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 떠돌관조

 

Dodgers Series Recap

6/06  Dodgers 0:5 Cardinals

6/07  Dodgers 1:2 Cardinals

6/08  Dodgers 7:3 Cardinals

 

  다저스 상대로 위닝시리즈라니. 전혀 기대하지 않았던 결과다. 근데 꼭 마무리는 아쉽다. 맥그리비가 올라와 다저스 상대로 6이닝 4실점이라는 준수한 투구를 펼쳤으나, 불펜과 타선이 도와주질 못했다. 특히 스반슨의 정신나간 볼쇼는 차마 눈 뜨고 보기 힘들 지경이었다. 그래도 뭐, 오타니 상대로 홈런도 안 맞고 위닝했지 않은가? 그냥 좋다하고 넘어가도록 하자.


Series Preview

Toronto Blue Jays vs. St. Louis Cardinals

 

2025 Season Record

TOR 35승 30패 승률 .538 (AL Est 3위) Diff -1

STL 36승 29패 승률 .554 (NL Cnt 2위) Diff +28

 

  만만치 않은 강팀들을 연달아 만난다. 비록 지구 3위에 머물러 있지만, 승률을 5할 이상 거두고 있는 토론토를 상대한다.


Probable Starters

[Gm1] J. Berrios vs A. Pallante

  베리오스는 5월 한 달간 6번 등판해서 5번의 QS를 올렸고, 최근 4경기 연속 QS를 기록 중에 있다. 한 마디로 기세가 좋다는 것. 반면 팔란테는 퐁당퐁당 투구를 이어가다가 직전 등판에서 크게 무너졌다. 아무래도 땅볼유도형 투수다보니 인플레이 타구 허용이 많고, 제구도 크게 흔들리다보니 체감상 안정성은 최악이다. 아무리 잘 한다한들 딱 4~5선발 이상으로 올라오긴 힘든 유형. 최근엔 홈런 허용까지 늘며 홈런 공장장 신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이거 왕년의 헛슨이가 생각난다.

 

[Gm2] C. Bassitt vs M. Mikolas

  두 노땅의 만남. 만나이론 동갑인 둘은 올시즌 나름 회춘한 모습을 보여주며 로테이션 한 자리를 공고히 지키고 있다. 물론 배싯이 우위다. 배싯은 올시즌 커리어 최고 탈삼진 스터프와 최저 볼넷허용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반면 마이콜은 최저 탈삼진 페이스와 4년만의 BB/9 2개대를 기록중이다(앞선 3년간은 1개대였다). 물론 공은 둥글고 경기는 어떻게 될진 모르나, 최근 타선 흐름을 본다면 이기기 힘든 경기로 보여진다. 그나마 희망적인 부분은 카즈 타자들이 과거 배싯을 꽤나 잘 공략했었다는 것.

 

[Gm3] TBD vs M. Libberatore

  리비는 최근 흐름이 좋지 않다. 잘 나가다 두 경기 연속 대량실점하며 고꾸라진 그는 명예회복에 나선다. 아무래도 다시 선발로 전환한지 얼마 안 된지라 페이스 조절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지난 두 번의 등판에서 느낀점이 많길 바랄 뿐이다.


Bullpen Matchup

  최근의 헬슬리는 재앙수준이다. 이제 6월 중순에 접어드는데 벌써 블론이 5개다. 이거 미드시즌에 팔리지도 않을 것 같다. 헬슬리가 올라온다면 마음의 준비 먼저 하도록 하자.


Batter Matchup

  도니가 아직은 상위권에 있지만 요즘엔 사람 아니다. 에레라 마찬가지. 그나마 최근에 콘티의 폼이 올라와서 다행이라면 다행. 근데 벌레 wRC+가 저렇게 높았던가...


※ 시리즈 관전 포인트

# 살아나라 팔란테-리비

  최근 흐름이 좋지 않은 젊은 선발들이 등판한다. 이번 시리즈에서 그 흐름을 가볍게 털어내고 갔으면 하는 바램. 많은거 안 바라니 QS만 좀...

 

# 결국은 타선

  헬슬리가 불안하다. 결국엔 타선이 점수차를 좀 벌려줘야할 수 밖에 없다. 최근 도니가 좋지 않은데 타순을 좀 내려주면 어떨지. 아, 대신 들어갈 애가 없던가...

Posted by 떠돌관조
: