 이미지가 강했다. 그러나 팀의 파워 부족, 스캠에서의 인상적인 타구질, Memphis에서의 초반 러쉬가 겹치며 9월부터 주전으로 자리매김. 급기야 플옵 전경기 선발로 나서며 MM을 존나 패고 싶게 만드는 기염을 토했다. 


-Contact/ Patience : 아무 공에나 본데없이 휘두르는 스타일은 아니다. Grichuk은 low ball hitter로 인사이드 낮은 코스에 노림수를 두고 퍼올린다. 패스트볼, 체인지업, 좌투수의 브레이킹 피치까지(심지어 Kershaw의 그..) 쳐낼 수 있다. 다만, 아웃사이드 브레이킹볼에 대한 고질적인 약점이 문제. 너무나 노골적인 약점이라 하이 패스트볼에 고자가 되는 연쇄작용까지 일어난다. 가장 고전적인 셋업-아웃피치 조합에 당하는 것. 


-Power : 60/70의 플러스 툴. 배트에 맞는 순간 공이 정말 튀어나간다. 기본적으로 플라이볼을 칠 줄 알며 걸리면 에누리 없다. 중심이 빠진 채 휘둘러도 중견수 키를 넘기는 괴력의 raw power. 홈런과 ISO가 꾸준히 상승 중이다. 


-Speed : 약간 과소평가 받는 툴. 좌측 애매한 땅볼을 내야안타로 만들 수 있는 above average 등급이나 요령 부족으로 average base runner에 그친다. 스피드만 놓고 보면 두 자릿수 도루가 가능하다. 


-Glove/ Arm : 중견수를 소화할 운동능력이 있다. 멋진 다이빙 캐치나 허슬 플레이로 하이라이트 필름을 장식할 것. 그런데 intinct가 없다. 크고 작은 실수로도 하이라이트 필름을 장식할 것. 중견수 알바가 가능한 plus arm의 우익수가 적합한 포지션인데 instinct 부재가 계속 걸린다. 대체자가 있다면(Piscotty라든지) 럭셔리한 좌익수로 써먹는 게 최선이다. 


-Overall : 괜히 Trout 앞에 뽑힌 게 아니다. Grichuk은 보이는 것보다 좋은 툴을 보유했고, 개중에서도 요즘 금값인 파워 툴이 돼지에 버금간다. 눈에 훤히 보이는 약점을 갖고도 .250 정도는 칠 수 있고, 레귤러로 .250만 치면 손쉽게 +2.5WAR를 찍어줄 타입. 그런데 그 뻔한 약점들, 너무 뻔해서 대처법도 찾기 쉬운 약점들이 쉬이 고쳐질 것 같지 않다. Baseball IQ나 Instinct의 부재는 유망주에게 일종의 동맥경화와 같기 때문. 가진 툴의 80%밖에 사용할 수 없는 개 발에 편자, 로또 3등, 국대 축구의 정성룡이랄까? 


통상 이런 선수에게 경험치를 몰아주면 팀과 함께 양패구상으로 끝나기 마련이다. 지난 CS처럼 말이다. Grichuk은 상황에 맞게 쓰며 부담감을 덜어주고 천천히 경과를 지켜봐야 하는 타입이다. Heyward의 영입으로 레귤러 자리를 잃은 건 오히려 잘된 일인지도 모른다. MM의 행태로 보건대 적당히 하던 대로만 해도 Piscotty의 위협을 받지 않으며 플레잉타임을 챙길 것이다. 


-Projection : Jeff Francoeur, Preston Wilson, Yoenis Cespedes



TO BE CONTINUED...




(송년 인사)


블로그를 만들고 나서 어느 새 6시즌이 훌쩍 흘렀습니다.
내년에도, 그 이후에도 쭈욱 좋은 공간을 만들어 가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Posted by FreeRedbird
:

새해 인사.

Uncategorized 2013. 12. 31. 04:02 |
안녕하세요.
블로그 주인장입니다.

블로그를 만들고 다섯 시즌을 함께 보냈습니다. 어느새 시간이 정말 많이 흘렀네요.


지난 5년동안 우리 블로그는 skip님과 doovy님 두 분을 필진으로 보강하였고, UCB의 정회원이 되어 국제적으로도 인정받는 블로그가 되었습니다. 그 5년동안 Cardinals는 네 번 포스트시즌에 진출, 두 번 월드시리즈에 올라갔고, 한 번은 우승까지 했습니다. 저 개인적으로는 그 5년 사이에 이직을 두 번 했고, 아들이 태어나서 어린이집을 다니고 있으며, 내년에는 둘째가 세상에 나올 예정입니다. 둘째는 아직 확실하지 않으나 아마도 딸인 듯 합니다. ^^


우리는 제각기 다른 곳에서 다른 삶을 살고 있습니다만, 같은 팀을 응원한다는 공통점 하나로 여기에서 같이 웃고 울 수 있었습니다. 학생인 분도 계시고 직장인인 분도 계시겠지만, 특히 우리나라에서의 삶은 대체로 여유가 없고, 팍팍하고 힘든 것 같습니다. 감히 이 곳이 여러분께 조금이나마 위안을 주는 공간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적어도 저에게는 그랬습니다. 가정과 육아, 직장일에 치이다 보면 솔직히 글을 쓰고 블로그를 관리하는 것도 힘겹게 느껴질 때가 있습니다. 하지만 함께 해 주시는 여러분들이 계시기에 힘을 내서 여기까지 올 수 있었습니다. 필진 분들, 유망주 평가단 분들, 고정닉으로 댓글 달아주시는 분들, 그밖에 눈팅하시는 모든 분들에게도, 진심으로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제가 이 엄동설한에 때아닌 아폴로 눈병을 얻어서 -_-;; 눈이 따갑고 뻑뻑합니다. 이만 적겠습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다들 새해엔 원하는 바 다 이루시고 대박나시기 바랍니다.


Go Cardinals...!!!



아참, skip님과 doovy님께서는 내년에도 필진으로 계속 함께 하실 예정입니다. 이 재계약은 제 오프시즌 최대 과제였습니다. ㅎㅎㅎ 




오늘의 음악.


Chris de Burgh - Snows of New York




I can see you now by the light of the dawn

And the sun is rising slow

We have talked all night and I can't talk anymore

But I must stay and you must go


You have always been such a good friend to me

Through the thunder and the rain

And when you're feeling lost in the snows of New York

Lift your heart and think of me


There are those who fall, there are those who fail

There are those who will never win

Then there are those who fight for the things they believe

And these are men like you and me


In my dream we walked, you and I to the shore

Leaving footprints by the sea

And when there was just one set of prints in the sand

That was when you carried me


You have always been such a good friend to me

Through the thunder and the rain

And when you're feeling lost in the snows of New York

Lift your heart and think of me


When you're feeling lost in the snows of New York

Lift your heart and think of me

Lift your heart and think of me



아아.. 오글거리는 가사군요. ㅎㅎㅎ

Posted by FreeRedbird
:

오늘은 자체 유망주 리스트의 총정리편이다.

TOP 20 총정리라고 하니, 마치 오디션 프로그램에서 중간중간에 비하인드 스토리 어쩌구 하면서 우려먹는 것 같은 느낌이 든다. -_-;;


아래에 전체 리스트를 정리하고 링크를 걸어 두었으므로, 궁금하신 분들은 언제든 다시 눌러 보시기 바란다.


Redbirds Nest in Korea 2013 Cardinals TOP 20 Prospects List


1. Oscar Taveras, OF

2. Trevor Rosenthal, RHSP

3. Shelby Miller, RHSP

4. Carlos Martinez, RHSP

5. Michael Wacha, RHSP

6. Kolten Wong, 2B

7. Matt Adams, 1B

8. Tyrell Jenkins, RHSP

9. Anthony Garcia, OF

10. Carson Kelly, 3B

11. Seth Maness, RHSP

12. Stephen Piscotty, 3B/OF

13. Greg Garcia, SS/2B

14. Starlin Rodriguez, 2B

15. Colin Walsh, OF/2B

16. Jordan Swagerty, RHRP/SP

17. Breyvic Valera, 2B

18. John Gast, LHSP

19. Ryan Jackson, SS

20. Mike O'Neill, OF


Honorable Mention: Patrick Wisdom(3B), Tyler Lyons(LHSP), Kevin Siegrist(LHSP), Maikel Cleto(RHRP), James Ramsey(CF)



리스트 작성에 참여한 다섯 사람의 개별 랭킹은 아래 엑셀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란다.


2013 Cardinals TOP20 최종.xlsx


다음은 TOP 20을 포지션 별로 정리해 본 것이다.

유망주의 포지션은 육성 과정에서 변동의 여지가 있지만, 일단 현재 기준으로 하였다. 



투수 8, 야수 12로 투/타 간에는 거의 이상적인 비율인데, 10위 이내의 상위 랭킹에는 투수, 특히 RHP의 비중이 매우 높은 편이다.

또한, 과거 습자지 같다는 말을 듣곤 했던 미들 인필드 depth도 20명 중 5명이나 들어갈 만큼 좋아졌다. 특히 2B 쪽은 이정도면 타 구단과 비교해도 전혀 꿀릴 것이 없어 보인다. Wong이 최고의 기대주이긴 하나, Wong이 망해도 Rodriguez에게 기대를 걸어볼 수도 있으며, 조금만 더 참으면 Valera도 올라올 것이다. 혹은 방망이로는 Wong보다도 더 메이저 데뷔 준비가 되어 있는 듯한 Greg Garcia를 당장 2루로 돌리더라도 DD/Skip/코사마의 조합보다는 한 수 위의 공격력을 기대할 수 있을 것 같다.


LHP가 1명 뿐인 것은 LHP가 없다기보다는 다른 포지션에 좋은 유망주가 많아서 밀렸다고 보는 것이 맞을 것이다. 실제로 Honorable Mention에 보면 Lyons와 Siegrist가 포함되어 있는데, 이들은 이전의 팜 시스템이었다면 TOP 20 진입이 가능했을 것 같다.


하지만 포수 유망주가 없는 것은, 밀린 것이 아니라 실제로 없는 것이다. 그나마 포수 유망주라고 부를 수 있는 선수로는 AA레벨의 Audry Perez와 A+의 Cody Stanley, 루키레벨의 Steve Bean과 Adam Ehrlich 정도가 있는데, Perez와 Stanley는 TOP 40 리스트를 만들어도 과연 들수 있을까 싶을 정도의 별볼일 없는 선수들이고, Bean이나 Ehrlich는 포텐셜이 있긴 한데 아직 너무 낮은 레벨에 있어서 판단이 어렵고, 만약 잘 되더라도 메이저 데뷔까지는 적어도 3-4년이 걸릴 선수들이다. 이들 둘의 포텐셜을 믿는다고 해도, 싱글A 이상의 레벨에는 기대할 만한 포수 유망주가 전무한 것이다. Yadi와의 장기계약이 얼마나 절실했는지 알 수 있다.


아무리 Yadi가 강철같은 내구력을 가지고 있다고 해도, 현재의 포수 depth는 너무 형편없는 수준이어서, 상위 레벨에 뭔가 보강이 필요해 보인다.


다음은 TOP 20을 입단 시기별로 정리해 본 것이다.

(클릭하시면 크게 나옵니다.)


팜의 주축은 역시 2009년과 2010년 드래프티들임을 알 수 있다.

특히, 올해 팜을 졸업하고 메이저리그에서 훌륭하게 기여해 준 Matt Carpenter와 Joe Kelly가 모두 2009년 드래프트를 통해 입단했음을  감안하면, 2009년 드래프트는 구단 역사에 남을만한 명 드래프트였던 것 같다. 20라운드 이후의 하위라운드에서 Rosie와 Adams 같은 알짜 유망주들을 건진 것도 대박이었다.


NDFA도 2008년에서 2010년까지 꾸준히 중요한 유망주를 배출해 왔는데, 2011년이 없는 것은 2010년 이후 맥이 끊긴 것이 아니라, 라틴아메리카 유망주들의 육성에 그만큼 시간이 많이 걸림을 의미하는 것이다.


2008년 이전 드래프트 출신으로는 작년 리스트에 Tommy Pham, Adron Chambers, Brandon Dickson이 있었으나, 이들은 모두 올해 리스트에 들지 못했다. 그나마도 Dickson은 일본 오릭스와 계약하여 팜에서 아예 사라졌다. 개인적으로는 한국에서 뛰었으면 하는 기대가 있었는데 조금 아쉽게 되었다. ㅎㅎ


상대적으로 2011 드래프트는 2009, 2010년에 비해 다소 약한 느낌이 있는데, 드랩 풀이 훌륭했음을 감안하면 다소 아쉬움이 남는 것도 사실이다. 그나마 TOP 20 감이었던 Tilson은 부상으로 일찌감치 시즌아웃 되어 결국 랭킹에 들지 못했다.


2012년 드래프트는 이래저래 말이 많았지만, 이 빡센 경쟁을 뚫고 3명이 12위 이내에 들었으며, HM에 Wisdom과 Ramsey까지 포함되었으니, 일단은 평타 이상은 되는 드래프트가 아닌가 싶다.



그간 많이 언급되었던 것처럼, 팜 시스템에 대한 칭찬이 계속 쏟아지고 있는데, Cards 팬질을 14년을 해왔으면서도 이런 경험은 완전히 처음이어서 좀 당혹스럽다. 이를테면, Keith Law의 이런 트윗 말이다.



메이저리그 팀도 컨텐더 전력을 보유하고 있고, 팜 시스템도 훌륭한 상태이니, 적어도 향후 몇 년 간은 이 팀을 응원하는 일이 꽤 재미질 것 같다. ㅎㅎ


----------------------------------------


작년 총정리 글에서 2012 시즌의 슬리퍼에 대해 설문조사를 했었는데...

주인장의 픽은 Lance Jeffries와 Amauris Capellan이었는데 둘 다 망한 것 같다. -_-;;

댓글로 달렸던 녀석들을 보면...

jdzinn - Roberto Pino

lecter - Tyler Rahmatulla, Seth Maness, Juan Castillo

yuhars - Seth Blair, Hector Hernandez

skip - Greg Garcia, Jermaine Curtis


1년 지나고 나서 결과를 보니 Maness와 Garcia를 적어 주신 lecter님과 skip님의 승리인 듯...!!!

두 분 축하드립니다....!! ㅎㅎㅎ



자 그럼... 올해도 한번 해 봅시다.

2013 시즌 슬리퍼를 하나 꼽는다면?


주인장의 픽은 Silfredo Garcia와 Ildemaro Vargas.

자, 여러분의 선택은?


----------------------------------------


그리고.. 작년 리스트 때 설문조사가 하나 더 있었다.

바로 HM 5명 중에 올해 리스트에서 가장 높은 순위에 오를 것 같은 유망주를 고르는 것이었는데...

작년 HM 5명(Reifer, J-Rod, Hooker, Stanley, Lyons) 중에서 앞의 4명은 모두 아예 리스트에서 빠졌고, Lyons만 올해 또다시 HM 안에 들었다.

당시 픽을 보면...

주인장 - Hooker

jdzinn - J-Rod

lecter - Lyons

skip - Hooker

yuhars - Hooker


따라서, Lyons를 지목하신 lecter님의 승리...!!

이렇게 보니 lecter님이 우리 블로그에서 가장 정확한 예측 능력을 가지신 듯하다...!! ^^


이것도 똑같이... 올해도 한번 해 보죠.

올해 HM 5명 중 내년에 가장 높은 순위에 오를 것 같은 유망주는?


주인장의 픽은 Kevin Siegrist.

여러분의 선택은?



------------------------------------------


블로그를 개설하고 벌써 4시즌을 보냈다. 시간이 참 빠르다...

처음에는 그냥 혼자서 생각나는대로 하고싶은 말을 불규칙하게 늘어놓는, 댓글도 없는 블로그였는데, 어느새 나름 국내에서는 Cards 팬들이 모여서 함께 노는 공간으로 자리를 잡은 것 같아서 내심 뿌듯한 마음도 들곤 한다. 이제는 UCB의 정식 회원이 되어서, 현지 팬들에게도 알려진, 한국을 대표하는 팬 블로그가 되었다. (우리는 UCB 정규 회원중 유일하게 영어를 사용하지 않는 블로그이다.)

두 분의 필진을 비롯하여 블로그에 댓글을 달아주시는 팬 분들의 팀에 대한 열정이나 관심, 지식 수준은 VEB와 비교해도 전혀 떨어지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


블로그에 들러 주시는 모든 분들께, 한 해 동안 정말 감사했습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 무엇보다 건강을 잘 챙기시기 바랍니다. 저도 애 키우는 아빠로서 나이를 먹어 가다 보니 건강만큼 소중한 게 없다는 생각을 많이 합니다.

내년에는 다들 대박 나시기 바랍니다. ^^


Go Cardinals...!!!



특전영상 - Comeback 모음 (2011 WS 6차전, 2012 NLDS 5차전)


Posted by FreeRedbird
:
이렇게 해서 금년의 자체 유망주 리스트 발표가 모두 끝났다.
아래의 이름을 클릭하면 해당 코멘트 페이지로 넘어가도록 했으므로, 궁금하신 분들은 언제든 다시 눌러 보시기 바란다.

Redbirds Nest in Korea 2012 Cardinals TOP 20 Prospect List
1. Shelby Miller, RHSP
2. Carlos Martinez, RHSP
3. Oscar Taveras, OF
4. Kolten Wong, 2B
5. Tyrell Jenkins, RHSP
6. Zack Cox, 3B
7. Trevor Rosenthal, RHSP
8. Matt Adams, 1B
9. Jordan Swagerty, RHSP/RP
10. Ryan Jackson, SS
11. Maikel Cleto, RHSP/RP
12. Matt Carpenter, 3B
13. Joe Kelly, RHSP
14. John Gast, LHSP
15. Adron Chambers, CF
16. Boone Whiting, RHSP/RP
17. Brandon Dickson, RHSP
18. Charlie Tilson, CF
19. Tommy Pham, CF
20. Anthony Garcia, OF

(Honorable Mention)
21. Adam Reifer, RHRP
22. Deryk Hooker, RHSP, Jonathan Rodriguez, 1B/3B, Cody Stanley, C
25. Tyler Lyons, LHSP


리스트 작성에 참여한 다섯 사람의 개인별 랭킹은 아래의 엑셀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란다.



여기서 다시 깜짝 질문.
위의 25명을 제외하고 팜 내 최고의 슬리퍼를 꼽는다면?

- 주인장의 픽은 Breyvic Valera Lance Jeffries와 Amauris Capellan 이다.  (Valera는 너무 흔하게 언급되는 슬리퍼이니 Capellan으로 대체합니다 )

정답은 역시 내년 이맘때쯤 확인해 봅시다...


다음은 재미삼아 만들어 본 포지션별 유망주 뎁스 테이블이다.
괄호 안은 TOP 20 리스트에서의 순위이다.


투수 10명, 내야수 5명, 외야수 5명으로 되어 있는데, 그 중에서도 우완투수가 압도적으로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포수가 한 명도 없는 게 눈에 띄는데... Yadi와는 꼭 장기계약을 맺어야 할 것 같다. McCann의 12M 옵션은 아마도 픽업될 것이고, Napoli는 Rangers와 계약 연장을 협의중임을 고려하면, 2012 시즌 후 FA 포수 중에서 Yadi가 최대어가 될 것으로 보인다.


다음은 유망주들이 입단하게 된 경로를 나눠 본 것이다. 드래프트는 최상위 라운드(1-2), 상위 라운드(3-10), 중위 라운드(11-20), 하위 라운드(21-50)로 나누었다. 역시 괄호 안은 순위를 의미한다.



2009 드래프트가 대박이었음을 한 눈에 알 수 있다. 2010 드래프트도 무척 좋았는데, 이 해에는 드랩 뿐 아니라 Carlos Martinez 계약이라는 중요한 사건도 있었다.

2008년 드래프트 출신이 아무도 없는 것은... 일단 이 드랩에서 튀는 플레이어들이었던 1라운더 Wallace와 2라운더 Shane Peterson, 10라운더 Alex Castellanos가 모두 트레이드를 통해 타 구단으로 이적했기 때문이고, 1라운드 서플 픽이었던 Lance Lynn은 다들 아시다시피 Cards 불펜에 합류해 있기 때문이다. 그밖에, 작년 리스트에는 있었으나 올해는 빠진 Aaron Luna가 08년 9라운더이다.

2007년은 사정이 좀 다른데.. Luhnow가 지휘한 2005-2011년 7년간의 드래프트 중 가장 못한 해였기 때문에 유망주가 없는 듯. 07년 드랩에서 처음 5픽은 다음과 같다. 코사마(1R), Mortensen(1R-S), Kopp(2R), Todd(2R), Descalso(3R). 이들 중 유틸리티맨인 Descalso가 가장 나을 정도이니 뭐 말 다했다. 이 드래프트는 아쉽게 20위를 벗어난 Reifer와 메이저리그 백업 포수가 유력한 Tony Cruz를 배출하기는 했다.

2006년은 이미 메이저리그로 졸업을 많이 해서 유망주가 별로 남지 않은 케이스이다. 이 드래프트는 Chris Perez, Allen Craig, Jon Jay, Luke Gregerson, David Carpenter와 같은 메이저리거를 배출했으며, Ottavino, Hamilton, Sugar Robinson, PJ Walters와 같은 AAAA 플레이어들도 여럿 있었다.

Luhnow의 드래프트에 대해서는 따로 시리즈를 생각하고 있으니 그때 좀 더 자세히 다루도록 하겠다. 순서는 Mozeliak의 행보를 되돌아보는 시리즈 이후가 될 듯.


함께 유망주 순위를 매기고 정성 가득한 코멘트를 작성해 주신 yuhars님, skip님, jdzinn님, lecter님(알파벳 역순)께 깊이 감사드리는 바이다. (그동안 항상 abc 순으로 써 왔으니 이번엔 역순으로 써 봤다.) 무슨 경품이나 혜택이 있는 것도 아닌데 이렇게들 열심히 해 주셔서 그저 감사할 따름이다. 한국의 메이저리그 팬들 중에서 Cardinals 팬이 그렇게 많다고 생각하지는 않지만, 좋아하는 팀에 대한 열정이나 관심, 그리고 메이저와 마이너를 아우르는 구단 전체에 대한 지식 수준 등으로 따지면 어느 팀 팬들과 비교해도 절대 뒤지지 않을 것 같다. VEB에 자주 가시는 분들은 내가 댓글로 참여하는 모습을 보신 적도 있을 것 같은데, 정규시즌 마지막 게임을 남겨두고 Braves와 타이를 이뤘을 때, 우리 블로그의 게임 쓰레드에 400개 넘는 댓글이 달린 것을 언급하면서 이렇게 표현한 적이 있었다. "there are only a handful of Cardinals fans in Korea; however, we are hardcore fans and feel proud of being hardcore fans."  이 문장을 쓰면서 스스로 참 뿌듯했던 기억이 나는데... 이 댓글은 10개가 넘는 추천을 받아 녹색이 되기도 했다.  저는 이렇게 함께 해 주시는 여러분이 참 고맙고 자랑스럽습니다. ^^

다들 너무나도 정성스럽게 코멘트를 주셔서 작업을 하면서 재미도 있었고 새롭게 알게 된 것도 많았는데, 한편으로는 내년 리스트 작업시에 서로 부담을 주는 결과가 될 수도 있을 것 같아서... 내년에는 부담도 좀 줄이고, 각자 좀 더 좋아하는 유망주 위주로 코멘트를 작성하는 방법을 고민하고 있다. 대충 생각은 해 두었는데, 미리 말하면 재미가 없으니 역시 내년 리스트 작성 때 공개하도록 하겠다. ㅎㅎ


영원히 잊지 못할 2011 시즌의 감동을 함께 나눈 모든 분들께 다시 한 번 감사드리며,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 늘 좋은 일이 가득하시길 바랍니다.

내년에도 다같이... Go Cardinals...!!



"WE WILL SEE YOU... TOMORROW NIGHT!!!"
Posted by FreeRedbird
:
자체선정 Cardinals 유망주 리스트.
오늘은 대망의 1-5위를 발표하고자 한다.

5. Tyrell Jenkins (RHSP)

DOB: 1992/07/20, Bats: R, Throws: R

Became a Cardinal: 2010년 드래프트 Supplemental 1라운드 지명(고졸, 전체 50), 계약금 $1,300,000

Individual Rankings: FreeRedbird 8, jdzinn 5 , lecter 3, skip 4, yuhars 5

Comments

(FreeRedbird)

나는 Jenkins 8위에 랭크했는데, 평가자 5명 중 가장 낮은 순위이다. 이런 것을 보면 역시 로우마이너 내지는 금년 드래프트 출신 유망주들에 대해 내가 가장 보수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는 것 같다. 아무래도 풀 시즌 마이너에서의 검증을 중시하는 편이다보니 순위에도 그런 부분이 반영될 수밖에 없는 것 같다. Jenkins는 고등학교에서 야구 뿐 아니라 미식축구와 농구 등 3종목의 스타 플레이어였는데, 3종목 중 어느 종목으로라도 무난히 좋은 대학에 진학할 수 있었을만큼 발군의 운동신경을 가지고 있다. 잘 다듬으면 또 한 명의 frontline 선발투수 재목으로 성장할 수 있을 것 같지만, 아직 갈 길이 멀어 보인다.

(jdzinn)

-2012~13년 유망주 리스트 탑20에서 이탈해도, 그러다가 어느 날 리스트의 꼭대기로 복귀해도 놀라울 게 없는 선수. 보석인지 돌멩인지는 시간이 말해줄 것이다.

-간결하고 안정적인 딜리버리의 확립이 최우선 과제다. 현재의 Jenkins는 하이 킥킹을 구사하며 암슬롯이 불안정하다. 적어도 프로 첫 시즌엔 커맨드 불안을 노출하며 난타당할 수도 있는 타입. 어차피 Jenkins의 프레임과 어깨라면 피지컬의 성장과 함께 구속은 저절로 따라오게 되어 있다. 무능한 유망주 육성 프로그램을 자랑하는 카즈 팜이지만 꺽다리 우완 선발에게 전가의 보도인 커브만큼은 곧잘 가르쳐 오기도 했다. 향후 5년을 보고 차근차근 가르치면 Miller에 이은 또 한 명의 프런트라인 선발 유망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lecter)

- 2010: 3이닝밖에는 던지지 않았지만, 전문가들의 평가가 상당히 좋다. raw하지만 커맨드가 나쁘지 않고, 무엇보다도 3개 스포츠에서 보여주었던 운동 능력이 마음에 든다.

- 2011: Johnson CIty SP. Miller만큼이나 조심스럽게 다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Cardinals 팜 조직이 개차반 커맨드를 다듬는 데에는 젬병이나, Jenkins는 그런 유형의 투수는 아니라는 것이 다행이다.

(skip)

Martinez Jenkins는 그저 포텐셜 하나 가지고 이 정도 하이 랭킹을 차지했다 봐도 과언이 아니다. 올 시즌 깜짝 등장한 이 녀석들을 잘 데려오고 잘 뽑았다는 것인지, 이런 선수들을 이렇게 줄줄이 나열해야 될 만큼 팜이 형편없어 졌다는 것인지(...) 아무튼 운동능력 만빵의 이 Lanky한 고교 졸업생은 최고 95MPH의 직구와 쓸만한 슬라이더, 평범한 체인지업을 던지며, 그냥저냥 오케이를 받을만한 제구력을 가졌다 평 받고 있다. 사실 이런 것들은 별 의미가 없는데, Jenkins는 베일러 대학 풋볼 장학생으로 입학이 거의 기울었던 것을 카디널스가 어찌저찌 스카웃에 성공해 데려온 만큼, 고교시절 야구보다는 풋볼쪽에 치중된 선수였음으로, 원석에 가까운 이 놈을 어찌 키우느냐가 관건이지 싶다.

그다지 야구에 신경을 많이 쓴 놈은 아니라 들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정도다 라는 평이 여기저기 쏟아졌던 걸 보니, 한번 야구에만 매진하면 어떤 놈이 되어 있을지 기대가 된다.

(yuhars)

- 포텐만 따지면 카즈팜에서는 최고가 아닐까 생각 되는 유망주. 4개의 운동 종목에 재능이 있다고 하는 그야말로 운동능력 만땅 아니 그 자체라고 해도 되는 선수이다.ㅋ 솔직히 카즈의 전통적인 드래프트 픽과는 아주 상이한 픽이기도 하다. 어쨌든 Jenkins 93-96마일에 가까운 패스트볼을 던지고 나름 기대되는 슬라이더와 커브를 던진다고 한다. 그리고 MartinezSanchez와는 달리 야구 선수로는 아주 좋은 사이즈를 가지고 있으며 프로에서 몸을 키우고 근육이 완성이 된다면 더욱 빠른 공을 던질 여지가 있다. 다만 이러한 운동능력 만땅의 원석들이 늘 그러하듯이 가공하기가 아주 힘이 드는데 카즈팜은 이러한 원석을 가공하는데 좋은 능력을 보여주지 못하기 때문에 우려가 되는 부분이 없지는 않다. 하지만 Jenkins가 가진 재능 만큼은 리얼이며, 개인적인 최대 기대치는 약물을 하지 않은 Dwight Gooden이다. 물론 이것은 엄청난 가정이겠지만 말이다. 어쨌든 이러한 기대와 포텐만으로도 충분히 높은 랭킹을 받을 요건을 다 갖추어 졌다고 생각해서 5위로 선정하였다. 부디 잘 성장해서 원석이 다이아몬드가 되길 바란다.

 

3. (Tie) Eduardo Sanchez (RHRP)

DOB: 1989/02/16, Bats: R, Throws: R

Became a Cardinal: 베네수엘라 출신. Non-Drafted FA 계약(2005/12/26)

Individual Rankings: FreeRedbird 5, jdzinn 4 , lecter 4, skip 6, yuhars 3

Comments

(jdzinn)

-Sanchez에게 붙어있는 두 가지 물음표. 첫째, 빅리그 클로저가 될 만한 자질이 있는가? 둘째, 그 왜소한 프레임으로 일렉트릭 스터프를 견뎌낼 수 있겠는가?

-둘로 나눴지만 결국 모든 건 사이즈로 귀결된다. 체격이 좀 더 당당했다면 예년의 Chris Perez가 받았던 '미래의 클로저칭호는 이미 Sanchez에게로 넘어갔을 것이다. 때문에 팀과 본인이 이러한 문제를 인식하고 있다는 건 상당히 긍정적인 신호다. Sanchez는 인터뷰를 통해 구단에서 받은 기초 훈련 프로그램을 경기장에 일찍 도착해 소화하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이 프로그램엔 러닝과 함께 복근 및 유연성 강화 훈련이 포함돼 있다고 한다. 실제로 Sanchez의 신체는 유연해 보이며 딜리버리 또한 상당히 부드럽다. 당분간은 과부하보다 슬라이더 숙련도 여부를 걱정해도 좋을 것 같다.

-카즈는 지난 수년 간 선수들의 잦은 부상으로 제대로 된 전력을 가동하지 못했다. 때문에 Garcia, Miller, 그리고 여기 Sanchez를 다루는 방식은 매우 잘 하는 일이다. 오프시즌엔 Barry Weinberg를 어시스턴트 트레이너 강등시켰다는 낭보가 전해지기까지 했다. 이제는 팀의 주치의 Dr. George 'the butcher' Paletta만 해고하면 된다.

(lecter)

- 2010: Memphis에서도 모든 레벨에서 보여주었던 스터프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타자를 압도했다. 다만 릴리버에게 큰 문제는 아니지만 커맨드가 좀 불안한 게 흠.

- 2011: Memphis CL. 하지만 불펜에 구멍이 생길 경우 단연 콜업 1순위. Salas만큼은 아니어도 비행기 마일리지를 꽤나 쌓지 않을런지.

(skip)

미래의 클로저 후보. 정말 깡 마른(160파운드) 몸으로 90마일 중반대의 직구를 뻥뻥 뿌리는 모습은 아슬아슬 하기까지 하다. 하긴 Mariano Rivera가 떡대가 커서 그 나이까지 버티고 있는건 아니지. 쓸만한 슬라이더와 Triple-A 로 고속승격하며 조금 우려스런 면을 보이긴 했지만 안정된 제구력, 그리고 Motte와 달리 great movement까지. Ryan Franklin의 은퇴가 코앞으로 다가온 현 시점에서 다음 시즌 Reifer와 함께 불펜에 추가될 가능성이 가장 큰 클로저 유망주. 데뷔 후 올해까지 쭉 낮은 BABIP를 유지하고 있는 것이 조금 신기했다

(yuhars)

- 신기하게도 우완 릴리버 유망주 만큼은 엄청나게 잘 뱉어내고 잘 올리는 팜이지만 우완 릴리버 유망주인 Sanchez 3위로 선택한 가장 큰 이유는 로우 레벨에 유망주가 몰려있는 카즈에서 몇 안되는 빅리그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유망주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올해 AAAAA에서 좋은 성적을 기록한 Sanchez는 크지 않은 사이즈임에도 불구하고 마무리가 될 수 있는 스터프와 쓸만한 커멘드를 가졌으며 2011시즌에는 빅리그에서 어떻게든 모습을 드러낼 것이다. 그리고 빅리그에 잘 적응해서 기대대로 성장한다면 곧 계약이 만료되는 마무리 Franklin의 뒤를 이어서 카즈의 뒷문을 책임질 마무리가 될 수 있는 후보 중 한명이며, 만약 마무리를 못한다고 하더라도 릴리버로서의 능력만 보여준다면 불펜의 가격이 금값이 된 요즘 트레이드 카드로도 충분히 매력이 있는 선수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FreeRedbird)

Sanchez AAA 승격 후 볼넷이 다소 많아지고 그라운드볼이 줄어들었으나, 여전히 이닝당 1개가 넘는 높은 삼진 비율을 유지하며 좋은 모습을 보였다. 그는 입단한 이래 지금까지 거듭되는 리그 승격에 잘 적응하며 꾸준히 훌륭한 피칭을 해 왔다. Stuff Control, 그라운드볼 성향이라는 세 가지의 중요한 기본기가 잘 갖춰져 있고, 기복이 적은 그의 투구 스타일은 메이저리그에 가더라도 무리없이 적응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 2011년 말 Franklin FA로 풀린 뒤 별다른 릴리버 FA 계약을 하지 않는다면, 2012년에는 Motte 9, Sanchez 8회를 맡게 될 것이다. 올해 FA시장에서 특히 릴리버 연봉의 인플레이션이 극심한데, 이렇게 팜에서 우수한 퀄리티의 릴리버를 지속적으로 양산하는 것은 팀 페이롤 관리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3. (Tie) Carlos Martinez (RHSP)

DOB: 1991/09/21, Bats: R, Throws: R

Became a Cardinal: 도미니카공화국 출신. Non-Drafted FA 계약(2010/04/20),.계약금 $1,500,000

Individual Rankings : FreeRedbird 6, jdzinn 3 , lecter 6, skip 3, yuhars 4

Comments

(lecter)

- 2010:시즌 중반에 갑자기 계약했다는 소식이 들리고 그 이후에 성적으로 모두를 경악시킨 선수. BABIP가 낮고 LOB%가 높긴 하나, 스터프/커맨드 양수겸장의 투수 유망주에 많은 사람들이 흥분하고 있다. 사실 아직은 어떻게 평가를 해야할 지 잘 모르겠고, 내년부터 보다 정확한 평가가 들어가리라고 생각된다.

- 2011: Johnson City SP. 도미니카 유망주치고는 나이가 적은 편이 아니나, 일단 미국 데뷔 시즌으로 내년 한 해는 루키리그에서 머물 것이다. Jenkins와 비슷한 속도로 발전하지 않을까 싶다.

(skip)

어찌보면 Shelby보다 더 기대할 수 있는 유망주. DSL에서 환상적인 성적(비록 이 리그의 성적은 그 신용도와 중요도가 마땅치 않다 할지라도)을 기록하며 화려하게 데뷔한 Martinez는 여러모로 베일에 감싸져 있는 놈이다. 비자를 받으며 바뀌는 이름부터 이미 한번 조작된 출생기록 까지 감안하면 어디까지가 진실이고 거짓인지 조금은 찝찝한 것이 사실이지만, 야구공을 던지는 그 모습을 관찰한 스카우터들은 거짓말을 하지 않을 터이니 적어도 야구 내적인 부분에 있어서 만큼은 믿어도 될 것이다. 당연한 이야기인가?

최대 99마일에 이르는 싱킹 액션의 살아있는 직구를 뿌리는, 그 것도 어린나이에 생각보다 뛰어난 제구력(!)을 지닌 선수는 어느 팀 팜에 가도 TOP 5 에 들기에 손색없다. 순전히 포텐셜과 평가 만으로 이렇게 마음을 사로잡는 선수는 흔치 않은데, 내년 시즌 Johnson city에서의 활약을 기대해 본다.

(yuhars)

- 물론 이렇게 로우 레벨의 유망주를 4위에나 올린다는 것은 오버 픽이겠지만 Martinez의 스터프가 너무나도 대단하고 개인적으로도 이러한 류의 유망주를 아주 선호하기 때문에 4위로 선정했다. 그 이유를 대자면 먼저 카즈팜 랭킹 1위인 Miller도 포심이 20-80 스케일에서 80점 만점을 받지 못하는데 Martinez 80점 만점을 받았다는 점, 비록 하위 레벨에서만 뛰었지만 좋은 커멘드도 보여줬다는 점 때문이다. 다만 엄청난 스터프를 가진데 반해 사이즈가 왜소하다는 것은 참 아쉬운 부분이다. 하지만 이러한 스터프를 가진 유망주는 선발로 성공하지 못하더라도 스터프만 가지고도 빅리그에 올라 올 수 있다. 물론 최악의 경우라면 McCormick처럼 되는 것도 생각해봐야겠지만...-_-; 어쨌든 2011시즌에 미국 본토에서 적응하는 모습을 보여준다면 카즈팜의 Teheran 같은 존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FreeRedbird)

개인적으로는 아직 미국 본토에서 공을 한 개도 던져보지 않은 DSL의 유망주를 이렇게 높이 평가해도 되는 것인지에 대해 약간 의구심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DSL 관계자라면 누구나 Martinez가 리그 최고의 투수 유망주라는데 동의한다고 하니, 포텐셜만큼은 인정해 주어야 할 것 같고, 그의 DSL 스탯을 보더라도 압도라는 단어 외에는 딱히 떠오르는 말이 없을 정도이다. 그의 패스트볼은 90마일대 후반의 구속에 커팅 무브먼트까지 가지고 있어서, 이미 20-80 스케일에서 80점 만점을 주는 스카우트가 있다고 한다. Extended Spring Training을 거쳐 Johnson City 정도에서 시즌을 시작할 듯 한데, 그의 성공적인 본토 마이너리그 안착은 팜 내 최대 관심사 중 하나가 될 것이다.

(jdzinn)

-스카우팅 리포트만 보면 Martinez는 제법 성숙한 투수로 보인다. 제구와 무브먼트가 동반된 upper 90 패스트볼은 이미 20-80 스케일에서 80을 받고 있으며, 브레이킹볼과 체인지업도 그렇게 raw하지 않다고 한다. 실제로 DSL의 기록을 보면 동네 형이 리틀리그에서 애들 데리고 장난친 수준. 그러나 본토 야구라곤 구경도 못해본 시골 촌뜨기의 실체를 누가 알겠는가. 일단 까봐야 안다.

-나이 문제로 레드삭스와의 딜이 깨진 Martinez는 체감 상 93년생쯤 될 것 같지만 Julio Teheran보다 8개월이 어릴 뿐이다. 욕심 같아선 쿼드시티로 직행시키고 싶다. 소문대로의 투수라면 무리수도 아니다. 허나 촌뜨기가 적응해야 할 건 비단 야구만이 아닐 것이다. 현실적으론 루키리그나 펜리그를 거쳐 A볼에서 시즌을 마무리하는 게 적절하다. 어차피 Martinez의 고속 승격은 세컨더리 피치의 발전 여부에 달려있으므로 과도한 러쉬가 능사는 아니다. 완벽해 보이는 DSL에서의 기록조차 좌/우 스플릿을 나눠보면 상당한 편차가 존재한다. 스카우팅 리포트는 뻥튀기가 주특기지만 기록은 거짓말 하지 않는다.

-유감스럽게도 Sanchez와 비슷한 언더사이즈. 게다가 선발투수다. 올 시즌 Miller를 다뤘던 방식이 정말 필요한 건 Martinez일지도 모른다. 자칫하면 부서진다.

 

2. Zack Cox (3B/2B)

DOB: 1989/05/09, Bats: L, Throws: R

Became a Cardinal: 2010년 드래프트 1라운드 지명(전체 25), 메이저리그 계약(4 $3.2M)

Individual Rankings : 만장일치 2

Comments

(skip)

지명 당시만 해도 스틸픽이다, 대학 최고의 타자를 픽했다 라는 호평이 바다를 이루었는데 AFL 서 초반 삽질로 다 까먹었다. 필드 전체를 이용하는 부드러운 스윙, 특히 밀어치는데 탁월한 재능을 가진 선수이며, 빠른 뱃 스피드와 쏠쏠한 선구안은 덤이다. 수비 범위가 좁다는 평도 있지만, 자주 비견되는 옛 1라운드 픽 Brett Wallace보다 acceptable한 수비력을 지닌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특히나 강한 어깨), 조금 쌩뚱맞지만 생각보다 베이스런닝도 합격점 이상이라 한다. 그러나 다시 거론컨대 AFL서의 삽질로 스카우터들에게 ??? 딱지를 너무 많이 받아 팬들을 불안케 만든 것은 참, 아이러니하달까.

AFL AFL. 일단 내년시즌 모습을 지켜봐야 할 것 같다. LuhnowCox PB에서 뛸 것이라 했음으로, 그곳에서 잘 만 하면 Double-A로 빠른 시일 내로 승격할 것이다. PB는 결코 타자들에게 쉬운 리그가 아님을 감안하면 어려운 한 해가 될 것 이다. 지켜보자, 일단 프로에 적응하는게 그 무엇보다 우선일 것 같다. Luhnow는 또한 Cox 2B가 아닌, 3B로 키워질 것임을 몇번이나 강조했으므로, Freese Carpenter와의 경쟁은 필수 불가결 할 것이다.

(yuhars)

- 전문가들마다 평가가 갈리는 Cox 2010년 드래프트에서 최고의 퓨어히터로 평가 받았으며, 밀어치기의 달인이자 모든 코스의 공을 다 공략할 수 있다는 엄청난 스윙을 가진 선수라는 스카우팅 리포트를 본 기억이 있다.ㅋ 이 선수의 평가가 전문가들 마다 갈리는 가장 큰 이유는 AFL에서 보여준 삽질과 더불어 3타석당 한 개꼴로 당한 극악의 삼진 비율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AFL 후반기에는 초반의 삽질을 만회 하는 모습을 보여줬으며, AFL이 종료 되었을 때는 우투수 상대 OPS를 무려 0.911까지 끌어 올렸다. 또한 AFL의 표본이 크진 않지만 타석당 BB의 비율도 좋아서 선구안도 나름 쓸만하다는 것을 보여줬다. 다만 아직도 Cox3루를 유지할 수 있는 체형인가에는 의문이 있고, 속칭 Bad body라는 말을 들은 기억이 있는데 부디 열심히 연습해서 빅리그에서 3루로 남을만한 수비력을 보여줬으면 좋겠다. 어쨌든 Cox가 자기 재능을 발휘한다면 매년 3 20홈런을 치는 3루수가 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망한다면 1루수로 일본이나 한국에 용병으로 떠도는 인생이 될 수도 있다. 그래도 매년 드래프트 대학 최고의 퓨어히터라면 어느 정도의 능력을 보여줬으며, Cox도 충분히 보여줄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 때문에 랭킹 2위로 선정했다.

(FreeRedbird)

그는 드래프트 당시 TOP 10-15 픽으로 평가되었으나, 무리한 보너스 요구의 소문이 돌면서 구단들이 지명을 회피하여 결국 Cardinals가 낚을 수 있었다. 당시 Keith Law“Steal of the day”라는 표현을 쓸 만큼 훌륭한 픽으로 여겨지기도 했으나, 한편으로는 Kevin Goldstein John Sickels는 그에 대해 그다지 호의적인 평가를 내리지 않는 등, 전문가들의 의견이 엇갈리는 편이다. 그가 높은 평가를 받았던 부분 중 하나는 adjustability인데, 대학 1학년 때에는 파워에 치중하다가 2학년 때 컨택 위주로 스윙을 바꾸면서 삼진을 줄이고 타율을 크게 높였기 때문이다. 비록 샘플사이즈가 적긴 하지만, 이러한 그의 장점은 AFL에서도 잘 드러났다고 본다. AFL 초기에 1할도 안되는 타율로 허덕이던 그는 점차 리그에 적응하여 마지막 10경기에서는 .324/.405/.588을 기록하였으며, 시즌 성적을 .262/.333/.446까지 끌어올리고 리그를 마감하였다. 내년 시즌은 A Adv. AA 레벨에서 맞이할 것으로 생각되는데, 특유의 적응력을 발휘하여 좋은 활약을 해 줄 것을 기대해 본다. 메이저 계약으로 인해 매년 옵션이 소진되고 있으니, 빠른 시일 내에 메이저리그에 입성해야만 한다.

(jdzinn)

-AFL 초반, 엄청나게 많은 삼진을 당하며 실망스런 모습을 보여줬지만 중반 이후엔 3-4-6에 가까운 성적을 찍으며 리바운드에 성공했다. 실질적인 프로 데뷔무대였음을 감안하면 괜찮은 결과. 내년 시즌은 팜비치나 스프링필드에서 시작할 것이다.

-타석에서의 어프로치, 스프레이 히팅, 군더더기 없이 간결한 스윙을 종합해보면 올바른 지향점은 컨택으로 보인다. 빠른 배트 스피드를 이용해 20개 이상의 홈런을 생산할 수도 있지만 그 대가로 자신의 최대 장점을 잃어버릴 가능성이 크다. 실제로 Cox는 대학에서 컨택과 파워를 효과적으로 조합하지 못했으며, 무리하게 스윙폭을 크게 했다간 빅리그에 도달하기도 전에 Hank Blalock 시즌2를 찍게 될 것이다. 우선은 3할 내외의 타율에 10~15홈런을 찍어주는 갭히터로 방향을 잡는 게 현명하다.

-Cox 3루에 안착할 것이나 range 부족으로 평균적인 수비수 이상이 되긴 힘들다. 대학에선 가끔 2루도 봤지만 프레임과 운동능력이 모두 미들 인필더로 적합지 않다. AFL 이후 스카우터들의 반응이 싸늘해진 게 다 이유가 있다. 과욕은 금물이다.

(lecter)

- 2010: AFL 초반에 개삽질을 하면서 잘못 뽑은 거 아닌가 하는 소리가 여러 군데서 나왔지만, 마지막 10경기 정도 괜찮게 활약하면서 겨우 체면치레는 한 듯.

- 2011: Springfield 2B/3B. 메이저리그 계약도 맺었겠다 자리도 있겠다 해서 Springfield에서 시작하겠지만 조금 불안한 것이 사실이다. 메이저리그 계약을 맺은 신인에 대해서 부정적인 평가가  이렇게 많이 나온 경우가 또 있는지 잘 모르겠다. 평가가 틀렸던가 선수가 틀렸던가 둘 중에 하나일 텐데... 포지션 문제는 무척 중요한데, 2루면 2, 3루면 3루 어느 한 포지션을 선택해서 뛰었으면 좋겠다. 파워 포텐셜을 보아하니 2루수가 적합하지만.

 

1. Shelby Miller (RHSP)

DOB: 1990/10/10, Bats: R, Throws: R

Became a Cardinal: 2009년 드래프트 1라운드 지명(고졸, 전체 19), 계약금 $2,875,000

Individual Rankings : 만장일치 1

Comments

(yuhars)

- 프로 풀타임 첫해인 Miller는 올해 자기보다 앞서 지명 되었던 드래프트 동기인 Matzek, Wheeler, Turner를 뛰어넘는 성적을 보이며 아주 성공적인 프로시즌을 보냈다. 다저스의 Kershaw 이후로 체형과 스터프가 가장 잘 조화된 선수라는 평가를 받는 Miller는 일각에서 제기되었던 구위를 꾸준히 유지할 수 있는 체력이 있는가에 대한 의문도 마이너리그 포스트 시즌 선발등판에서 7회에도 95마일을 던짐으로서 그 우려를 말끔하게 해소시켰다. 뿐만 아니라 볼넷도 3이닝 당 한 개 꼴로 준수하게 유지함으로서 파이어볼러들이 자주 가지고 있는 병인 볼넷 남발 병을 가지고 있지 않다는 것도 보여주었다. Miller가 지금처럼만 꾸준히 성장해주면 카즈는 Chris Carpenter 이후를 걱정하지 않아도 될 것이며, 만약 그가 지금보다 컨트롤을 좀 더 발전시킨다면 진정한 우완 파이어 볼러의 로망을 Miller에게서 느낄 수 있게 되지 않을까 하는 기대도 가져본다. 그리고 최악의 상황을 가정해본다고 하더라도 충분히 선발 라인업에 들어갈 만한 스터프와 사이즈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되며, 아니면 릴리버로 라도 빅리그에서 모습을 보일 것이다. 어쨌든 Ankiel 이후로 카즈팜에서 아주 오랜만에 나온 전미랭킹 탑 5안에 들어갈 만한 재능을 가진 투수 유망주임에는 틀림이 없다.

(FreeRedbird)

스카우팅과 스탯 모두 동의하는 미래의 1선발감이며, 이견의 여지가 없는 부동의 Cardinals Farm No.1 유망주이다. BA 리스트가 아직 나오지 않았으나 아마 TOP 25 진입도 가능하리라고 생각된다. 그는 12.1 K/9, 4.24 K/BB로 모든 이의 기대를 뛰어넘는 훌륭한 시즌을 보냈다. 내년은 Palm Beach에서 시작해서 시즌 중후반에 Springfield로 콜업되는 정도가 예상되는데, 구단의 과잉보호로 인해 내년 내내 Palm Beach에서 보낼 수도 있다. Ankiel이후 처음으로 가져보는 대박 투수 유망주(게다가 Ankiel과는 달리 mechanics 측면에서도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인 만큼, 잘 키워서 2013년 쯤에는 꼭 메이저리그 로테이션에서 볼 수 있었으면 한다.

(jdzinn)

-프런트라인 선발 유망주로서의 모습을 유감없이 보여줬다. 팀의 과잉보호와 함께 볼카운트가 늘어지는 일이 잦았지만 시즌이 진행됨에 따라 이닝 소화 능력이 눈에 띄게 좋아졌다.

-간결한 쓰리쿼터 딜리버리로 싱킹 액션이 살아있는 미드 90 패스트볼을 던진다. 올해 체인지업이 크게 향상되면서 우타자보다 좌타자 상대로 더 좋은 성적을 거두기도 했다.

-예상보다 polished 한 모습을 보여줬지만 아직은 갈 길이 멀다. Miller는 내년 시즌 대부분을 FSL에서 보낼 것으로 보이는데 미진했던 커브의 향상과 함께 올해 수준의 커맨드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성장이 정체되지 않는다면 2013년 올스타 브레이크 전에 선발 한 자리를 꿰찰 것이다.

(lecter)

- 2010: 뭐 하나 빠질 것 없는 풀타임 데뷔 시즌. 최근 몇 년간 Cardinals 유망주 중에서 이 정도로 멋진 시즌을 보낸 선수가 또 있었나 싶다. 드래프트 이전에 문제점으로 지적되던 커맨드가 나쁘지 않은 것 같아서 더욱 맘에 든다.

- 2011: Palm Beach SP. 시즌 중 Springfield로 올라갈 가능성은 크지 않아 보이며, 130 이닝 정도에서 시즌을 마감하지 않을까 싶다. 역시나 부상을 당하지 않는 것이 가장 중요한 포인트. 드래프트 동기로서 함께 비교되던 Turner, Wheeler, Matzek 등보다도 한발 앞서 나간 것처럼 보인다.

(skip)

무슨 말이 더 필요할까. 축복받은 떡대와 건강함, 위력적인 싱킹 액션의 패스트볼. 나날이 발전해가는 체인지업과 커브. 시골스러운 마인드까지. 이 팀이 애지중지 키우고 있는 명실상부 1선발 포텐의 이 텍사스산 파워암은 올 시즌 Single-A행이 예정되어 있으나 그 성장정도에 따라 Double-A까지 승격할 가능성이 있으며, 빠르면 2012년 후반기 빅리그에 그 모습을 드러낼지도 모른다. 좀 더 낮은 키킹을 가져가며 딜리버리의 일관성을 유지하려는 시도 등은 모두 제구와 관련되어 있는데, 아직까지 때때로 불안정해지는 제구와 어느정도 수준급에 다다른 체인지업과 달리 평균 수준의 커브에 발전이 내년 시즌 포인트가 될 듯 하다.


여기까지...
재미있게 보셨는지요??

아래에 평가자 5명의 개인 리스트가 포함된 엑셀파일을 올려 드리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올해는 참가하시는 분이 늘어서 더 재미있었는데
내년에도 더욱 많은 분들이 함께하시길 바라며... ^^



Today's Music : ABBA - Happy New Year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
내년에는 좋은 일만 가득하시길 기원합니다.
Posted by FreeRedbird
:
Cardinals의 이번 오프시즌 행보를 정리해 보았다.

1. 영입
Brad Penny (RHP)
1년 7.5M(+1.5M 인센티브)의 계약을 맺었다. 시즌 후 Type A가 되면 연봉 조정 신청을 하지 않는다는 조항이 붙어 있다.

Rich Hill (LHP)
마이너리그 계약을 맺었다.

Ruben Gotay(UT)
마이너리그 계약을 맺었다.

2. 재계약
Matt Holliday(LF)
FA가 된 후 7년 120M의 초대형 계약을 맺었다. 역시 다시 봐도 기간과 금액이 아쉽게 느껴진다.

Ryan Ludwick(OF)
연봉 조정 2년차였으며, 1년 5.5M의 계약을 맺었다.

Skip Schumaker(2B)
연봉 조정 1년차였으며, 2년 4.7M의 계약을 맺었다.

3. 방출
Brad Thompson(RHP)

Kansas City Royals와 마이너리그 계약을 맺었다.

Todd Wellemeyer(RHP)
San Francisco Giants와 마이너리그 계약을 맺었다. 메이저리그 로스터에 들어갈 경우 연봉 1M+인센티브를 받게 되는 스플릿 계약이다. 스플릿이긴 하지만 작년 메이저리그 최악의 선발투수였던 Wellemeyer에게 연봉 1M을 줄 생각을 하다니, 역시 Brian Sabean은 범상치 않은 단장이다.

Joe Thurston(UT)
Atlanta Braves와 마이너리그 계약을 맺었다.

Troy Glaus(3B)
Atlanta Braves와 1년 1.75M(+2.25M 인센티브) 계약을 맺었다. 1루수로 뛰게 될 것이라고 한다.

Mark DeRosa(3B/LF)
San Francisco Giants와 2년 12M의 계약을 맺었다.

Khalil Greene(SS)
Texas Rangers와 1년 0.75M의 계약을 맺었다.

Rick Ankiel(OF)
Kansas City Royals와 1년 3.25M+6M 옵션의 계약을 맺었다. Ankiel이 이정도 계약을 맺을 줄은 정말 몰랐다... Cardinals는 아쉽게도 Bill Bavasi와 트레이드를 해보지 못했는데, Dayton Moore와는 좀더 친하게 지내면서 거래를 자주 했으면 한다.

Joel Pineiro(RHP)
LA Angels와 2년 16M에 계약을 맺었다. 이정도 금액에 계약할 것이었다면 Brad Penny와 계약하지 말고 그냥 Pineiro를 잡는 것도 괜찮았을 것 같다. 물론 당시의 Pineiro는 3년 30M을 주장하고 있었지만...

John Smoltz(RHP)
여러 팀과 접촉하고 있으나, 아직 미계약 상태로 남아 있다. 그다지 서두르지 않는 듯한 모습이다.



Holliday 재계약과 Penny 영입 외에는 별다른 사건이 없는 매우 조용한 오프시즌을 보내고 있다. 사실 팀에 빈틈이 많지 않은 상황에서 일부러 이런저런 계약이나 트레이드를 추진할 필요는 없다.

아쉬운 부분이 있다면 역시 투수진 전반의 Depth와 우완 릴리버인데... 언젠가 이야기했듯이 Smoltz/박찬호/Kiko Calero 중에 적어도 한 명과 계약했으면 하는 바램이다.


Today's Music : Scarface - On My Block (Official MV)




즐겁고 편안한 설 연휴 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1월 1일에도 많이 받으셨겠지만 한번 더 받으시는 것도 괜찮겠지요... ^^
Posted by FreeRedbird
:

영양가에 대한 논란

9회말 2사 2-2 동점에서 솔로홈런을 치면, 3-2가 되면서 게임이 끝난다. 이 홈런은 게임의 향방을 결정지은 "승리타점"이 된다. 하지만, 9회초 15-0으로 앞서 있는 상황에서 솔로홈런을 치면, 16-0이 된다. 15-0이나 16-0이나 어차피 이길 확률이 100%에 가까운 것은 마찬가지이므로, 이 홈런은 게임의 향방과는 거의 관계가 없는 홈런이다. 소위 홈런의 "영양가"가 다른 것이다.

HR, RBI, OBP, SLG, OPS, RC, wOBA, EqA 등 우리가 사용하는 거의 모든 스탯은 이 두 홈런을 똑같은 가치로 취급한다. 시즌 기록으로 생각하면, 한 시즌은 꽤 긴 기간이므로, "영양가 있는 순간"과 "영양가 없는 순간"은 상당 부분 상쇄될 것이다. 또한, 클러치 능력이라는 게 랜덤에 가깝다는 주장을 수용한다면, 올해에 "영양가 있는 적시타"를 유난히 많이 쳤다고 해서 내년에도 그러리라는 보장은 없는 것이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선수의 능력을 판단할 때에는 위의 스탯들을 사용하는 것으로 별 무리가 없다.

하지만, 그 "영양가"를 구체적으로 따져보고 싶은 경우에는 어떻게 해야 할까? 예를 들어 특정 경기의 수훈 선수를 한 명 꼽고 싶다면? 위의 스탯들로는 해결이 불가능하다. 이럴 때 사용하면 좋은 것이 바로 WPA(Win Probability Added) 이다.


WE(Win Expectancy)에 대한 복습

WE에 대해서는 이미 이전 포스팅에서 소개한 바 있다.

Insidethebook 사이트에 공개되어 있는 표를 이용하여 다시 복습을 해 보자.

Inning: 6, Top

1B 2B 3B Out -4 -3 -2 -1 Tie 1 2 3 4
0 0.089 0.146 0.230 0.348 0.500 0.651 0.769 0.854 0.911
1 0.097 0.158 0.249 0.375 0.534 0.690 0.802 0.879 0.929
2 0.103 0.167 0.263 0.394 0.560 0.717 0.825 0.896 0.941
1B 0 0.078 0.128 0.204 0.310 0.448 0.594 0.717 0.812 0.881
1B 1 0.089 0.145 0.230 0.347 0.498 0.649 0.766 0.852 0.910
1B 2 0.099 0.161 0.253 0.380 0.542 0.697 0.808 0.884 0.932
2B 0 0.069 0.114 0.182 0.280 0.410 0.557 0.689 0.793 0.868
2B 1 0.083 0.136 0.216 0.327 0.473 0.625 0.749 0.840 0.902
2B 2 0.095 0.155 0.244 0.368 0.526 0.682 0.797 0.876 0.928
3B 0 0.058 0.098 0.158 0.247 0.369 0.517 0.662 0.774 0.856
3B 1 0.071 0.118 0.189 0.291 0.427 0.582 0.719 0.820 0.889
3B 2 0.093 0.152 0.240 0.362 0.519 0.675 0.793 0.873 0.926
1B 2B 0 0.062 0.102 0.164 0.253 0.372 0.506 0.633 0.742 0.827
1B 2B 1 0.078 0.127 0.202 0.308 0.445 0.590 0.711 0.806 0.877
1B 2B 2 0.092 0.151 0.238 0.358 0.513 0.665 0.780 0.862 0.917
1B 3B 0 0.051 0.085 0.139 0.218 0.327 0.463 0.602 0.720 0.813
1B 3B 1 0.067 0.111 0.178 0.274 0.402 0.548 0.682 0.786 0.864
1B 3B 2 0.089 0.146 0.231 0.349 0.500 0.652 0.770 0.855 0.912
2B 3B 0 0.046 0.078 0.127 0.201 0.303 0.431 0.569 0.695 0.795
2B 3B 1 0.062 0.102 0.165 0.255 0.377 0.517 0.652 0.764 0.848
2B 3B 2 0.087 0.143 0.226 0.341 0.490 0.639 0.757 0.845 0.906
1B 2B 3B 0 0.042 0.071 0.116 0.183 0.277 0.395 0.523 0.644 0.748
1B 2B 3B 1 0.060 0.099 0.159 0.245 0.362 0.495 0.622 0.731 0.818
1B 2B 3B 2 0.084 0.137 0.217 0.328 0.471 0.617 0.733 0.823 0.888


위의 표는 홈팀의 입장에서 6회초의 각 상황별로 기대 승률, 즉 Win Expectancy를 표시한 것이다. 즉, 6회초에 동점이고 무사에 주자가 없는 경우(위 표의 빨간색 글씨), 홈팀이 이 경기를 이길 확률은 정확히 0.5 이다. 하지만, 홈팀이 원정팀에게 1점 뒤진 상태에서 2사 3루의 상황을 맞이한 경우(위 표의 파란색 글씨), 홈팀이 최종적으로 이 경기를 이길 확률은 0.362 로 내려간다.

이 표는 Run Environment가 5.0인 상황, 즉 각 팀별로 경기당 평균 5점씩 득점하는 리그를 기준으로 한 것이다. 이 Run Environment가 바뀔 경우에는 WE Matrix도 바뀌게 된다.

아래 엑셀파일은 Tom Tango의 웹사이트에 걸려 있는 외부 링크에서 집어온 것이다. (출처는 여기)
파일 안에 있는 "BigTable" sheet가 바로 Run Environment=4.5일 때의 Win Expectancy 표이다. 위의 표와 6회초 부분을 비교해 보면 숫자가 조금씩 다름을 알 수 있다. 1점을 득점하거나 실점하는 경우 첨부파일의 WE가 더 크게 변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Run Environment가 작으므로(=게임당 평균득점이 적음) 1점의 위력이 더 큰 것이다.

WPA : Win Probability Added

WPA는 Win Probability Added의 약자로, 단어 안에 그 의미가 이미 드러나 있다. 즉, 기대 승률이 변화한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예를 들어... 위의 엑셀 파일에서처럼 Run Environment가 4.5인 상황에서 양 팀이 0-0이고, 6회초가 막 시작되고 있다고 가정해 보자. 이 상황에서 양팀의 기대 승률은 똑같이 50% 이다. 그런데, 6회초에 원정팀의 선두타자가 나와서 솔로 홈런을 쳤다고 하면, 점수는 0-1로 바뀌고, 노아웃 주자 없음 상황은 그대로 유지된다. 이제 홈팀이 1점을 뒤지게 되었으므로, 위의 표에서 -1점, 노아웃, 주자 없음을 찾아 보면 33.6%로 기대 승률이 내려갔음을 알 수 있다. 홈런 한 방을 맞음으로써 이 경기를 이길 확률이 16.4%가 줄어든 것이다. 따라서, 홈런을 친 선두타자는 +0.164의 WPA를 인정받게 되며, 반대로 홈런을 허용한 홈팀 투수는 -0.164의 WPA를 기록하게 된다.

이런 상황이 9회에서 발생했다면 어떻게 다를까? 9회초 노아웃에 무사, 동점인 상황에서 선두타자에게 홈런을 허용한 경우 홈팀의 기대 승률은 50%에서 16.2%로 크게 떨어진다. 여기에서 타자와 투수가 얻게 되는 WPA는 각각 +0.338, -0.338에 달한다. 6회초의 홈런에 비해 2배 이상 높은 것이다. 그만큼 같은 동점이라도 9회초의 홈런이 6회초의 홈런에 비해 훨씬 크게 승부를 좌우한다는 의미이다. 즉, 홈런의 "영양가"가 더 높은 것이다.

9회말, 홈팀이 3점 뒤진 상황에서 2사 만루에 타석에 들어섰다면, 이때 홈팀의 승률은 9.1%에 불과하다. 그런데, 여기서 만루홈런을 쳐서 역전승을 거뒀다면, 승리를 거두었으므로 기대승률은 100%가 되어 이 타석의 WPA는 +0.909에 달한다. 그야말로 영양가 만점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번에는 원정팀이 6점 앞서 있는 상황에서 9회초를 시작하는 것을 가정해 보자. 이때 홈팀의 승률은 0.3%에 불과하다. 여기에서 원정팀의 선두타자가 홈런을 쳐서 7점차로 벌어지면, 홈팀의 승률은 0.1%로 떨어진다. 같은 홈런이지만, 이 타석에서 타자의 WPA는 +0.002에 불과하다. 어차피 이길 확률이 매우 높은 상황이었으므로 영양가가 거의 없는 홈런이다. 같은 홈런인데도 이렇게 차이가 나는 것이다.

선수별 WPA는 Fangraphs에서 찾아볼 수 있다. 또한, Fangraphs는 메이저리그 정규시즌 및 포스트시즌에서 모든 게임의 WPA 변화를 실시간으로 중계해 준다.


WPA의 장점 그리고 한계

wRAA와 같은 스탯은 해당 선수가 팀 득점에 얼마나 기여했는지를 나타내는 스탯이지만, WPA는 해당 선수가 팀 승리에 얼마나 기여했는지를 나타내는 스탯이다. WPA가 높다는 것은 그만큼 팀 승리에 결정적인 공헌을 많이 했다는 것이고, 영양가 있는 활약을 했다는 이야기가 된다. (물론 162게임의 시즌은 상당히 긴 기간이므로 wRAA가 높은 타자는 아무래도 WPA가 높게 되기 마련이지만...) 만약 MVP를 순수하게 "팀 승리에 제일 많이 기여한 선수"에게 주고자 한다면, WPA가 가장 높은 선수에게 주는 방법도 고려해 볼 수 있다.

하지만, WPA는 그 배분 방식에 문제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타자가 홈런을 친 경우, 승률의 변화를 그대로 타자의 WPA에 플러스 해 주고 투수의 WPA에 마이너스 해 주면 된다. 하지만, 타자의 타구가 수비수의 어설픈 수비로 인해 안타로 연결된 경우, 이 때 승률의 변화는 어떻게 계산해 주어야 할까? 타자는 어쨌든 안타를 만들었기에 변화한 승률 만큼을 플러스 WPA로 가져가지만, 수비측은 투수의 일방적인 책임으로 보기에는 어려운 상황이다. 이 경우에는 관측자의 주관적 판단에 따라 투수와 수비수의 책임 수준을 평가하여 마이너스 WPA를 배분하게 된다. 그런데, Fangraphs의 경우는 이러한 주관적 판단을 배제하고 수비측에서 받게 되는 모든 WPA를 투수에게만 부여하고 있다. 수비수의 호수비로 안타성 타구가 아웃이 되어 플러스 WPA를 얻게 된 경우에도 투수가 이득을 보고, 수비수의 어설픈 수비로 아웃될 타구를 안타로 만들어준 경우의 마이너스 WPA도 역시 투수가 모두 가져가게 되는 것이다. 이것은 관측자의 주관적 판단으로 인한 오류를 배제하는 장점이 있고, 또한 WPA를 리얼타임으로 계산할 수 있게 해 준다. 이렇게 쉽게 계산하기 때문에 Fangraphs가 메이저리그 시즌 중에 실시간으로 각 경기의 WPA 변화를 업데이트해 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WPA는 과거의 팀 기여도를 살펴보는 데에는 유용하지만, 미래를 예측하는 데에는 상당히 부적절하다. 올해 유난히 결승타를 많이 올린 선수가 있다고 해서, 내년에도 특유의 클러치 능력을 발휘하리라는 보장이 전혀 없는 것이다.


Today's Music : Fleetwood Mac - Don't Stop (Live)



Don't stop thinking about tomorrow
Don't stop, it'll soon be here
It'll be better than before
Yesterday's gone, yesterday's gone

새해를 기념하여 좀 긍정적인 분위기의 곡을 골라 보았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이 글은 한국야구팬사이트에서도 보실 수 있습니다.)
Posted by FreeRedbir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